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프랑스, 유망한 일자리로 떠오른 바이오산업

  • 등록일2018-06-11
  • 조회수4691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프랑스, 유망한 일자리로 떠오른 바이오산업

 

 

- 바이오 분야 일자리, 2017년 14% 증가 및 최근 5년간 연평균 9.5% 증가 -
- 2017년 바이오 시장규모 83억 유로로 전년대비 17% 증가 -

 

 

□ 2017년 바이오 분야 일자리 14% 증가

 

  ㅇ 프랑스 바이오 분야에서 일자리 창출이 가속화되고 있음.

 

  ㅇ 프랑스 바이오청(Agence Bio)의 최근 보도에 따르면, 해당 분야에서 종사하는 직접 고용자 수는 풀타임 근로시간 기준으로 13만4500명에 달한 것으로 추정됨. 이는 전년대비 14% 증가한 것임.

 

  ㅇ 플로랑 귈(Florent Guhl) Agence Bio 청장은 지난 1일 기자 회견에서 "이제 프랑스의 바이오 산업은 규모가 변하고 있는데, 특히  고용 문제에서 더욱 그렇다"고 강조함.

    - 최근 5개년 동안 연평균 9.5%의 고용 증가율을 기록함.

 

  ㅇ 해당 분야의 업종별 일자리 수는 농업 8만8400개, 유통업 2만8900개, 가공업 1만5000개 및 서비스업 2200개로 유기농업이 전체의 65.7%로 1위였으며 유통업도 38.9%로 2위를 차지했음.

 

  ㅇ 이처럼 바이오 분야에서 일자리가 지속 증가하는 등 성황을 보이고 있는 이유는 첫째로 프랑스 소비자들의 바이오 식품에 대한 열기 및 대형 유통망에서의 바이오 제품 보급의 지속 증가에 기인함.

    - 실제로 지난해 프랑스 중?대형 마트(GMS)는 바이오 제품 유통시장의 46%를 차지해 바이오 전문 매장(36%)을 앞질러 1위였는데 바이오 식료품 판매는 27%, 바이오 과일 및 채소 판매는 22% 증가했음.

 

  ㅇ 둘째 이유는 과일, 채소 및 포도 전용으로 확장 중인 바이오 농장이 일반 농장보다 더 많은 일손을 필요로 하는 특성에 기인함.

    - 실제로 프랑스의 바이오 경작지 비중은 6.6%인데 비해, 해당 분야 종사자의 비중은 12.5%로 거의 2배에 달함.

 

  ㅇ 셋째 이유는 바이오 제품 제조업체들이 Bjorg에 이어 매출 3억4000만 유로를 목표로 지속 증가하고 있는 해당 분야 2위 '레아 나튀르(Lea Nature)'처럼 팽창하고 있는 데에 기인함.

 

 

바이오 농산물 재래시장

 

6-1.png

 

자료원: 레제코(Les Echos)

 

 

□ 수입 증가세

 

  ㅇ 그에 반해, 프랑스 바이오산업의 발전은 83억 유로로 17% 증가한 자국 시장의 비약에 대응하는 곳을 허용하지는 못하고 있음.

    - 프랑스의 바이오 소비량 기준, 수입품의 비중은 지난해 31%로 전년대비 2%p 높아졌음.

 

  ㅇ 프랑스 정부는 이러한 현상을 억제하기 위한 '야심찬 바이오 계획(Plan Ambition bio)'을 수립했음.

    - 주 목표는 2022년까지 바이오 경작지 비중을 현재의 6.6%에서 15%로 확장한다는 것임.

 

  ㅇ 일부 지방들은 제르(Gers) 및 드롬(drome) 지방처럼 바이오 농업이 발달해 있다면, 대량 생산 쪽으로 전환한 브러타뉴(Bretagne)나 곡물 농업은 뒤쳐져 있음.

    - 유럽 1위 곡물 생산국인 프랑스가 바이오 곡물을 수입해야만 하는 처지임.

 

□ 전망 및 시사점

 

  ㅇ 프랑스에서 바이오산업이 급성장하면서 기존의 농식품 산업보다 2배 이상의 고용창출 효과를 보임. 이에 따라 향후 유망한 일자리 창출산업으로 각광받고 있어 국내 관련 업계 및 정책 기관에 시사하는 바가 큼.

 

  ㅇ 특히 부가가치가 높고 노동집약적이라는 특성상 기존의 농업에 비해 2배 이상의 일손이 필요함. 재배에서부터 제조 및 유통 그리고 서비스에 이르기까지 학력이나 특별한 재능에 관계 없이 누구에게나 일자리를 제공해주고 있다는 점에서도 생태계 육성 전략이 필요한 산업인 것으로 나타남.

 

  ㅇ 프랑스 정부가 일자리 창출 및 농가 소득 증대 등 경제적 효과가 큰 바이오 농경지 배가를 목표로 한 야심적인 바이오 산업 육성 계획(Plan Ambition bio)을 수립한 것처럼 우리나라도 해당 산업의 육성으로 일석이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데에 주력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됨.

 

  ㅇ 바이오 전문 매장 등 유통 분야에 청년들이 창업 진출하는 방법을 통한 국내산 바이오 제품 수출증대 및 일자리 창출의 효과를 기대해 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임.

 

 

자료원: 프랑스 일간 레제코(Les Echos), 프랑스 바이오청(Agence Bio), KOTRA 파리 무역관 보유자료 종합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