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아세안(ASEAN) 선진 의료시장 병원 투자·인수를 통한 한국의료 동반진출 모델 개발

  • 등록일2017-10-17
  • 조회수4074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17-09-20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의료시장#한국의료#투자 인수
  • 첨부파일
    • pdf (2016-94)ASEAN 선진의료시장 병원 투자인수를 통한 한국의료 동... (다운로드 502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출처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아세안(ASEAN) 선진 의료시장 병원 투자·인수를 통한 한국의료 동반진출 모델 개발




[목 차]


Ⅰ. 과업의 배경 

II. 싱가포르 보건의료부문 환경 분석 

III. 현지 의료기관 인수의 근거 법령 및 절차 

IV. 현지 의료기관 투자·인수, 운영 및 출구전략 

VI. Appendix 



I. 과업 배경


1. 한국의료의 특장점과 해외진출 정체요인


? (특장점) 한국은 1) 세계 최고 수준의 임상 수준과 노하우, 2) 긴밀한 기능적 통합을 통한 운영관리의 효율성, 3) 세계 1위의 환자 만족도와 환자 맞춤형 서비스의 보편화, 4) 치밀하고 엄격한 의료진 교육훈련 체계, 5) 세계 최고 수준의 병원정보시스템(HIS; hospital information system)을 기반으로 선진적 운영지원 체계 등을 보유한 의료 선진국으로 부상하였음


? (진출 양상) 상기와 같은 특장점을 지닌 한국의료는 중동·중국·동남아·중남미·구소련 권역의 중앙?지방정부에서 해외 민간 사업자에 이르는 다양한 해외 파트너들로부터 한국의료 서비스와 병원 운영 시스템에 대한 컨설팅 기반의 이식(twinning), 공동 개발 및 운영(co-development/-operation), 위탁운영(consigned management) 등 다양한 방식의 협력사업을 제안 받아 왔으며, 그 과정에서 한국 의료의 다각적인 해외진출 방안과 실무적 지원 방안이 모색되어 왔음


- 실제로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 따르면, 지난 ‘15년 국내 의료기관의 해외 진출 건수는 총 18개국, 141건에 달하며, 이는 지난 ‘10년에 집계된 58건 대비 143%에 달하는 수치로서 한국의료 서비스 해외진출의 고속 성장세를 증명함


- 또한, 지난 ‘15년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의료 해외진출 및 외국인 환자 유치 지원에 관한 법률’의 영향으로 해외진출 의료기관에 대한 금융·세제 지원이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의료 서비스 해외 진출에 대한 구체적인 지원 방안과 관련 산업의 동반진출 모델 개발이 시급한 상황임


? (정체 양상) 그러나, 한국의료에 충성도가 높은 자원부국들의 저유가 기조와 글로벌 경기침체는 물론, 한국의료의 현지 의료시장 및 의료법, 문화에 대한 이해부족, 파트너의 불성실 등 다양한 이유로 현재까지 성공적인 진출사례는 보고되지 않고 있음. 또한, 최근에는 중동, 중국 등에서 기진출 한국 병의원들이 실적 부진에 따른 투자회수 실패, 현지 사업주의 위탁운영 계약 해지, 투자 재원 부족에 따른 사업 확장 실패 등 다양한 이유로 철수하는 사례가 늘고 있음


? (정체 요인) 한국의료의 해외진출 정체요인으로 1) 글로벌 의료시장에서의 한국의료(병의원명, 진료과목별 의료기술 수준, 병의원의 운영 효율성 등 포함) 인지도 부족, 2) 해외 병원개발·운영 노하우 및 글로벌 경영체계에 대한 경험 부족, 3) 의료기관 및 헬스케어 전문기업의 투자여력 부족, 4) 지정학적 접근성 저하 및 의료관광 지원환경 부재로 의료관광 목적지로서의 한계 당면 등이 거론되고 있음


? (시사점) 국내 금융투자기관의 보건의료 산업에 대한 이해 부족, 금융투자기관의 보건의료 산업에 대한 투자 제약(의료법상 영리자본의 의료기관 투자금지)으로 인해 한국의료 해외진출의 투자재원 확보에 실패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금융투자 관점에서 근본적인 대안을 도출해야 할 시점임


- 해외진출 의료기관 대다수가 개인 신용대출이나 사적 인맥을 통한 소액 투자를 바탕으로 단기적 시장 접근 압박에 노출돼 있으며, 최상위 상급종합병원 역시 비영리기관으로서의 한계로 인해 금융투자기관이 요구하는 투자구조 참여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해외진출 사업기회를 놓치는 사례가 빈번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