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중동 의약품 시장동향 및 진출전략

  • 등록일2018-01-11
  • 조회수5740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17-12-29
  •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
  • 원문링크
  • 키워드
    #중동
  • 첨부파일

출처 : KOTRA 해외시장뉴스


 중동 의약품 시장동향 및 진출전략




[목 차]


Ⅰ. 중동 의약품 시장 개요 / 3


Ⅱ. 국가별 시장 현황 및 특징 / 8

  1. 터키

 2. 이란

 3. 이집트

 4. 요르단

 5. 아랍에미리트

 6. 사우디

 7. 이라크

 8. 이스라엘

 9. 쿠웨이트

 10. 카타르


Ⅲ. 시사점 및 진출전략 / 208


Ⅳ. 참고자료 / 210

  1. 인허가 기관

 2. 기타 협회, 유용한 사이트

 3. 관련 전시회

 4. 의약품 수입 주요 에이전트


[요 약]

□ 중동 의약품 시장 개요


 ○ (시장 현황) MENA지역의 2016년 기준 의약품 판매 규모는 316억 달러, 의료 지출 규모는 1,702억 달러이며, 의약품 부문은 완만한 상승세를 보임


 ○ (중동 의약품 수입 현황) 산유국 저유가로 인한 재정악화에 수입시장은 다소 축소되었지만, IS 퇴치 및 유가상승 흐름으로 인해 점진적 증가 예상

- 품목별 의약품 수입 비중은 HS Code 3004(74%), 3002(22%), 3003(4%) 순 (‘16년 중동의 의약품 수입액 기준)

 ○ (한-중동 의약품 교역) 한국의 對중동 국가별 의약품 수출 비중은 터키(74%), 이란(24%), 이집트(20%), 요르단(13%), 아랍에미리트(8%), 사우디아라비아(5%) 순 (‘16년 한국의 對중동 수출액 기준)

□ 주요국 의약품 시장 정보

○ (터키) 미숙련 노동자, 열악한 인프라 등에도 불구하고, 의료서비스 수요층 증가에 따라 R&D 및 혁신개발역량 높은 한국 기업에 기회 시장

○ (이란) 향후 지속적인 시장 발전을 기대할 수 있으나 다국적 제약 회사 및 현지 기업들 간 치열한 경쟁이 불리한 요소로 작용


○ (이집트) 의약품시장은 16년 매출액 기준 약 35억 달러 규모로, 사우디에 이어 MENA지역에서 두 번째로 큰 의약품 시장이며 당분간 수입 의존 추세 지속될 전망

○ (요르단) 제약산업은 요르단의 주요 산업분야로 총 수출액에서 3위를 차지하지만 현지 제약 회사들이 국내 수요가 있는 다양한 종류의 의약품을 생산하지 못해 수입 의존도 높음

○ (아랍에미리트) 우수한 의료 인프라를 바탕으로 중동 내 가장 발달한 의료시장이며, 한국 의약품의 효능과 품질 등 높게 평가

○ (사우디아라비아) 비만·흡연 관련 질환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저유가에 따른 정부지출 축소에 따라 저렴한 한국산 제품 관심 고조

○ (이라크) 글로벌 저유가현상 및 ISIS 퇴치 전투 등으로 전체 수입규모가 감소하고 의료 인프라도 열악한 편이지만, 일부 의약품 중심으로 수요 회복세

○ (이스라엘) 이스라엘 복제약은 전세계적으로 유명하여 현지 생산 비중이 높고 비관세 장벽이 존재하는 탓에 해외 다국적 기업의 현지 시장 진출이 낮음


○ (쿠웨이트) 시장 규모는 인구적인 요인으로 다른 GCC 국가와 비교했을 때 작은 편이나, 일인당 의약품 지출 금액이 높고
수입의존도가 97%에 달함

○ (카타르) 의약품 수입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정부의 내수생산기반 정책이 확대되는 가운데 미국·유럽에 비해 낮은 한국산 인지도

□ 우리기업 진출전략

 ○ (SWOT분석)
    - (S) 가격경쟁력, GCC국가의 의료보험 체계화 실시
   - (W) 미국·유럽 등 선진국의 시장 선점, 중국산 대비 낮은 가격경쟁력
   - (O) 국민보건 시스템 구축 추진, 정부주도 의료시설 투자 확대
   - (T) 자국산 보호 정책 심화, 복잡한 등록절차 및 소요시간 장기화

 ○ (진출전략) 유능한 현지 에이전트와의 파트너십 체결에 주력, 의약품 등록 시 타국가 등록 활용, JV 또는 R&D 시설 설립 고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