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2017년 1분기 보건산업 고용동향
- 등록일2017-10-12
- 조회수4506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17-09-14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보건산업#고용#일자리
- 첨부파일
출처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7년 1분기 보건산업 고용동향
[목 차]
총괄 / 2
세부산업별 고용동향 분석
- 의료서비스 / 4
- 의약품 / 7
- 의료기기 / 10
- 화장품 / 13
의료기기 분야의 종사자 수는 2017년 1분기 총 44천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9.2% 증가한 규모.
○ 의료기기 분야의 종사자 성별 구성은 여성이 38.1%, 남성이 61.9%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남.
ㆍ 2010년 남성 종사자의 비중은 65.6%였으나 2015년 62.4%, 2017년 1분기 61.9%까지 다소 하락하는 양상.
○ 연령별 구성을 보면, 2017년 1분기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연령대는 30~39세로 34.5% 차지.
ㆍ 그러나 30~39세 연령대의 비중 추이를 보면 2010년 38.2%에서 점차적으로 하락하는 양상.
ㆍ 반면, 40~49세와 50~59세는 점차적으로 비중이 확대되는 양상.
○ 사업장 규모별로는 30~300인 미만 사업장의 종사자 수 비중이 51.1%로 가장 높음.
ㆍ 29인 이하 사업장 비중은 2010년 49.9%에서 2017년 1분기 41.5%까지 감소.
○ 2017년 1분기 의료기기 분야 사업장 수는 4.7천여 개소이며 전년 동기 대비 5.5% 증가한 수준.
ㆍ 2010~2016년간 고용보험 적용 사업장 수는 연평균 6.3%씩 증가.
○ 종사자 규모별 사업장 수 비중은 29인 이하 사업장 수가 전체의 93.9% 차지.
ㆍ 2010년 전체에서 94.2%를 차지하던 29인 이하 사업장 비중은 2017년 1분기 93.9%로 비슷한 수준을유 지.
ㆍ 30~300인 미만 사업장 수는 2010년 5.7%에서 2017년 1분기에는 6.0% 기록.
■ 화장품
○ 화장품 분야의 종사자 수는 2017년 1분기 총 33천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5% 증가한 규모.
ㆍ 2010~2016년간 종사자 수 연평균 증가율은 10.4% 기록하고 있으며, 2015년 이후
8분기 연속 10% 이상의 높은 성장세를 나타냄.
○ 화장품 제조업의 종사자 성별 구성은 여성이 58.2%, 남성이 41.8%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남.
ㆍ 2010년 여성 종사자 수의 비중은 53.9%였으나 2017년 1분기 58.2%로 증가.
○ 연령별 구성을 보면, 2017년 1분기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연령대는 20~29세와 30~39세 로 32.3%씩 차지.
ㆍ 그러나 두 연령대 모두 2010년에 비해 비중이 감소한 양상을 나타냄.
ㆍ 반면, 50~59세는 2010년 6.7%에서 2017년 1분기 10.7%로, 점차적으로 비중이 확대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음.
○ 업장 규모별로는 30~300인 미만과 300인 이상 사업장의 종사자 수 비중이 40.1%로 비슷한 비중을 차지.
ㆍ 300인 이상 사업장의 종사자 수는 2010년 35.1%에서 2017년 1분기 40.1%로 증가한 양상.
ㆍ 화장품 제조업 분야는 소규모 영세 사업장보다 중대형 사업장의 구성비가 높다는 특징을 갖는 것으로 판단됨.
○ 2017년 1분기 화장품 분야 사업장 수는 1.2천여 개소, 전년 동기 대비 13.0% 증가.
ㆍ 2010~2016년 간 고용보험 적용 사업장 수는 연평균 12.8%씩 증가.
○ 종사자 규모별 사업장 수 비중은 29인 이하 사업장 수가 전체의 84.5% 차지.
ㆍ 2010년 전체에서 80.5%를 차지하던 29인 이하 사업장 비중은 2017년 1분기 84.5%로 증가.
ㆍ 30~300인 미만 사업장 수는 2010년 18.4%에서 2017년 1분기 14.8%로 비중 감소.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