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에콰도르의 의약품 시장동향
- 등록일2018-07-25
- 조회수6615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18-07-25
-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
- 원문링크
-
키워드
#에콰도르#의약품#시장동향
에콰도르의 의약품 시장동향
- 2014년부터 시행된 한국의약품의 자동승인제로 낮아진 진입장벽-
- 한국의 바이오의약품등 혁신적인 제품에 대한 시장진출여지 많아-
□ 상품명 및 HS Code
ㅇ 의약품[혼합한 것인지에 상관없으며 치료용이나 예방용의 것으로서 일정한 투여량으로 한 것(피부 투여의 형식을 취한 것을
포함한다)과 소매용 모양이나 포장으로 한 것으로 한정하며, 제3002호, 제3005호, 제3006호의 물품은 제외한다]
(HS Code 3004)
□ 선정사유
ㅇ 제약/의약품 유통업 부문은 에콰도르 경제에서 가장 중요한 분야 중 하나임.
- 여기에는 약국 체인, 의약품 유통 업체, 소매 업체, 클리닉, 병원 등 여러 비즈니스 분야가 포함되며, 직간접적으로 고용을 창출하고 산업과 상업적 측면에서도 기여도가 높음.
- 에콰도르 내에는 총 300개 정도의 의약품 유통, 무역업체 및 제약업체가 활동하고 있음.
ㅇ 수입산 의약품이 에콰도르산보다 질이 좋고, 에콰도르 내 생산이 부족하여 수입이 많음.
- 의약품 수입업체는 200개 이상이 활동중이며, 2017년 총 의약품 판매액은 13억 달러에 달함.
ㅇ 에콰도르 제약시장은 민간 및 공공 부문으로 양분됨.
- 공공부문은 약가상한제와 복잡한 등록절차, 마케팅이 복잡한 편
- 민간부문의 경우 전체 판매의 3/4가 처방전을 통한 판매임. 4개의 국내제약사가 전체 제약생산의 47%를 차지하고 있으며,
2개의 대형 약국체인에서는 의약품 판매의 50% 이상을 처리함.
ㅇ 에콰도르 제약시장은 향후 지속 성장할 것으로 기대됨.
- 인구증가, 인구고령화, 보건의 제도적 적용, 고립된 생활, 스트레스로 인한 만성질환의 증가 등이 주 성장동력으로 기대됨.
- 에콰도르 제약시장은 수입의약품에 많이 의존하고 신제품에 대해 호의적이며 시장이 열려있는 편이라 접근이 용이함.
□ 시장규모 및 유통 동향
ㅇ 에콰도르에서는 국제제약사가 자국제약사보다 점유율이 높음.
- 자국제약사는 40개 이상으로, 의약품 원료 및 포장재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음.
- 의약품 유통업체는 수입과 국내 유통을 담당하는데, 완성의약품 뿐만 아니라 원료의약품, 의료기기, 개인위생품까지도 취급함.
ㅇ 약국체인이 총 2,400개가 넘으며 민간판매의 76%를 차지
에콰도르 내 주요 약국 체인
그룹명 |
약국체인명 |
구역 |
Difare |
Cruz Azul, Pharmacy's, Comunitarias |
전국 |
Corporacion GPF |
Fybeca, Sana Sana |
전국 |
Farmaenlace |
Medicity, Economicas, El descuento |
전국 |
Sumelab |
Farmared |
전국 |
Cadenas Locales |
Asociaciones varias |
마나비주(Manabi), 엘 오로주(El Oro), 아우스트로주(Austro), 과야스주(Guayas), 피친차주(Pichincha) |
자료원: 에콰도르 기업감독원
ㅇ 슈퍼나 편의점에서 자연식품, 비타민, 유제품 및 의료 처방전을 필요로 하지 않는 기타 제품을 구매할 수 있음.
- 유통 채널 : 제약 제조업체 - 수입자 / 유통업자 - 약국, 편의점 및 슈퍼, 병원 - 최종 소비자
- 제약사 제조는 국제 또는 국내 유통업체와 무역협정 후 국제제약사의 경우 수출할 수 있음.
- 의약품은 판매점(약국, 편의점, 슈퍼) 또는 주요사용처(병원, 클리닉, 기관)를 통해 마지막으로 소비자에게 전달됨
□ 최근 3년간 수입동향
ㅇ 에콰도르중앙은행의 통계에 따르면, 2015년 에콰도르에서 8억 5천만달러 이상의 수입함. 2016년은 16% 감소하고 2017년은
2015년 대비 14%정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2016년에 최저점을 찍은 후 다시 회복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됨.
HS Code 3004 의 최근 3년간 수입 동향
HS Code |
품 명 |
총액(단위 : USD / 백만) | ||
2015 |
2016 |
2017 | ||
|
세계거래량 3004 의약품(백신 제외) |
21,375 856 |
16,189 717 |
19,845 738 |
300490 |
기타 |
606 |
509 |
518 |
300420 |
그 밖의 항생물질을 함유한 것 |
77 |
54 |
63 |
300450 |
그 밖의 의약품(제2936호의 비타민이나 기타 물품을 함유한 것으로 한정한다) |
66 |
52 |
55 |
300439 |
호르몬 외 기타 |
38 |
31 |
34 |
300410 |
페니실린이나 이들의 유도체(페니실린산 구조를 가진 것으로 한정한다)를 함유한 것, 스트렙토마이신이나 이들의 유도체를 함유한 것 |
29 |
27 |
25 |
300432 |
코르티코스테이로이드 호르몬을 함유한 것과 이들의 유도체나 그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는 것 |
23 |
20 |
21 |
300431 |
인슐린을 함유한 것 |
4 |
13 |
10 |
300440 |
알칼로이드나 이들의 유도체를 함유한 것(제2937호의 호르몬과 기타 물품이나 항생물질을 함유한 것은 제외한다) |
13 |
11 |
10 |
300449 |
A를 포함한 기타 의약품 |
- |
- |
2 |
300442 |
Pseudoeph를 포함한 의약품 |
- |
- |
1 |
300441 |
Ephedri를 포함한 의약품 |
- |
- |
1 |
자료원 : 에콰도르중앙은행
ㅇ 에콰도르가 2016년은 유가 하락, 달러가치 절상, 4월의 대지진 등의 문제로 전반적인 경기 하락을 보였으나, 이후 회복세가 이어
지고 있음.
□ 주요 수입국가 동향 및 대한 수입 규모
ㅇ 2017년 에콰도르의 주요 의약품 수입은 콜롬비아로부터 9,100만 달러이고, 우루과이가 4,400만 달러, 파나마는 3번째로
4,200만 달러임. 상위 5위는 북미, 중남미 대륙에서 수입되었으며 시장 점유율은 45%를 초과하고 있음.
HS Code 3004 의 주요 수입 국가
(단위 : USD $/백만)
순위 |
국가 |
2015 |
2016 |
2017 |
0 |
세계합계 |
606 |
509 |
518 |
1 |
콜롬비아 |
120 |
93 |
91 |
2 |
우루과이 |
43 |
27 |
44 |
3 |
파나마 |
74 |
36 |
42 |
4 |
멕시코 |
52 |
45 |
38 |
5 |
칠레 |
31 |
27 |
31 |
6 |
벨기에 |
37 |
21 |
29 |
7 |
스위스 |
30 |
33 |
29 |
8 |
브라질 |
35 |
29 |
28 |
9 |
독일 |
29 |
31 |
26 |
10 |
인도 |
16 |
15 |
21 |
11 |
네덜란드 |
21 |
17 |
19 |
12 |
아르헨티나 |
15 |
15 |
16 |
13 |
미국 |
14 |
18 |
15 |
14 |
프랑스 |
13 |
13 |
13 |
15 |
페루 |
8 |
8 |
12 |
|
기타 |
538 |
428 |
453 |
자료원 : 에콰도르중앙은행
ㅇ 한국은 에콰도르에 2백만불 정도 수출하며 26위에 위치하고 있음. 2017년 대에콰도르 수출국 46개국 중 0.3%의 점유율을 차
지하고 있음.
ㅇ 대륙별 수출한 국가는 68%가 지리적으로 가까운 아메리카 대륙에 집중되어 있으며, 그 다음으로 유럽이 26%, 아시아가 6%정도
를 차지하고 있음.
2017년 에콰도르에 의약품을 수출하는 대륙별 통계

자료원 : 에콰도르중앙은행
□ 경쟁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
HS Code 3004의 2017년 주요 수입업체
|
수입제약업체 |
FOB (US$) |
1 |
LETERAGO DEL ECUADOR S.A. |
54,681,894 |
2 |
NOVARTIS ECUADOR S.A. |
44,716,642 |
3 |
MEDICAMENTA ECUADOR S.A. |
36,908,187 |
4 |
MERCK C.A. |
35,986,194 |
5 |
SANOFI AVENTIS DEL ECUADOR S.A. |
32,697,896 |
6 |
QUIFATEX S.A. |
31,371,656 |
7 |
BAYER S.A. |
27,207,343 |
8 |
PFIZER CIA LTDA |
25,842,753 |
9 |
GLAXOSMITHKLINE ECUADOR S.A. |
22,787,166 |
10 |
ECUAQUIMICA ECUATORIANA DE PRODUCTOS QUIMICOS S.A. |
22,708,598 |
11 |
DYVENPRO DISTRIBUCION Y VENTA DE PRODUCTOS SOCIEDAD ANONIMA |
20,657,036 |
12 |
LABORATORIOS SIEGFRIED S.A. |
20,087,860 |
13 |
ABBOTT LABORATORIOS DEL ECUADOR CIA LTDA |
18,509,396 |
14 |
LABORATORIOS CHALVER DEL ECUADOR CIA LTDA |
17,912,847 |
15 |
BOEHRINGER INGELHEIM DEL ECUADOR CIA LTDA |
16,176,510 |
16 |
MERCK SHARP AND DOHME(I A) LLC |
15,824,062 |
17 |
LABORATORIOS GENERICOS FARMACEUTICOS ECUATORIANOS S.A. GENFAR ECUADOR |
12,370,954 |
18 |
TECNOQUIMICAS DEL ECUADOR S.A. |
12,011,929 |
19 |
LABORATORIOS LA SANTE COMPANIA LIMITADA |
11,463,156 |
20 |
GRUNENTHAL ECUATORIANA CIA LTDA |
10,977,742 |
21 |
LABORATORIOS BAGO DEL ECUADOR S.A. |
10,556,246 |
22 |
CORPORACION FARMACEUTICA MEDISUMI S.A. |
8,982,424 |
23 |
GRUPOFARMA DEL ECUADOR S.A. |
8,651,201 |
24 |
GUTISFARMACEUTICA ECUADOR S.A. |
8,643,317 |
25 |
SCHERING PLOUGH DEL ECUADOR S.A. |
7,848,086 |
자료원 : Quintero hermanos LTDA - www.sicex.com
ㅇ 주요 25대 수입업체 중 8개사(1, 6, 10, 11, 17, 18, 19, 22)는 현지 수입업체이고, 나머지는 외국계 현지 법인들임.
HS code 3004의 2017년 주요 수출업체
|
수출제약업체 |
FOB (US$) |
1 |
ACROMAX LABORATORIO QUIMICO FARMACEUTICO S.A. |
8,653,184 |
2 |
TECNANDINA S.A. |
3,443,801 |
3 |
CUENCA GUAICO BYRON RODOLFO |
669,627 |
4 |
SANOFI AVENTIS DEL ECUADOR S.A. |
464,904 |
5 |
JAMES BROWN PHARMA C.A. |
249,719 |
6 |
FARBIOVET S.A. |
166,695 |
7 |
LABORATORIOS INDUSTRIALES FARMACEUTICOS ECUATORIANOS LIFE C.A. |
112,879 |
8 |
FARMABION DEL ECUADOR C.A. |
79,700 |
9 |
CARVAGU S.A. |
75,862 |
10 |
FARMACID S.A. |
72,138 |
11 |
MAQUIPHARMA S.A. |
39,856 |
12 |
LETERAGO DEL ECUADOR S.A. |
24,385 |
13 |
IMPVET IMPORTADORA VETERINARIA CIA LTDA |
24,196 |
14 |
INDUSTRIA PHARMA CGP CORPORACION GRINA PHARMACEUTICAL CIA LTDA |
22,440 |
15 |
LABORATORIOS INPELQUALITY CIA LTDA |
17.112 |
16 |
ACEBO BERMEO AARON WILFRIDO |
1,470 |
17 |
DURAN AMORES JORGE ENRIQUE |
1,150 |
18 |
ZURITA BLACIO JUAN CARLOS |
1,060 |
19 |
HANSAMARITIME S.A. |
786 |
20 |
PROVEEDORA DE SERVICIOS S.A. SERVICE S.A. |
343 |
21 |
ESTRADA LECARO JOSE LUIS |
338 |
22 |
ESPINOZA CEDENO AIDA ARACELI |
300 |
23 |
IZQUIERDO VILLACRES CARLOS ALEXANDER |
200 |
24 |
RUIZ CASTILLO MARIA FERNANDA |
150 |
25 |
MONICA ALEXANDRA UBILLUZ RODRIGUEZ |
17 |
|
총액 |
14,122,317 |
자료원 : Quintero hermanos LTDA - www.sicex.com
ㅇ 수출업체중에는 4. Sanofi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로컬업체로, 아직 에콰도르의 제약진출 외국기업이 적음.
HS code 3004의 2018년 1월~4월동안 주요수입제품
|
의약품 |
금액(US$) |
1 |
TASIGNA 200MG CAPSULAS (NOVARTIS) - Leucemia |
2,321,550 |
2 |
VALCOTE 500 MG X 30 TAB |
1,764,878 |
3 |
HEBERPROT P |
1,764,408 |
4 |
ABRILAR JARABE |
1,659,627 |
5 |
SUTENT |
1,642,760 |
6 |
ISENTRESS 400 MG COMPRIMIDOS RECUBIERTOS |
1,467,800 |
7 |
NEUROBION 10000 DC |
1,379,367 |
8 |
NEULASTIM |
1,363,680 |
9 |
VOLTAREN EMULGEL |
1,226,655 |
10 |
MEDICAMENTO |
1,150,085 |
11 |
CELEBREX |
1,148,919 |
12 |
LEOPROSTIN |
1,129,820 |
13 |
NOVOLIN R 100 UVML 10 ML VIAL |
1,088,305 |
14 |
TEGRETOL CR 400MG |
1,085,319 |
15 |
LANTUS 100 UNIDADES/ML SOLUCION INYECTABLE |
1,018,635 |
16 |
ENTEROGERMINA |
1,000,713 |
자료원 : Quintero hermanos LTDA - www.sicex.com
□ 관세율, 수입규제, 인증절차 및 제도
ㅇ 의약품 수입에 종사하는 에콰도르 기업은 수입허가를 VUE(에콰도르 단일 창구)에 등록해야하며, 의약품 수입면허는 보건부의
허가를 받아야 함.
의약품 수입시 주요 세금표
세금 |
요율 |
관세 |
5% |
부가가치세 |
0% |
아동발전기금(FODINFA) |
0.5% |
외화유출세(ISD) |
5% |
ㅇ 에콰도르세관(SENAE) 또는 표준연구원(INEN)으로부터 수입을 위한 사전기술문서를 요구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유형의 서류를 필요로 하는 국가에서 의약품 마케팅에 관한 몇 가지 규정이 있음.
- ARCSA (위생감시통제규제국, 우리나라 식약처에 대응)에서 발급한 위생등록증
- INEN (에콰도르 표준연구원)의 승인을 받은 라벨링은 스페인어로 되어 있어야하며, 특정 내용은 스티커가 아닌 포장재에
인쇄되어 있어야 함.
- 최상한선 가격이 이미 표시된 기본의약품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MSP(공공보건부)가 발행한 권장소비자가격 표시
ㅇ 에콰도르에 의약품을 수출하는 유럽연합과 안데안공동체(CAN: 콜롬비아, 볼리비아, 페루)의 기업들은 무관세로 수출되며,
한국을 포함한 일반관세율은 5%가 적용됨.
HS CODE |
유럽연합과 CAN회원국이 지불하는 관세 |
한국이 지불하는 관세 |
3004 의약품 |
0% |
5% |
□ 한국제품 수입업체 수입담당자 인터뷰(C사의 Mr. Richard)
ㅇ Richard씨는 1992년부터 에콰도르에서 의약품 수입 및 유통업체(C사)의 무역관리자로 일해오고 있음. 이 회사는 주로 공공
기관에 의약품을 판매했고 현재 민간 시장으로 고객을 확대하고 있음. C사는 한국으로부터 10년 이상 수입해 왔으며 제품 판매
량 및 취급품목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음.
ㅇ 동사는 에콰도르 시장이 신약과 정부조달 참가 가능성이 높으며, 제네릭 가격에 따라 여전히 큰 잠재력을 지녔다고 보고 있음,
한국은 품질이 좋아서 보건부 등록을 위한 서류준비를 철저히 준비하고, 장기적 관점에서 마케팅을 확대해 나간다면, 충분히 시장 개척 가능할 것으로 봄.
ㅇ 또한, Richard씨는 한국제약회사들은 에콰도르 시장에 보조제, 천연제품 및 개인위생제품에 대한 잠재성이 높을 것으로 보고 있으
며, 또한 약국이나 편의점에서 판매가능한 한국 화장품에 대해서도 관심 가질 필요가 있다고 함.
□ 전망과 제안
ㅇ 세계 최초 바이오시밀러 제품의 판매를 허가할 정도로 최신 기술 및 제품에 대해서 호의적임. 그만큼 한국업체는 바이오의약품 등
전문화되고 혁신적인 제품에 대해서는 시장규모는 작더라도, 시장진입장벽이 낮은 편임.
ㅇ Zone IV의 안정성 연구, 크로마토 그래피 및 미생물 검사 결과를 확보하면 수입 의약품 등록기간 단축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됨. 에콰도르 시장은 중남미 타국 대비 규모가 작으므로 가격과 최소 물량조건이 상대적으로 낮아 진입장벽이 낮음.
ㅇ 에콰도르의 의약품 시장은 의약품 외 개인위생용품, 건강보조제품, 화장품과 같이 제공되는 구조이므로, 현지기업과의 JV를 통한 투자 및 진출을 검토해 보는 것도 바람직할 것임.
자료원 : El Comercio일간지, 에콰도르중앙은행, SICEX, Expreso 및 Ekos 경제잡지, ALFE(에콰도르제약업협회), KOTRA 키토무
역관 자료 종합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