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과 제약산업

  • 등록일2018-09-10
  • 조회수5184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18-08-13
  • 출처
    한국바이오경제연구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제약산업
  • 첨부파일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과 제약산업

 

 

안지영 연구원
한국바이오경제연구센터

 

 

[목 차]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과 제약산업

-폐홰형 혁신 모델과 개방형 혁신 모델의 개념

-제약 시장에서의 혁신

-제약 시장에서의 R&D 비용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 도입 기업 사례

 

 

최근 딜로이트(Deloitte)에 따르면, 개방형 혁신을 통한 신약 개발 성공 확률이 기존 폐쇄형 모델보다 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988년부터 2012년까지 281개의 제약회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최종 승인받은 신약 중 폐쇄형 모델을 통한 신약개발 성공률은 11%인데 비해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을 통한 신약개발 성공률은 34%로 더 높았다. 이전에는 회사 내 R&D에서 탄생한 신약들이 최근 개방형 혁신을 통해서 출시되고 있다.

 

 

■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의 등장 배경
최근 기업은 개발 비용이 상승하고 제품 수명주기가 짧아짐에 따라 혁신에 대한 투자를 지속하기가 어려워지고 있다. 개발 비용의 증가와 제품 라이프 사이클의 단축이라는 두 가지 추세의 결과로 기업들은 혁신에 대한 투자를 내부에서만 충족하는 것이 점차 어려워지고 있다. 개방형 비즈니스 모델은 혁신 프로세스에서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기 위해 외부의 연구 개발 리소스를 활용하여 비용을 줄이며 수익 부분도 개선한다. 레버리지된 비용과 시간의 단축은 비즈니스 모델을 새로 개척하는데 강력한 이점을 제공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