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미 연방정부 생명과학 R&D 투자와 한국 기업의 지원 수혜 기회
- 등록일2018-08-22
- 조회수4896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18-08-11
-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
- 원문링크
-
키워드
#미국 생명과학#미국 생명과학 R&D #생명과학 R&D
미 연방정부 생명과학 R&D 투자와 한국 기업의 지원 수혜 기회
- 미국의 R&D 지원, 글로벌 기술 혁신의 모태로 역할 -
- 미 국립보건원(NIH), 연간 340억 달러의 예산으로 국내외 R&D 지원 프로그램 운영 -
- 한국 중소기업들은 미국 정부 R&D 지원 프로그램 활용 고려 필요 -
□ 미국 연방정부의 R&D 지원 프로그램, 미국의 첨단기술 선도의 원천
ㅇ 미국 전체 R&D 투자는 연간 5000억 달러 수준으로 전 세계 연구개발 투자 총합의 25% 이상 비중을 차지함. 막대한 R&D 지출에 힘입어 미국은 명실상부 글로벌 혁신기술 선도국의 지위를 유지
- 2017년 기준 전 세계 R&D 지출에서 주요국은 미국 25.5%, EU 20.8%, 중국 20.8%, 일본 8.4%, 독일 5.4% 등 순위를 기록하고 있음.
ㅇ 미국 전체 R&D 투자 중 27% 비중에 해당하는 약 1400억 달러가 연방정부의 예산지출을 통해 이루어짐.
- 기술상용화와 밀접한 개발(Development)은 민간(기업)이 주도하는 반면 기초 및 응용과학 분야 연구(Research)는 연방정부의 투자 기여도가 높은 것으로 집계됨.
* 미국 전체 R&D 투자 중 기초연구(Basic Research) 17.6%, 응용연구(Applied Research) 19.4%, 개발(Development)는 62.9%를 차지. 대학 및 정부 지원 연구소가 기초 및 응용연구의 55%를 담당하고 해당 연구기금의 57%는 연방정부의 예산을 통해 조달됨.
□ 국립보건원(NIH), 생명과학 분야에서 전 세계 최대 R&D 지원 기관
ㅇ 2017년 미국 연방정부 소속 전 부처 기관을 통해 지출된 R&D 예산은 총 1426억 달러임. 국방부 관련 예산이 전체의 47%(683억 달러)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보건부의 생명과학 연구에 배정된 예산이 23%(325억 달러)로 국방부를 제외한 모든 부처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음.
- 연방정부의 기초·응용 연구(Basic and Applied Research) 관련 지출 697억 달러 중 생명과학 분야 지출이 전체의 47%인 328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됨.
ㅇ 국립보건원(NIH; National Institute of Health)는 미국 연방정부의 바이오의료 관련 연구개발을 총괄하는 주무기관으로 약 300억 달러(2017년)의 예산으로 운영됨.
- NIH 전체 예산 중 10% 만이 NIH 소속 6000명 과학자의 내부 연구개발비에 소요되고 80%의 예산은 지원금(grant), 용역(contract) 등의 형태로 외부기관의 연구활동이 지원됨.
- NIH의 다양한 형태의 R&D 지원은 30만 명에 달하는 외부 소속 과학자, 2500여 개의 대학, 병원, 의과대학 및 기타 국내외 연구기관들에 제공되고 있음.
ㅇ NIH는 연구 분야에 따라 27개의 기관(Institute)와 센터(IC)로 구성되며 암센터(NCI), 알러지·감염성질환 연구(NIAID), 심장·폐·혈관 연구(NHLBI) 등의 예산이 높은 비중을 차지함.
미국 국립보건원의 주요 연구 부처별 연방 예산
(단위: 백만 달러)
기관/센터 |
2018년 예산(확정) |
2019년 예산(신청) |
Cancer Institute (NCI) |
5665 |
5626 |
Allergy/Infectious Diseases (NIAID) |
5260 |
4762 |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NHLBI) |
3383 |
3112 |
National Institute on Aging (NIA) |
2574 |
1988 |
General Medical Sciences (NIGMS) |
1863 |
1832 |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NIMH) |
1712 |
1612 |
Child Health/Human Development (NICHD) |
1452 |
1340 |
자료원: 미 의회조사처(CRS)
ㅇ 주로 비중 있게 사용되는 NIH의 외부지원 방식은 외부연구기관의 R&D프로젝트에 보조금(RPG: Research Project Grant)을 제공하는 것으로 전체 연간 예산의 50%에 해당하는 140억 달러가 보조금 제공 방식으로 지원됨.
□ 2018년 국립보건원(NIH)의 3대 연구개발 중점과제
ㅇ 첨단기술 진보에 따른 기초과학 기술 토대 마련
- 대표적인 기초기술 향상 프로젝트로는 뇌 기능의 비밀을 밝히는 BRAIN Initiative(4억 달러 투입), 싱글셀(single cell) 기능연구 및 정밀 항암치료제 개발 등이 진행 중
ㅇ 처방 및 치료 솔루션 강화
- 항생제 면역 바이러스 치료, 마약중독 치료 및 항암 항체 개발을 주도하는 일명 'Cancer Moonshot' 등 대표 프로그램 운영
ㅇ 예방의학 발전
- 유전, 환경 등 빅데이터를 활용해 질병을 정밀 타격하는 'Precision Medicine Initiative'에 연간 8000만 달러 예산 투입이 진행 중이며 지카 바이러스 및 수퍼 플루 백신 개발에 집중하고 있음.
□ 외부 연구개발 지원금 기회
ㅇ 미국 연방정부의 R&D 지원금은 미국인 또는 미국 기업에 우선적으로 제공되는 것이 원칙이나 연구개발의 중대성과 시급성이 요하는 국방, 보건 등 분야에서는 지원금 대상을 외국인 또는 외국기업(단체)에도 상당 부분 개방함.
ㅇ 아래 표는 국립보건원 홈페이지에 공지된 외부연구개발 지원금 신청 요강 중 외국인 또는 외국기관이 신청할 수 있는 프로젝트임.
NIH, FDA 외부연구개발 지원금 기회 공지(외국기관 참가 가능 프로젝트)
프로젝트 |
상 세 |
신청마감 |
Sustained Release Innovation for HIV (SRI) |
https://grants.nih.gov/grants/guide/rfa-files/RFA-AI-18-006.html |
2018.11.30. |
Gastrointestinal Mechanisms Contributing to HIV Pathogenesis |
https://grants.nih.gov/grants/guide/rfa-files/RFA-DK-18-009.html |
2017.3.14 |
Immune Mechanisms at the Maternal-Fetal Interface |
https://grants.nih.gov/grants/guide/rfa-files/RFA-AI-18-023.html |
2018.10.4 |
Development of Novel Nonsteroidal Contraceptive Methods |
https://grants.nih.gov/grants/guide/rfa-files/RFA-HD-19-015.html |
2018.11.6 |
Minor Use Minor Species Development of Drugs |
https://grants.nih.gov/grants/guide/rfa-files/RFA-HD-19-015.html |
2018.11.6 |
The Role of Epitranscriptomics in Development and Disease |
https://grants.nih.gov/grants/guide/rfa-files/RFA-HD-19-015.html |
2018.11.7 |
https://grants.nih.gov/grants/guide/pa-files/PAR-18-831.html |
2019.6.3 |
자료원: 국립보건원 홈페이지
□ 한국 기술기업들, 미국 연방정부 R&D 지원 기회
ㅇ 우수한 인력, 선진 R&D 인프라, 풍부한 자금력뿐만 아니라 연방정부의 정책적 뒷받침으로 미국은 명실상부 혁신기술의 인큐베이터 역할을 담당.
- NIH와 같은 리서치 중심 연방정부 기관들은 자국 기업, 대학, 연구소 등에 연구자금을 지원해 기술혁신을 제고하고 있음. 미국의 기술을 글로벌 표준화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으로 해외 연구기관(기업)과 R&D 협력을 적극 활용함.
ㅇ 연구개발 비용이 부족한 한국 중소기업 및 스타트업들은 글로벌 기술경쟁력 제고를 위해 미국 정부의 R&D 지원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방안을 적극 고려해 볼 수 있음, 그러기 위해서는 미국 연방의 R&D전략을 파악하고, 타깃 연구 분야의 연구 우선순위, 지원 프로젝트 발주 현황 등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
자료원: 미 의회조사처, 월스트리트저널, 블룸버그 가먼먼트, NIH 홈페이지 등 KOTRA 워싱톤 무역관 자료 종합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