산업동향
제4차 산업혁명 시대 중소기업의 활로, [네트워크형 중소기업]
- 등록일2017-08-01
- 조회수6485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17-07-13
-
출처
중소기업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4차 산업혁명#중소기업의 활로
- 첨부파일
출처 : 중소기업연구원
제4차 산업혁명 시대 중소기업의 활로, 「네트워크형 중소기업」
[주요내용]
■ 급변하는 글로벌 시장 환경하에서 한국 중소기업의 생존 전략 모색 필요
? New Normal, 제4차 산업혁명 등으로 대변되는 New Paradigm 시대에 진입하면서 정치, 경제, 사회, 기술 전반에서 기업과 산업환경의 변화가 진행
? 선진 제조국들은 제조업의 혁신·고도화를 통해 제조업의 부활을 시도하고 있으나 제조·수출 중심 국가인 한국의 제조업 혁신?고도화를 위한 사회·경제·기업 차원에서의 대응 역량은 지속적으로 하락
? 대기업발 중소기업으로의 낙수효과가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을 수 있다는 논의의 부상 가운데 우리 중소기업의 생존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 모색이 시급
■ 기업 간 협업은 여전히 유효한 경영 전략
? 이탈리아, 일본, 독일, 미국 등과 같은 제조 선진국들은 기업 간 네트워킹을 통해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시도
- 특히, 「네트워크법(network contract)」을 통해 기업 간 네트워킹을 추진하고 있는 이탈리아의 경우, 네트워킹의 양적 증가뿐만 아니라 참여 기업의 자본투자수익률(ROI)에서도 비참여 기업에 비해 2~3배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나는 성과를 보이고 있음.
■ 기업 간 연결을 넘어 모든 경영자원이 무한 연결되는 「네트워크형 중소기업」
? 기업과 기업이 연계되던 이전의 협업(collaboration)은 더욱 발전하여 협업의 연결 대상이 기업을 넘어 플랫폼(platform)을 중심으로 개인, 기술, 아이디어, 자금, 정보 등으로까지 확대되고 협업의 목적은 단순히 생산성 향상이나 비용 절감을 넘어 신제품·신사업 개발, 신산업 통로 마련의 수단이 되고 있음.
<표> 협업 개념의 발전 : 협업형 중소기업과 네트워크형 중소기업의 구분

■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
? 중소기업, 독자적으로 모든 기술·경영자원을 확보하려하기 보다는 공유와 결합을 통해 비용을 줄이고 생산성을 높이며 틈새시장을 개척하는 가운데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해야 할 것임
? 정책 수립 원칙 : 정부는 네트워킹 촉진을 위한 인위적인 frame을 만들기 보다는 기업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ground를 만드는데 집중할 필요
- 플랫폼(platform) 등을 중심으로 기업, 개인, 물류, 협업전문가, 마케팅, 정보와 기술, 아이디어, 자본, data 등이 모이고 결합하여 신제품·신사업 개발, 신산업의 태동으로 이어질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요
? 기업 간 네트워킹을 위한 기초 전제가 되는 신뢰 구조가 법?제도내에서 구체화될 수 있도록 계약, 사업 성과관리, 운영 등의 표준안 구축 등의 법·제도적 인프라 마련이 필요
? 정책 방향 : 글로벌 플레이어 육성 및 제4차 산업혁명에 대비하여 기술·경제·사회 변화를 선도하는 중소기업의 경쟁력 확보
? 정책 구조 및 세부 과제 : 단순 지원보다는 자생적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네트워크 형성에서부터 활성화 그리고 기업 보호라는 ‘one cycle’ 까지를 정책 범위로 설정한 과제 마련 필요
- 본고에서는 ?‘형성’을 위한 기반 구축, ?‘성장’을 위한 기능 매칭, ?‘도약’을 위한 맞춤형·인센티브형 집중 지원 그리고 ?‘보호’를 통한 네트워킹 활성화라는 정책 구조에서 관련한 개별 정책 과제를 제시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