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태국 의약품 시장동향
- 등록일2018-07-03
- 조회수6637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18-06-21
-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
- 원문링크
-
키워드
#태국 의약품
태국 의약품 시장동향
- 고령화 사회 가속화, 메디컬 허브 정책 타고 의약품시장 발전 -
- 태국, 의약품시장 성장에 한국 업체 수출 가능성 높아져 -
- 정확한 서류일체 구비가 의약품 인증의 관건 -
□ 상품명 및 HS Code
ㅇ 상품명: 기타 의약품(HS Code 3004.90)
- 혼합한 것인지에 관계없으며 치료용이나 예방용의 것으로서 일정한 투여량으로 한 것(피부 투여의 형식을 취한 것 포함)과 소매용 모양이나 포장을 한 것으로 한정
ㅇ (선정 사유) 태국의 의약품시장은 동남아시아에서 큰 편이며, 의약품 관련 수입의존도가 높은 편임.
- 퍼시픽 브릿지 메디컬(Pacific Bridge Medical)의 보고서에 따르면 태국 의약품 시장규모는 약 50억 달러로 동남아 시장에서 2번째로 큰 규모임.
- 태국은 의약품 수출입시장에서 오랫동안 경상수지 적자를 유지해 옴. HS Code 3304 품목의 경우 2017년 기준 태국의 의약품 수출 규모는 3억6232만 달러를 기록했으나, 수입규모는 15억5699만 달러에 달해 수입규모가 수출규모의 약 4.3배에 해당
- 태국 의약품시장 확대에 따라 최근 한국 기업으로부터 의약품 인증 절차 및 시장 관련 문의가 증가하는 추세임.
□ 시장규모 및 동향
ㅇ 비엠아이 리서치(BMI Research)에 따르면, 2017년 태국의 의약품 시장규모는 전년 대비 약 7.7% 성장한 49억2000만 달러를 기록함.
- 또한 태국의 인구 고령화와 질병 발생률 증가, 30밧(0.9달러) 의료보험정책(Universal Coverage Scheme) 등으로 병원 서비스 이용률과 의약제품에 대한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태국 의약품 시장규모
구분 |
2014 |
2015 |
2016 |
2017 |
시장규모(억 달러) |
44.8 |
44.7 |
45.6 |
49.2 |
증감률(%) |
-3.4 |
-0.3 |
2.2 |
7.7 |
자료원: BMI Research
ㅇ 태국 의약품시장의 특징은 주로 복제약품(Generic drugs) 및 의약 완제품(Finished drug products)의 생산 비중이 높고, 의약품 원자재 수입의존도가 매우 높다는 데 있음.
- 태국은 최초약제(Original drugs)와 동일 성분 및 규격을 인증받아 임상 실험 등을 생략한 복제약품의 생산비중이 높음.
- 끄룽스리 리서치(Krungsri Research)의 보고서에 따르면, 태국은 의료 완제품 제조에서 원자재가 되는 활성원료(Active Pharmaceutical Ingredients, APIs)의 약 90%를 수입에 의존
- 태국 식약청(Thailand FDA)에 따르면, 태국의 제약회사 중 활성원료를 제조할 수 있는 업체의 수는 5% 이하임.
□ 의약품시장 수입동향
ㅇ HS Code 3304.90기준 태국 의약품 수입규모는 최근 3년간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2017년 수입규모는 전년 대비 1.8% 증가한 12억3876만 달러를 기록
- 태국의 최대 의약품 수입국은 제약 강국인 독일로 전체 수입의 16.1% 비중을 차지하며, 2017년 대독일 수입은 전년 대비 1.8% 증가한 2억476만 달러를 기록
- 독일에 이어 미국, 프랑스, 스위스가 각각 16.1%, 8.3%, 8.1%의 비중을 나타내며 2~4위를 차지함.
ㅇ 태국의 대한국 HS Code 3304.90 품목 수입비중은 2017년 기준 2.2%로 미미하지만 지난 3년간 매년 두자릿 수의 성장률을 나타냄.
- 2017년 태국의 대한국 수입액은 전년 대비 20.3% 증가한 2782만2000달러를 기록해 14위를 차지
태국 의약품 국가별 수입동향(HS Code 3004.90 기준)
(단위: 천 달러, %)
순위 |
구분 |
수입액 |
비중 |
증감률 ('17/'16) | ||||
2015 |
2016 |
2017 |
2015 |
2016 |
2017 | |||
- |
전 세계 |
1,238,759 |
1,247,181 |
1,270,053 |
100.0 |
100.0 |
100.0 |
1.8 |
1 |
독일 |
144,575 |
201,608 |
204,760 |
11.7 |
16.2 |
16.1 |
1.6 |
2 |
미국 |
109,533 |
102,329 |
104,796 |
8.8 |
8.2 |
8.3 |
2.4 |
3 |
프랑스 |
84,933 |
90,691 |
102,598 |
6.9 |
7.3 |
8.1 |
13.1 |
4 |
스위스 |
132,526 |
83,451 |
88,865 |
10.7 |
6.7 |
7.0 |
6.5 |
5 |
푸에토리코 |
80,271 |
77,239 |
85,423 |
6.5 |
6.2 |
6.7 |
10.6 |
6 |
인도 |
102,448 |
85,086 |
81,909 |
8.3 |
6.8 |
6.5 |
-3.7 |
7 |
일본 |
69,858 |
71,595 |
77,847 |
5.6 |
5.7 |
6.1 |
8.7 |
8 |
영국 |
55,531 |
60,020 |
66,341 |
4.5 |
4.8 |
5.2 |
10.5 |
9 |
스페인 |
52,111 |
51,639 |
56,861 |
4.2 |
4.1 |
4.5 |
10.1 |
10 |
이탈리아 |
71,528 |
57,893 |
51,833 |
5.8 |
4.6 |
4.1 |
-10.5 |
14 |
대한민국 |
21,069 |
23,123 |
27,822 |
1.7 |
1.9 |
2.2 |
20.3 |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 경쟁동향 및 유통구조
ㅇ 태국 기업정보 조회 사이트(Corpus BOL)에 따르면, 태국에는 약 543개의 의약품 제조업체가 있음. 유통의 경우 제약업체에서 유통까지 직접 담당하거나 전문 도매 유통기업을 통해 유통하기도 함.
태국 제약업체 및 유통구조

자료원: Corpus BOL을 바탕으로 KOTRA 방콕 무역관 작성
ㅇ 태국의 의약품 생산자는 크게 정부 부문과 민간 부문으로 나뉨.
- 주요 정부 부문 생산자는 일반 내수시장에 공급하는 정부제약청(Government Pharmaceutical Organization, 이하 GPO)과 군 부대를 비롯한 정부 및 공공기관에 공급하는 국방제약소(Defence Pharmaceutical Factory, 이하 DPF)가 있음.
- 민간 부문 의약품 생산자는 태국계 및 외국계 복제약품 제조업체, 위탁 제조업체, 다국적 기업으로 나뉨.
태국의 의약품 생산자 현황(정부 부문)
기관명 |
특징 |
정부제약청(GPO) ![]()
|
- 태국 의약품 시장 내 최대 공급자 - 고가의 최초 약제를 비교적 저렴한 복제약품으로 생산 및 공급해 태국의 '30밧 의료보험(Universal Coverage Scheme)'과 함께 다수의 국민들이 쉽게 의료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함. - 2017년 8월 23일부터 '복제약품법(Generic medicine law)'이 발효돼 태국 의과대학병원 내 최초 약제 대신 GPO의 복제약품 사용이 의무화됐으며, 공립병원에서는 GPO 제품(의약품, 의료기구 포함)을 최소 60% 이상 사용해야 함. |
국방제약소 (DPF) ![]() |
- 태국의 국방부 및 에너지 센터 산하기관으로, 군부대와 정부기관 및 공공기관을 위주로 의료제품을 공급함. |
자료원: The Nation, Bangkok Post, 각 기관 홈페이지 자료 종합
태국 내 주요 의약품 생산자 현황(민간 부문)
업체명 |
특징 |
Berlin Pharmaceutical Industry Co., Ltd. ![]() |
- 설립연도: 1984년 - 지분구조: 태국(51.0%), 홍콩(44.9%), 인도(4.1%) - 심혈관, 위장, 신진대사, 정형외과 관련 및 기타 질환 약품 생산에 강점을 지님. - 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 인증 업체 |
Thai Nakorn Patana Co., Ltd. ![]() |
- 설립연도: 1984년 - 지분구조: 태국(100%) - 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 인증 업체 |
OLIC (Thailand) Ltd. ![]() |
- 설립연도: 1984년 - 지분구조: 일본(99.9%) - 동남아 시장진출을 위해 2012년 10월 일본 제약회사 Fuji Pharma Co., Ltd.에서 해당 업체 지분의 99.91%를 약 5400만 달러에 매입 |
Mega Lifesciences Public Co., Ltd. ![]() |
- 1982년 설립, 2013년 유한회사에서 주식회사로 전환 - 지분구조: 태국(62.8%), 홍콩(6.3%), 인도(3.2%), 영국(2.4%) 등 - 태국과 호주에 제조공장 보유 - 자사 브랜드 제품제조 외에 위탁제조 병행 |
Pfizer(Thailand) Ltd. ![]() |
- 설립연도: 1968년 설립 - 지분구조: 미국(100%) - 고혈압 치료제, 항생제, 각종 백신 등 제조 |
Janssen-Cilag Ltd. ![]() |
- 설립연도: 1972년 설립 - 지분구조: 미국(100%) - 백신, 신경제제, 심혈관계 치료제 등 제조 |
자료원: Corpus BOL, The Nation, MIMS.com, Krungsri Research 및 업체 홈페이지
ㅇ 2016년 기준 태국에는 2468개의 도매 제약유통기업이 등록돼 있으며(Corpus BOL), 총 매출액은 2455억800만 밧에 달함.
- 매출액 기준 주요 도매 제약유통기업들은 Zuellig, Novartis 등의 외국계 다국적 기업이 차지하고 있으며, 이들은 최초약품을 수입해 태국 식약청(Thailand FDA)에 제품 승인 및 판매 승인을 득한 후 시장에 유통함.
태국 도매 제약유통기업(2016년 매출액 기준)
순위 |
업체명 |
지분구조 |
매출액(백만 밧) |
1 |
Zuellig Pharma LTD |
말레이시아 99.9% |
51,864.6 |
2 |
Sino-Pacific Trading(Thailand) Co., Ltd |
태국 99.7% |
20,887.3 |
3 |
Amway(Thailand) Ltd |
미국 100% |
16,429.5 |
4 |
Procter & Gamble Trading(Thailand) Ltd |
네덜란드 99.9% |
11,398.2 |
5 |
Novartis(Thailand) Ltd |
스위스 100% |
6,754.1 |
자료원: Corpus BOL
□ 관세율, 수입규제 및 인증
ㅇ HS Code 3004.90품목의 일반세율은 10%*이나 원산지 증명서(AK Form)를 갖출 경우 한-아세안 FTA 협정에 따라 수입관세 면제(0%) 대상이 되며, 부가가치세(VAT) 7%만 부과 대상이 됨.
태국 의약품 수입관세(HS Code 3004.90 기준)
HS Code |
일반세율* |
한-아세안 FTA 협정세율 |
3004.90 |
10% |
0% |
주*: HS Code 10자리 기준 일반세율 0% 적용 품목(HS 3004.90.6200, 3004.90.6400,
3004.90.6500, 3004.90.6900, 3004.90.8100, 3004.90.8200)
ㅇ 태국에서 의약품을 제조·수입·판매하기 위해서는 주무기관인 태국 식약청(Thai FDA) 내 의약 통제국으로부터 각각 의약품 제조·수입·판매 라이선스를 획득해야 하며, 이와는 별도로 개별 의약품의 식약청 인증을 받아야 함.
- 의약품의 식약청 인증을 위해서는 먼저 의약품 샘플 수입 허가를 득한 뒤 의약품 인증 절차를 거쳐야 함.
- 의약품 인증에 필요한 공통 서류에는 제조자 이름 및 주소, 수입업체 이름 및 주소, 수입자 수입허가 번호(라이선스), 제품명 및 제품 설명, 제품 제조공식(활성원료만 해당), 패키징, 샘플 수량 등이 있음.
- 신약과 복제약품 인증 시 필요 서류는 아래와 같으며, 신약의 경우 인증에 약 9개월(영업일 기준)이 소요되며, 복제약품의 경우 약 5개월(영업일 기준)이 소요됨.
신약 및 복제약품 태국 식약청 인증 시 필요 서류
신약(New Drugs) 인증 필요 서류 |
복제약품(Generic Drugs) 인증 필요 서류 |
화학성분, 제조공식, 품질관리, 라벨링, 비임상 실험결과(동물), 임상 실험결과 |
화학성분, 제조공식, 품질관리, 라벨링, 생물학적 등가성 |
자료원: 태국 식약청
- 단, 개별 의약품의 효능 및 성분에 따라 더 많은 서류가 필요한 경우도 있음. 인증절차 진행 전 수입상 또는 식약청 인증 대행 업체를 통해 필요서류에 대한 정확한 상담을 받은 후 업무를 진행할 것을 권장함.
- 제품 인증 후 유통 전에는 태국어 라벨 및 제품 사용설명서를 제작해야 함.
ㅇ 태국 식약청 의약국(Bureau of Drug Control)의 정보는 아래와 같음.
- 홈페이지: http://www.fda.moph.go.th/sites/fda_en/SitePages/Drug.aspx?IDitem=LawsAndRegulations
- 전화번호: +66-2-590-7160
- 이메일: drug@fda.moph.go.th
- 단, 태국 식약청에서는 외국 제조업체 또는 수출업체의 개별적인 연락을 받지 않는 경우가 흔하므로 거래 예정인 수입업체 또는 인증 대행 업체를 통한 대리 문의가 더 효율적임.
□ 시사점
ㅇ 태국의 의약품시장은 향후 양적 및 질적 성장이 기대되는 시장임.
- 태국 정부의 10대 집중 육성 산업 중 고급 의료 및 웰빙 관광 유치와 태국의 의료 허브화가 포함돼 있어 의료분야에 태국 정부의 지원이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됨.
- 이에 따른 산학 간의 연구 진척 및 성과를 눈여겨볼 필요가 있음. 향후 최첨단 기술이 도입된 스마트 헬스(e-health, m-health 등), 생명공학 분야 등이 각광받을 것으로 기대되는 바 관련 의약품 진출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
- 태국 공중보건부의 통계에 따르면 심혈관 질환, 고혈압, 뇌혈관 질환 환자수가 매년 두자릿 수의 증가율을 보이는 점을 고려할 때 의약품에 대한 수요도 이에 비례해 증가할 것으로 예측됨.
태국 각 질병에 따른 환자 수
(단위: 명, %)
구분 |
2015 |
2016 |
2017 |
증가율 |
심혈관 질환 |
347,694 |
379,313 |
399,965 |
15.0 |
고혈압 |
5,609,203 |
5,862,872 |
6,332,218 |
12.9 |
뇌혈관 질환 |
482,105 |
527,067 |
569,949 |
18.2 |
자료원: 태국 공중보건부(Ministry of Public Helath)
ㅇ KOTRA 방콕 무역관과 현지 의약품 취급업체 3사(디케이에스에이치(DKSH), 케스파 파마수티컬(KASPA Pharmaceutical), 파마랜드 그룹(Pharmaland Group))와의 전화 인터뷰에 따르면 의약품 구매 의사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3대 요소로 가격, 제품 품질, 품질 인증 등 각종 서류 완비 여부가 꼽힘.
- 태국 시장에서 한국 복제약품은 잘 알려져 있는 편이나 태국 식약청에서 의약품 인증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며 복잡한 행정절차를 거쳐야 하므로 결국 수입업체에서 요청하는 서류에 대한 협조가 잘 이뤄지는 업체들에 수출 기회가 주어진다고 전함.
- 뿐만 아니라 한국 업체들은 중국 또는 인도에 생산기지를 둔 글로벌 제약회사들이 가격경쟁력을 갖추고 공격적으로 태국시장에 진출하는 점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함.
ㅇ 태국이 아세안 시장 내 유력한 의약품시장으로 부상하고 있으므로 태국을 수출 상대국뿐만 아니라 경쟁국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음.
- 뿐만 아니라 태국을 아세안 진출의 교두보로 삼기 위한 구체적인 진출 계획을 가지고 태국 시장에 대한 접근이 필요한 시점임.
자료원: Bangkok Post, BMI Research, Corpus BOL, Global Trade Atlas, Krungsri Research, Pacific Bridge Medical, The Nation, 태국 관세청 세율 조회 시스템, 태국 투자청(BOI), 각 기관 및 업체 홈페이지, 제약업체 인터뷰(DKSH (Thailand) Ltd., KASPA Pharmaceutical (Thailand) Co., Ltd., Pharmaland Group) 및 KOTRA 방콕 무역관 자료 종합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2017년 3D프린팅 산업실태조사
-
다음글
- 2017년 의약품 수출 동향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