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화학분야 산업인력현황 자료 조사·분석 보고서

  • 등록일2018-08-27
  • 조회수4583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화학・에너지
  • 자료발간일
    2018-07-17
  • 출처
    화학산업인적자원개발위원회
  • 원문링크
  • 키워드
    #화학 산업인력
  • 첨부파일
    • pdf 180717_CHEMISC_2017년도 화학ISC 산업인력현황 분석보고서.pdf (다운로드 577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 pdf 2018년2분기이슈리포트_노동시간 단축에 따른 화학업계의 영향과... (다운로드 52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화학분야 산업인력현황 자료 조사·분석 보고서

 

[내 용]

1.    화학 및 바이오산업의 노동시장 현황

2.    노동시간 단축에 따른 화학업계의 영향과 대응

 

 

[요 약]

● 본 보고서의 목적은 인력수급 및 양성에 대한 주기적인 실태조사와 산업통계를 제공함으로써 인력수급 불일치를 완화하고 맞춤형 산업인력양성을 선도하고자 함

● (기술 및 환경변화) 4차 산업혁명에 따라 화학 및 바이오산업의 단순반복 직무에 대한 수요는 30% 이상 감소하고 R&D, 빅데이터 분석가 등 고급인력에 대한 수요는 증가하여 전체 일자리는 장기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됨

● (산업별 비중) ‘화학’ 산업기술인력은 전체의 7.7%를 차지하여 주력산업 중 상위권의 비중을 나타내고 ‘바이오·헬스’ 산업기술인력은 1.8%를 차지하여 하위권에 속함

● (성 비율) ‘화학’산업의 남성인력 비율은 90.1%로 평균보다 높은 반면, ‘바이오·헬스’산업은 76.1%로 낮음

● (외국인인력 비중) ‘화학’산업의 경우 외국인인력의 비율이 주력산업 중 가장 높은 4.9%로 나타난 반면 ‘바이오·헬스’산업은 1.4%로 외국인 비중이 낮음

● (학력별 비율) ‘화학’산업 인력은 타 제조업과 비슷하게 고졸의 비중이 가장 높은 반면, ‘바이오·헬스’산업 인력은 고졸의 비중이 가장 낮고 대졸이상 인력의 비중이 높게 나타남

● (직종별 비중) 생산직종 중에서는 화학제품 생산기 조작원 및 플라스틱제품 생산기 조작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고 연구개발 직종 중에서는 화학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과 생명과학 연구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남

● (지역별 비중) ‘화학’산업 인력은 경기와 충남, 경남, 전남 및 울산 지방에 비중있게 분포하는 반면, ‘바이오·헬스’산업 인력은 수도권(서울·경기·인천)에 절반이상이 분포하고 지방은 충청도만 집중적으로 분포함

● (규모별 비중) ‘화학’산업 인력의 기업규모별 인원은 전체 평균과 비슷한 분포를 보이는 반면, ‘바이오·헬스’산업 인력은 300인 미만의 중소기업에 종사하는 비중이 평균보다 21.5%나 더 높게 나타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