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中 5월 1일부로 항암제 등 28종 수입약품 “0%” 잠정관세 적용
- 등록일2018-05-15
- 조회수5195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18-05-02
-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
- 원문링크
-
키워드
#항암제
中 5월 1일부로 항암제 등 28종 수입약품 “0%” 잠정관세 적용
???- ??중국 내 폭발적 수요를 충족하고 약품가격 인하가 주 목적 ?-????
?- ?업계는 약품가격 하락에 영향이 미미할 것으로 전망 -
□ 개요
ㅇ 중국 정부는 내달부터 수입산 항암제 등 28종 약품 관세를 완전 철폐할 예정
- 중국 재정부는 지난 23일 “2018년 5월 1일부로 수입산 항암제 등 28종 약품에 대해 0%의 잠정관세를 적용한다”고 공고
* 공고문(클릭시 이동): http://gss.mof.gov.cn/zhengwuxinxi/zhengcefabu/201804/t20180423_2874912.html
- 수입산 항암제 관세 철폐는 지난 4월 12일 리커창 총리가 중국 국무원 상무회의에서 언급했으며 이번 공고는 행정절차를 거쳐 구체화한 것임.
□ 관세 인하 품목
ㅇ 관세인하 품목은 항암제, 항생제, 한방약 등
ㅇ 이번 관세철폐 대상 28종 약품의 MFN(최혜국) 세율은 4~6%, 수입관세율 인하폭은 4~6%P 수준
ㅇ 28종 약품의 2017년 수입액 합계는 171억5,935만 달러
- 이중 대한국 수입액은 9,861만 달러로, 비중이 0.57%로 미미함.
28종 관세철폐 약품 수입동향
(단위: US$ 천, %)
순번 |
HS CODE |
상품명 |
2017 수입액 |
2017 대한국 수입동향 | |||
수입액 |
증감률 |
수입액 |
증감률 |
순위 | |||
1 |
3004.1011 |
암피실린 조제품 |
5,727 |
△38.6 |
- |
- |
- |
2 |
3004.1012 |
아목시실린 조제품 |
50,221 |
20.9 |
- |
- |
- |
3 |
3004.1013 |
페니실린 v 조제품 |
1,300 |
49.7 |
- |
- |
- |
4 |
3004.1019 |
기타 페니실린 |
43,103 |
475.2 |
- |
- |
- |
5 |
3004.1090 |
기타 |
507 |
△94.5 |
- |
- |
- |
6 |
3004.2011 |
세포탁심 조제품 |
0 |
△100 |
- |
- |
- |
7 |
3004.2012 |
세프타지딤 조제품 |
14,990 |
11.2 |
2,224 |
△48.2 |
2 |
8 |
3004.2013 |
세폭시틴 조제품 |
20 |
- |
- |
- |
- |
9 |
3004.2014 |
cefotazole 조제품 |
6,474 |
256.6 |
6,474 |
256.6 |
1 |
10 |
3004.2015 |
세파클러 조제품 |
1,048 |
- |
- |
- |
- |
11 |
3004.2016 |
세푸록심 조제품 |
97,871 |
△14.7 |
- |
- |
- |
12 |
3004.2017 |
세프트리악손 조제품 |
18,787 |
73.4 |
- |
- |
- |
13 |
3004.2018 |
세포페라존 조제품 |
0 |
△100 |
- |
- |
- |
14 |
3004.2019 |
기타 세팔로스포린 |
87,094 |
51.6 |
13,335 |
△25.4 |
3 |
15 |
3004.2090 |
기타 |
1,167,446 |
42.5 |
6,639 |
△30.5 |
19 |
16 |
3004.3110 |
재조합 인간 인슐린 함유 약품 |
213,700 |
△9.8 |
- |
- |
- |
17 |
3004.3190 |
기타 인슐린 함유 약품 |
408,309 |
5.2 |
- |
- |
- |
18 |
3004.3200 |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함유한 의약품 |
1,320,750 |
19.5 |
3,866 |
290.9 |
11 |
19 |
3004.3900 |
기타 |
1,236,002 |
22.3 |
1,383 |
25.2 |
17 |
20 |
3004.4900 |
기타 알칼로이드 함유 약품 |
259,487 |
- |
- |
- |
- |
21 |
3004.5000 |
기타(제2936호의 비타민이나 그 밖의 물품을 함유한 것으로 한정한다) |
305,439 |
18.1 |
- |
- |
- |
22 |
3004.6010 |
아르테미시닌 함유 약품 |
98 |
- |
- |
- |
- |
23 |
3004.6090 |
기타 |
- |
- |
- |
- |
- |
24 |
3004.9010 |
술폰 아미드 함유 약품 |
45,257 |
179.8 |
- |
- |
- |
25 |
3004.9051 |
중국 의약 포도주 |
500 |
23.1 |
- |
- |
- |
26 |
3004.9054 |
냉각 오일 |
0 |
△100 |
- |
- |
- |
27 |
3004.9059 |
기타 한방약 |
367,150 |
14.4 |
11 |
- |
10 |
28 |
3004.9090 |
기타 |
11,508,071 |
22.3 |
64,680 |
11.1 |
20 |
합계 |
17,159,351 |
98,612 |
주: 증감율 “-”로 된 품목은 그 전년도가 수입이 없기 때문임.
자료원: GTA
□ 배경
ㅇ 중국 내 암환자 급증에 따른 항암제 수요 폭발적 성장
- 중국 국가암센터의 발표에 따르면 '15년 중국의 신규 암환자 수는 429만 명으로 세계 신규 암환자 수(1,409만 명)의 30.4%를 차지하며 암사망자는 281만 명에 달함. (2017년 중국 종양 등록 연간보고서)
* 중국 신규 암환자 수: 2005년(259.6만 명) → 2010년(309.3만 명) → 2015년(429.2만 명)
ㅇ 암 환자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약품 선택 폭을 넓히기 위한 조치
- 공급 부족으로 항암치료제 가격이 과도하게 높다는 중국 내 불만 고조
- 특히 중국 약품보다 부작용이 적어 수요가 많은 수입산 약품은 의료비 지원대상에서 제외
□ 전망 및 시사점
ㅇ 중국 의약품 시장 정비 정책들이 속속 제정/발표될 것으로 전망됨.
- 지난 4월 12일 국무원 회의에서 항암제 등 수입산 신약에 대해 1) 의료보험 적용 2) 불필요한 유통단계 축소 3) 심사 간소화 등을 취하는 방식도 연구하기로 함.
- 또한 임상실험 신청을 기존의 심사제에서 “만기묵인제(到期默認制, 정부가 만기 때까지 묵인하면 사실상 허가하는 방식)”로 바꾸는 등 신약 출시 속도를 제고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연구 중
ㅇ 중국 정부는 의약품 관련 지재권 보호도 강화한다는 방침
- 업계에는 중국 내 지재권 제도 미비로 외자기업들이 중국 진출 시 주춤하고 로컬 기업이 R&D 투자를 망설인다는 지적이 존재함.
- 중국 국무원은 신약의 최장 5년 데이터 보호기한을 설정해 보호기한 내 동일한 약품종의 시장 판매를 승인하지 않기로 하는 등 정책을 예고함.
* 특히 중국과 해외 시장에서 동시 판매 신청을 한 신약은 최장 5년의 특허권 보호기한의 보상을 주기로 함.
ㅇ 현지 의약품 S사 관계자는 “중국에서 일반적으로 수입약품에 붙는 관세는 4~6% 수준, 5월 1일부로 수입증치세도 인하, 이는 환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약값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는 않다”고 평가(KOTRA 베이징 무역관 인터뷰)
- 5월 1일부로 수입증치세도 기존의 17%에서 3%로, 14%P 대폭 인하됨.
- 이보다도 수입약품 유통단계 간소화, 의료보험 적용범위 확대 등 조치가 약값 인하에 더 효과적이라고 전함.
자료원: 중국 재정부, 베이징 일보(北京日報) 등 KOTRA 베이징무역관 종합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