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인도 보건의료산업 동향 조사 및 인도환자 유치 방안 마련
- 등록일2018-04-12
- 조회수5159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18-04-10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인도 보건의료산업#인도#인도환자
- 첨부파일
인도 보건의료산업 동향 조사 및 인도환자 유치 방안 마련
[목차]
제1장 국가 정보
제2장 보건의료시장 현황 조사
제3장 의료법
제4장 의료관광 현황
제5장 인도환자 유치 전략
참고문헌
부록
[요 약 문]
제1장 국가 정보
1. 국가 개황
ㅇ 인도 인구는 13억 2,680만 명으로 세계 2위인 동시에 최대 민주주의 국가임
ㅇ 인도 사회는 언어, 종교, 민족 등에서 다양성을 보이고 있으며, 인구의 절반이 25세 이하로, 젊은 인구 층은 인도 경제의 큰 경쟁력임
ㅇ 인도는 GDP 세계 7위로 경제 규모 면에서는 이미 글로벌 강국이며, 성장 속도도 빠르게 증가하여 2030년 이후 미국, 중국과 함께 3대 경제대국으로 글로벌 경제 질서를 재편할 것으로 기대됨
2. 일반 현황
ㅇ 인도 사회는 언어, 종교, 민족 등에서 다양성을 보이고 있음
- 인도의 헌법에서 인정한 공용어는 총 22개에 이름
- 힌두교(80.5%), 이슬람교(13.4%), 시크교(1.9%) 외 불교, 자이나교 등 다양한 종교가 공존 하고 있음
- 인도의 다양성은 인도 강점이자 인도를 위협하는 요소임
(코뮤널리즘(Communalism): 힌두교와 무슬림과의 대립)
ㅇ 풍부한 노동력과 거대 내수시장 보유
- 유엔 경제사회국(UNDESA)에 따르면 세계 2위의 인구는 2022년에는 중국을 넘어 세계 1위의 인구대국이 될 전망으로 중산층 인구의 급증으로 내수시장 규모가 확대될 전망임
- 인구 절반이 25세 이하이며, 젊은 인구 층은 인도경제의 큰 경쟁력임
ㅇ 모디노믹스 추진에 따른 경제성장세 지속
- Make in India 등 모디노믹스 추진에 따라 스마트시티 구축, 초고속 열차 건설 등 신규 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며 투자환경 개선을 위한 친시장 정책 시행
- 모디 정부의 친시장 정책 시행으로 인한 외국인직접투자 확대 등으로 외환 보유액 증가
ㅇ 실질구매력 평가기준에서 볼 때 미국, 중국에 이어 세계 제 3위의 경제규모를 가지고 있음
- 특히 2000년 이후 고성장이 지속됨에 따라 소득수준이 확대 추세에 있으며, 초고액 자산가의 수가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음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