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중국 임플란트시장, 매년 30% 이상의 성장세 전망
- 등록일2017-10-25
- 조회수6124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17-10-16
-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
- 원문링크
-
키워드
#중국 임플란트시장
출처 : KOTRA 해외시장뉴스
중국 임플란트시장, 매년 30% 이상의 성장세 전망
- 고령화 추세 확산과 소득수준 제고로 치과분야 수요 지속적으로 증가 전망 -
- 기술력 부족으로 외국산 제품에 대한 의존도 높아 -

자료원: ?易新?
□ 시장현황
ㅇ 중국 임플란트 시장,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른 성장세
- 중국 임플란트 시장은 전 세계에서 가장 빨리 성장하고 있는 시장 중 하나로, 2019~2011년간 복합성장률이 30%를 넘어설 것으로 관측
- '중국 임플란트 시장 연구 및 투자환경보고(2017)'에 따르면 중국의 연간 임플란트 사용량은 약 10만 개 정도로, 선진국 대비 크게 낮은 수준을 보임. 참고로 인구 6000만 명 규모인 이탈리아의 사용량은 연간 120만 개에 달함.
- 현재 아시아 지역 임플란트 시장은 전 세계의 약 15~20%를 차지하고 있으며 중국은 아시아의 3%, 세계 시장의 1%에도 미치지 않는 규모임.
- 현재 선진국의 임플란트 보급률은 90%에 달하지만 중국은 10% 이하로 향후 높은 성장 가능성 보유
ㅇ 기술력 부족으로 높은 수입의존도
- 2013년 중국 임플란트 시장규모는 28억5000만 위안 수준으로, 이 중 임플란트 본체 시장은 7억4100만 위안으로 약 26%의 비중을 차지
- 중국 임플란트 시장에서 글로벌 상위 6대 업체*의 비중이 90%로 절대적인 시장비중을 차지
* 스웨덴 Noble Biocare, 스위스 Straumann, 미국 Dentsply Friadent, 미국 Biomet3i, 미국 Zimmer, 한국 Osstem 등
- 중국에서 사용된 임플란트는 2011년 11만 개, 2014년 80만 개에 달했으며 2016년은 100만 개를 넘어섬.
- 소비자 입장에서 계산을 했을 때 평균가격을 1개에 1만 위안으로 계산하면 시장규모가 100억 위안을 초과.
중국 임플란트 시장규모

자료원: 中???信息
□ 생산동향
ㅇ 높은 CFDA 인증 문턱
- 중국 본토기업 중 임플란트 CFDA를 취득한 업체는 아직까지 소수로 당분간 외국산 제품이 높은 시장점유율은 유지할 것으로 예상
- 중국 기업의 생산량은 2010년 1만5000개에서 2013년 4만 개로 늘며 매년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나 생산규모는 여전이 크지 않음.
중국 주요 임플란트 기업
연번 |
업체명 |
1 |
?西?科大??生部口腔?植科技中心(成都?西牙?植?院) (West China Medical University Ministry of Health Oral Planting Technology Center) |
2 |
北京??生物材料有限公司(Beijing BLBC Biomaterials Ltd) |
3 |
四川大?生物材料工程?究中心(Sichuan University Biomaterials Engineering Research Center) |
4 |
常州百康特??器械有限公司(Bioconcept Co.,Ltd) |
5 |
北京西格?方???子技?有限公司(Beijing SEG Oriental Medical Electronic Technology Co., Ltd) |
6 |
河北?大厚朴口腔?植科技中心(Hebei Medical University thick Pu oral cultivation technology center) |
7 |
?州康德?制品科技有限公司(Zhengzhou Kang De Tai Medical Technology Co.,Ltd) |
8 |
全球安聊科技股?有限公司(ALLIANCE GLOBAL TECHNOLOGY CO.,LTD) |
9 |
威海威高?利康生物材料有限公司(WEGO JERICOM Biomaterials Co.,Ltd) |
10 |
深?市安特高科??有限公司[Shenzhen Ant Hi-Tech Industrial Co.,Ltd(ANTMED)] |
자료원: 搜狐, 中???信息
ㅇ 2014년 5만5000개에서 2020년 21만5000개로 증가 전망
- 현재 중국 내 임플란트 생산업체 수량 및 생산규모는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으나, 시장수요 증가에 따라 국내 생산량도 증가세를 보이고 있음.
- 중국 기업의 생산량은 2014년 5만5000개에서 2020년 21만5000개로 증가 전망
2014~2020년 중국 임플란트 업체 생산능력

자료원: 中???信息
□ 수입동향
ㅇ 매년 30% 이상의 높은 수입시장 성장세
- 중국 내 높은 임플란트 수요에 힘입어 매년 30% 이상의 높은 수입신장세 지속
- 2016년 한 해 임플란트(HS Code 902129) 수입규모는 전년대비 32% 증가한 2억 달러로 성장
중국 임플란트(HS Code 902129) 수입현황
구분 |
2014 |
2015 |
2016 |
2017(1~8월) |
수입액(천 달러) |
132,262 |
156,287 |
206,372 |
174,099 |
증가율 |
38.9 |
18.2 |
32 |
34.1 |
자료원: KITA 중국 무역통계
ㅇ 한국, 중국의 2대 임플란트 수입국
- 2017년 8월 말 기준 국가별 수입현황을 살펴보면 스웨덴, 한국, 스위스, 독일, 미국, 이스라엘,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대만 순으로 나타남.
- 상위 5대 수입국의 비중이 절대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수입시장 확대에 따라 국가별로 고르게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중국의 국가별 임플란트(HS Code 902129) 수입현황
순위 |
국가명 |
2016 |
2017(1~8월) | ||
수입액(천 달러) |
증가율(%) |
수입액(천 달러) |
증가율(%) | ||
1 |
스웨덴 |
45,460 |
27.7 |
41,085 |
27.6 |
2 |
한국 |
51,172 |
61.7 |
40,366 |
31.2 |
3 |
스위스 |
40,633 |
6.2 |
31,125 |
23.3 |
4 |
독일 |
38,911 |
24 |
26,859 |
17.8 |
5 |
미국 |
13,384 |
25.8 |
19,837 |
155.6 |
6 |
이스라엘 |
4,818 |
74.3 |
6,522 |
146 |
7 |
프랑스 |
7,864 |
52.4 |
5,606 |
-1.3 |
8 |
이탈리아 |
1,323 |
225.6 |
1,074 |
111.5 |
9 |
스페인 |
598 |
85.665.3 |
565 |
30.7 |
10 |
대만 |
835 |
476 |
488 |
-24.8 |
자료원: KITA 중국 무역통계
ㅇ 외국업체 진출현황
- 중국 임플란트 시장은 글로벌 기업의 각축장으로 변모하고 있음.
- 미국 bicon, 스위스 straumann, 독일 Frialit, 프랑스 Anthogyr 등의 다국적 기업이 이미 진출해 있음.
- 우리나라의 임플란트 기업도 중국시장 개척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오스템 임플란트는 현지 법인을 설립해 적극적으로 마케팅 추진 중
□ 시사점
ㅇ 중국, 치과시장 잠재력 높음.
- 중국의 치과의료 분야는 의료서비스 시장에서 가장 낙후된 분야로 수요대비 크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남.
- 낮은 보건의식과 의료기관의 절대적 부족으로 선진국과 비교해 큰 차이를 보이고 있음.
- 중국의 고령화 추세 확산과 소득수준의 제고로 치과분야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할 전망
- 현재 중국 치과의료시장 규모는 이미 1000억 위안 수준에 다다르고 있음. 2020년에 이르러 치과의료설비, 관련 제품 및 서비스 시장규모는 4000억 위안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
- 현재 중국의 치과환자 수는 연간 약 3억 명을 넘어섰으며 향후 매년 3~15%의 증가세를 지속할 전망
ㅇ 중국 임플란트 시장, 블루오션 시장 기대
- 2020년까지 중국 임플란트 시장의 성장률은 30% 이상을 지속해 시장규모가 46억9000만 위안에 도달할 전망
- 중국 노령인구 중 치아 손실이 높은 수준으로 65~74세 인구의 치아 보존 수량은 20.9대/32대, 의치 치료율은 42.6%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남.
2014~2020년 중국 임플란트 시장 규모 전망

자료원: 中???信息
ㅇ 시장진출 포인트: 인증은 필수, 의료기술 교육 필요
- 시장진출을 위해서는 중국정부의 CFDA 인증이 필수적이며 비교적 장기간 시간이 소요되는 점을 감안해 조기에 인증신청을 하는 것이 중요
- 중국 교육기관의 의료수준이 아직까지 낙후돼 있어 임플란트 마케팅을 위해서는 치과의사를 대상으로 임상교육이 효과적
- CSR 형태로 임플란트 교육과 함께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 마케팅 효과 창출 가능
- 중국의 치과 의료진 공급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에서 소득수준과 수요가 높은 대도시에서 중소도시로 마케팅을 확대하는 것이 효과적
국가별 치과의사 보유현황 비교

자료원: 통계국, ?方?券?究所, 雪球
자료원: 오스템, 통계국, ?方?券?究所, 雪球, 好大夫在?, 搜狐, 中???信息, KITA 및 KOTRA 선전 무역관 자료 종합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