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핀란드 의료기기 시장동향
- 등록일2018-05-29
- 조회수5566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18-05-23
-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
- 원문링크
-
키워드
#핀란드 의료기기
핀란드 의료기기 시장동향
- 사회 고령화, 노후기기 교체시기 도래 등으로 최근 급성장 중 -
- 미국·EU국가에서 시장 장악하고 있으나 우리 기업도 인증확보 및 기술경쟁력 제고로 시장진출 시 충분히 가능성 있어 -
□ 대상 품목
ㅇ 상품명: 의료기기(HS 9018, HS 901890)
- 의료용 전자기기, 전기식 의료기기(과학 장비, 기타 전기 장비 및 시력 측정 장비를 포함한 의료, 외과, 치과 또는 수의학 과학에 사용되는 기구 및 기기)
□ 시장규모 및 시장동향
ㅇ 2016년 기준 핀란드 의료기기 시장 규모는 약 9억 달러로, 2020년까지 빠른 성장이 기대
- BMI Research에 따르면, 2020년 의료기기 수요는 10억 5,000만 달러로 2016년 9억 1,800만 달러 대비 14.4% 성장 전망
- 핀란드 주요 병원들은 기존 기기/장비를 신형으로 교체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민간 의료기기분야의 투자는 현재의 상승세 지속예상
핀란드 의료기기 시장규모
(단위: 백만 달러)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
전체 시장규모 |
923 |
918 |
943 |
969 |
999 |
1,050 |
주 : 2018-2020년은 예상치
자료원: BMI Research(Business Monitor Int’l)
ㅇ 핀란드, 초고령사회 진입에 따라 의료비 지출 지속적 확대 예상
- 핀란드는 2015년 기준 전체 인구의 10.6%가 65세 이상인 고령사회의 상태에 있으며, 2020년 이후 20.0%를 넘을 것으로 예상되어 UN이 정의하는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예정
- 이에 따라 의료시장 규모 자체가 빠르게 증가, 급성장이 예상됨.
* 고령화사회(Ageing Society) : 65세 인구비율, 7% 이상
* 고령사회(Aged Society) : 65세 인구비율, 14% 이상
* 초고령사회(Post-aged Society) : 65세 인구비율, 20% 이상
ㅇ 2016-2020년 기간 중 치과장비/영상장비를 중심으로 IT 등 신기술 응용제품의 수요 증가 추세
- 핀란드 병원은 최신 의료기술 시도에 매우 적극적이며, 핀 의료진들은 기술적인 노하우에 대해 매우 밝은 편인 관계로 하이테크 제품 도입에 개방적인 분위기
ㅇ 특히, 정밀 의료기기 부문이 핀란드에서 가장 큰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효율성을 제고함과 동시에 현재 의료시설에 설치되지 않은 희소기기들이 가장 유망.
- 유망 의료기기
-
치과장비
-
자기공명영상(MRI) 장비
-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
경침습수술(Mini Invasive Surgery; MIS)
-
통원수술 장비(Day Surgery Equipment)
-
비디오 내시경
-
디지털 이미지 처리
-
사진 보관
-
혈당 측정기
□ 최근 3년간 수입규모 및 수입동향
ㅇ 미국/EU 대상 수입물량이 전체 수입의 약 80%를 차지하는 가운데, 중국과 일본이 선전 중
- 2017년 기준, 대미 수입이 전체의 22.1%, EU수입이 57.4%를 차지(독일 17.2%, 스웨덴 7.9%)
- 미국/EU 제외시 중국(6위)와 일본(7위)이 각각 4.4%, 3.8%의 점유율로 10위권 이내를 차지
핀란드 의료기기(HS 9018) 수입현황
(단위 : €, %)
순위/국가 |
2015 |
2016 |
2017 | ||||
수입액 |
증감률 |
수입액 |
증감률 |
수입액 |
증감률 | ||
Total |
395,574,948 |
14% |
451305,992 |
14% |
463,436,872 |
3% | |
1 |
미국 |
94,293,464 |
10% |
116,440,228 |
23% |
102,554,876 |
-12% |
2 |
독일 |
66,854,532 |
9% |
78,655,694 |
18% |
79,449,570 |
1% |
3 |
스웨덴 |
33,629,424 |
18% |
34,340,182 |
2% |
36,105,546 |
5% |
4 |
네덜란드 |
15,891,989 |
-15% |
20,265,000 |
28% |
24,001,079 |
18% |
5 |
스위스 |
17,188,047 |
5% |
18,719,846 |
9% |
20,150,789 |
8% |
6 |
중국 |
20,688,508 |
18% |
18,390,755 |
-11% |
18,434,471 |
0% |
7 |
일본 |
16,323,861 |
4% |
16,342,415 |
0% |
16,493,516 |
1% |
8 |
덴마크 |
14,303,798 |
3% |
16,301,112 |
14% |
19,433,962 |
19% |
9 |
아일랜드 |
17,868,987 |
-2% |
16,242,619 |
-9% |
16,719,993 |
3% |
10 |
영국 |
9,209,639 |
3% |
11,361,991 |
23% |
12,002,564 |
6% |
23 |
한국 |
2,945,622 |
2% |
3,085,995 |
5% |
3,247,142 |
5% |
자료원 : 핀란드 관세청
□ 대한 수입규모 및 동향
ㅇ 대한 수입은 2017년 기준 전체수입의 0.7%로 미미한 수준이지만, 최근 5%대의 빠른 증가세를 보임
- WTA통계에 따르면, 당뇨측정기, 자동수액주입기, 산소포화도측정기, 혈류량계, 심장제세동기 등 품목의 대한수입이 최근 크게 증가
- 특히, 한국산 당뇨병 관련 제품의 브랜드 인지도가 높아지고 있음.
대한수입 유망품목
품목명(HS코드) |
전체수입액(천U$) |
한국제품 수입액(천U$) | ||||
2015 |
2016 |
증가율 (16/15) |
2015 |
2016 |
증가율 (16/15) | |
당뇨측정기(901890) |
170,007 |
178,236 |
4.8% |
507 |
698 |
37.6% |
자동수액주입기(90189050) |
170,007 |
178,236 |
4.8% |
507 |
698 |
37.6% |
산소포화도측정기(901890) |
170,007 |
178,236 |
4.8% |
507 |
698 |
37.6% |
혈류량계(901890) |
170,007 |
178,236 |
4.8% |
507 |
698 |
37.6% |
심장제세동기(901819) |
64,170 |
86,260 |
34.4% |
314 |
407 |
29.8% |
자료원 : Global Trade Atlas
ㅇ 시장 특성상 미국·독일 등 글로벌 기업들과의 경쟁을 위해서는 빠른 A/S 제공이 필수
- 이미 강한 입지를 확보하고 있는 미국 및 독일 브랜드와의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빠른 사후 서비스의 제공 여부가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한 현지사무소 운영을 적극 추천.
핀란드 의료시장 경쟁사 주요제품
브랜드(국가) |
제품 이미지 |
가격 |
최종 소비자 |
Beurer (독일) |
![]() |
€64,90 |
병원 및 개인소비자 |
CareSens (뉴질랜드) |
![]() |
€45,90 |
병원 및 개인소비자 |
Evercare (폴란드) |
![]() |
€29,90 |
병원 및 개인소비자 |
FreeStyle/Abbott (미국) |
![]() |
€24,90 |
병원 및 개인소비자 |
자료원 : KOTRA 헬싱키무역관 자체 자료
□ 유통구조
ㅇ 일반적인 의료기 유통구조는 ‘공급자→(공공입찰)병원/소매점→일반소비자’로 구성
- 국공립병원, 치과 등은 공공입찰을 통해 수입업체, 의료기제조사로부터 제품을 구매
- 일반소비자들은 약국과 가전제품 매장 등에서 병원 처방전으로 의료기 구매
핀란드 의료기기 시장 유통구조

자료원 : KOTRA 헬싱키무역관 자체자료
ㅇ 핀란드 시장진입을 위해서는 현지 디스트리뷰터를 통한 거래선 확보가 가장 효과적이며, 디스트리뷰터 확보를 위해서는 인증 및 객관적 데이터 준비가 필요
- 핀란드 바이어들은 유럽 수출 필수요소인 CE인증을 매우 중요시 여기며, 이밖에 기타 유럽국가에 수출 이력이 있는 제품에 대한 신뢰가 높음.
- 신기술 제품의 경우에도 성능과 정확성을 인증할 수 있는 객관적인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는 경우에 거래가 가능.
핀란드 주요 의료기기 디스트리뷰터
(단위 : 백만 유로)
순위 |
회사명 |
주요품목 |
웹사이트 |
설립년도 |
매출액 (’16년) |
1 |
Berner Oy |
의료기 전반 |
www.berner.fi |
1942 |
210 |
2 |
Mediq Suomi Oy |
의료기 전반 |
2009 |
60.7 | |
3 |
Onemed Group Oy |
의료기 전반 |
1999 |
48 | |
4 |
Hammasvaline Oy |
치과기기 |
1992 |
35 | |
5 |
Magnum Medical Finland Oy |
약품 |
www.magnummedical.fi |
2004 |
30.3 |
6 |
Merivaara |
의료용가구 |
1998 |
30 | |
7 |
Steripolar Oy |
의료기 전반 |
www.steripolar.fi |
1985 |
14.6 |
8 |
Mediplast Fenno Oy |
의료기 전반 |
www.mediplastfenno.fi |
2015 |
14 |
9 |
Lojer |
의료용 가구 |
2013 |
13.9 | |
10 |
Oy Vestek Ab |
의료 소모품 |
www.vestek.fi |
1962 |
12.5 |
11 |
Triolab Oy |
진단기기 |
www.triolab.fi |
1986 |
10.6 |
12 |
Sabora Pharma Oy |
의료기, 소모품 등 |
www.sabora.fi |
1997 |
6.0 |
13 |
JH Hammastuote |
치과기기 |
2008 |
1.7 | |
14 |
Pedihealth Oy |
어린이용 의료기 |
1986 |
1 |
자료원 : KOTRA 헬싱키무역관 자체 자료
□ 관세율 및 인증
ㅇ 한국산 의료기기 품목은 한-EU FTA에 따라 관세 면제
- 부가세(24%)는 국가에 상관없이 모든 제품에 적용.
ㅇ 유럽은 기본적으로 대부분의 수입제품에 CE마크를 요구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의료기기 또한 CE인증의 대상
* CE인증 관련 정보 :
http://news.kotra.or.kr/user/globalAllBbs/kotranews/album/2/globalBbsDataAllView.do?dataIdx=163137&column=&search=&searchAreaCd=&searchNationCd=&searchTradeCd=&searchStartDate=&searchEndDate=&searchCategoryIdxs=&searchIndustryCateIdx=&page=3&row=10
□ 시사점
ㅇ 핀란드 의료기기 시장 진출기회 SWOT 분석
Strengths § 한국 의료기기에 대한 호평 § 유럽제품 대비 가격경쟁력 보유 § 일부 제품의 높은 브랜드 인지도 |
Weaknesses § 유럽산 제품에 비해 긴 배송기간 § 글로벌기업 제품 대비 낮은 브랜드 인지도 § CE 등 강제인증 보유 미비 |
Opportunities § 초고령사회 진입에 따른 핀란드 의료시장의 급격한 성장세 § 현지 의료진의 적극적인 신기술 수용 태도 |
Threats § 한국산 제품의 가격상승 추세 § 중국산 제품의 빠른 품질개선 § 동유럽 제조기업의 신규 시장진입 |
ㅇ 한국기업은 최근 당뇨측정기·자동수액주입기 등 일부 품목을 중심으로 인지도를 높이고 있음
- 미국·EU국가들이 이미 시장을 장악하고 있으나, 품질 및 기술 경쟁력 강화 및 현지거래선 확보를 통해 시장확보 가능 예상
ㅇ 기술경쟁력을 중시하는 시장특성상 제품 성능·품질에 대한 객관적인 증빙 필수
- 핀란드 의료기기 바이어들은 품질 및 기술을 매우 중요시 여기며, 신규 공급업체 선정에 까다로운데, 특히 CE인증과 유럽 수출이력을 보유한 기업에 대한 신뢰도가 절대적
- CE인증을 구비하지 않을 경우 미팅이 불가한 경우가 많으므로, 인증 우선확보 후 바이어를 접촉하는 것이 수출가능성을 높일 수 있음.
- 제품 가치를 높일 수 있도록 FDA 등 추가인증 취득시 바이어 확보가 더욱 용이
ㅇ 기타 유럽국가들에 비해 떨어지는 물류, A/S 경쟁력 확보 필요
- 인근 유럽국가 대비 딜리버리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점을 보완할 수 있는 물류 조건 제시 필요
- 사후관리가 필수적인 시장 특성을 감안, 현지 파트너 확보 또는 A/S 사무소 운영 등을 통해 신속한 서비스 제공 필요(제품 공급시 딜러에게 A/S 부품을 함께 공급하는 방식도 네고시 대안으로 제시 가능)
ㅇ 핀란드의 내수시장이 소규모인 바, 낮은 MOQ(Minimum Order Quantity; 최소주문물량)에 대응할 수 있는 탄력적인 배송조건 마련 필요
- 초기 물량은 적으나 재구매 확률이 높고, 북유럽·발트3국·러시아 등 인근국가로 재수출 비율이 높은 점을 감안하여, 초기에는 소수의 물량도 대응할 수 있는 전략 필요
□ 의료기기 관련 주요기관, 협회 및 전시회 정보
ㅇ 정부기관 및 협회
기관명 |
VALVIRA(복지보건 감독국) |
기관성격 |
정부산하기관 |
주요업무 |
· National Supervisory Authority for Welfare and Health · 핀란드 사회보건 분야 감독기관 · 라이센싱(의료종사자, 병원, 주류 등) |
홈페이지 |
www.valvira.fi |
전화번호 |
+358-295-209-111 |
이메일 |
viestinta@valvira.fi |
기관명 |
The Finnish Medical Association(핀란드 의사협회) |
기관성격 |
일반협회 |
주요업무 |
· 의사들의 노동조합 · 핀란드 정부의 의료관련 정책에 기여 |
홈페이지 |
www.laakariliitto.fi |
전화번호 |
+358-9-393-091 |
이메일 |
laakariliitto@laakariliitto.fi |
기관명 |
The Finnish Dentist Association (핀란드 치과 협회) |
기관성격 |
일반협회 |
주요업무 |
· 치과의사들의 유대감 강화 및 이익 대변 · 치과의사들의 노동조합 |
홈페이지 |
www.hammaslaakariliitto.fi |
전화번호 |
+358-9-622-0250 |
이메일 |
toimisto@hammaslaakariliitto.fi |
기관명 |
Finnish hospital and laboratory Equipment Association (핀란드 의료기협회) |
기관성격 |
일반협회 |
주요업무 |
· 의료기회사들의 비즈니스 대변 · 산업 내 정보 교류 |
홈페이지 |
www.sailab.fi |
전화번호 |
+358-40-741-6299 |
이메일 |
sailab@sailab.fi |
ㅇ 주요 전시회
전시회명 |
The Finnish Medical Convention and Exhibition |
개최규모 |
참가업체 200개사, 참관객 6천여명 |
개최주기 |
매년 |
최초 개최년도 |
1972년 |
개최기간 |
2018.1.10.-1.12 |
전시장 |
Helsinki Exhibition Center |
전시회 홈페이지 |
http://laakaripaivat.messukeskus.com/?lang=en | ||
주요 전시품목 |
의료 제품 및 기술 | ||
주최기관 |
The Finnish Medical Association (FMA) | ||
주최기관 주소 |
Makelankatu 2, PL 49 00501 Helsinki | ||
비고 |
의료, 제약, 보건 분야 핀란드 최대 전시회 |
전시회명 |
Finnish Dental Congress and Exhibition |
개최규모 |
참가업체 100여개사, 참관객 8천여명 |
개최주기 |
매년 |
최초 개최년도 |
1939년 |
개최기간 |
2018.11.22-11.24 |
전시장 |
Helsinki Exhibition Center |
전시회 홈페이지 |
http://laakaripaivat.messukeskus.com/?lang=en | ||
주요참가국 |
핀란드, 북유럽 국가 | ||
전시 분야 |
치과 관련 | ||
주요 전시품목 |
치과용 제품 및 기술 | ||
주최기관 |
Finnish Dental Society Apollonia |
* 자료원 : BMI Research, Global Trade Atlas, 핀란드 관세청, The Finnish Medical Association, KOTRA 헬싱키무역관 자체 자료 종합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