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중국 의약품 시장동향

  • 등록일2018-09-10
  • 조회수6088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중국 의약품 시장동향 

 

 

 

□ 시장규모

 

  ㅇ 아이메스(艾美仕) 시장연구원에 따르면, 2017년 중국 의약품 매출액은 7467억 위안으로 전년동기대비 3.3% 성장했으며,

2016년 9.2% 성장률을 기록한 것과 비교할 때 성장률이 현격하게 감소함.
   - 그 원인으로는 중국 공립병원 개혁, 의료보험 비용 및 의약품 비중 절감개혁에 기인함. 

 

  ㅇ 하지만 다른 관점에서 보면, 로컬기업과 글로벌기업 간 실적을 비교해보면, 2017년 로컬기업의 중국 내 매출액은 1.5%이였으나, 글로벌기업의 매출액은 8.9%에 달해 정반대 상황이 연출됨.  

 

2013~2017년 중국 의약품시장 매출액 변화

(단위 억 위안, %)

img_1.png
자료원: 아이메스(艾美仕) 시장연구원

 

□ 시장동향

 

  ㅇ 의약품 시장의 양대 산맥: 글로벌 기업과 로컬기업
    - 2017년 중국 의약품시장에서 글로벌기업과 로컬기업의 매출액은 각각 1876억 위안과 5582억 위안을 기록함 
    - 제품당 판매가격은 약품의 대량구매 추세가 두드러짐에 따른 경쟁확대로 글로벌기업과 로컬기업의 가격은 각각 3.5%와 2.8%

인하된 것으로 나타남.
    - 중국 10대 의약품 공급상의 경우 글로벌기업이 4개사, 로컬기업이 6개사가 포진함.

 

2017년 중국 10대 의약품시장 공급업체 

순위

회사명

전년대비 성장률

1

Pfizer

14.1%

2

양쯔강약업

11.3%

3

AZN

15.1%

4

헝루이제약

15.9%

5

치루제약

0.5%

6

Sanofi

11.6%

7

푸싱약업

-0.4%

8

정다티엔칭

7.3%

9

스환약업

-2.7%

10

Bayer

9.5%

자료원: lQVIA 의원의약품통계보고

 

□ 최근 3년간 수입규모

 

  ㅇ 의약품 HS코드는 3003, 3004로 나눠지므로, HS코드별로 수입동향을 별도로 분석함.
    - 중국 의약품 시장은 17년 성장추세에 있으며, 그중에서도 HS코드 3004인 소매포장용 약품제품 시장의 규모가 크고 전체 비중도

80% 이상에 육박함.
    - 특히 소매용 의약품(3004)의 경우 17년 증가율이 22%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남. 

  
중국 연도별 수입동향 (HS CODE: 3003)
(단위 : 천 달러, %)


연도

수입액

수입증감률

2015

265,189

10.9

2016

253,465

-4.4

2017

266,380

5.1


중국 연도별 수입동향 (HS CODE: 3004)

(단위 : 천 달러, %)


연도

수입액

수입증감률

2015

13,043,473

1.6

2016

14,061,474

7.8

2017

17,159,352

22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 상위 10개국 수입동향

 

  ㅇ 전체에서 대다수를 차지하는 소매용 제품(HS코드 3004)을 통해 살펴본 중국 의약품 10대 수입국은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등

의료분야 선진국이 선두에 포진하고 있으며, 스웨던, 미국, 영국, 스위스, 일본, 호주, 덴마크 등 국가가 포진함.
    - 수입증감률은 독일, 프랑스, 스위스, 미국이 20% 이상 성장률을 기록하며, 성장세를 구가했고, 전반적으로 수입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음.

 

2017년 중국 10대 수입국 동향 (HS CODE: 3004)
(단위 : 백만 달러, %)


국가명

수입액

수입증감률

독일

4,283.0

23.6

프랑스

1,911.0

39.0

이탈리아

1,765.0

9.1

스웨덴

1,137.0

52.3

미국

1,101.0

59.0

영국

1,058.0

13.1

스위스

806.0

10.7

일본

651.0

22.7

호주

610.0

9.9

덴마크

481.0

3.0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2017년 중국 10대 수입국 동향 (HS CODE: 3003)
         (단위:백만 달러, %)


국가명

수입액

수입증감률

스웨덴

93.0

9.8

이탈리아

34.0

-1.1

일본

32.0

29.4

독일

26.0

25.0

프랑스

24.0

9.9

캐나다

23.0

-15.3

벨기에

20.0

11.4

불가리아

4.0

10.4

영국

4.0

-50.3

슬로베니아

2.0

-23.1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 대한수입규모 및 동향  

 

  ㅇ 중국 의약품 대한 수입규모는 2012년 7000만 달러 수준이였으나, 2017년 그 수입액이 99만 달러까지 늘어 기존대비 2.7배 이상

늘었음
    - 의약품 중 HS코드 3003의 경우 수입액이 거의 없어 소매용제품(HS코드 3004)를 중점 조사함 
    - 수입증감률은 2013년을 제외하고 매년 성장하였고, 선진국에 비해서는 성장속도가 느림.

 

중국 의료기기의 대한 수입규모 및 동향(HS CODE 3004)
 (단위 : 백만 달러, %)

연도

수입액

수입증감률

2017

99

5.1

2016

94

4.5

2015

90

14.4

2014

79

21.2

2013

65

-6.9

2012

70

22.5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 가격대별 의약품 경쟁시장 동향

 

  ㅇ 치료영역의 관점에서 보면, 2017년 중약제품은 약품시장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으나, 2016년 성장률은 ?2.8%를 기록함.
    - 전신성감염방지약, 소화약, 신진대사촉진약 등이 2, 3위를 차지함.
    - 호흡계계통 및 혈액형성기관약, 항종양약, 면역조절제의 성장률은 각각 9.8%, 8.7%, 8.5%를 기록함. 

 
  ㅇ 제품 순위를 통해 살펴보면, 1위는 화이자 아토르바스타틴이 차지했으며, 순위뿐만아니라 전년대비 성장률도 13%를 기록했음.
    - 아스트라제네카 풀미코트의 판매가 급격히 늘어나 4위를 기록했으며, 성장률 상위 3개 브랜드는 화이자의 sulperazone와 양쯔

강약업의 쟈뤄닝(加??), 아스트라제네카 풀미코트이며, 성장률은 각각 23.7%, 21.2%, 20.5%를 기록함.  

 

2017년 병원용 의약품 8대 주요 제품


순위

제품명

제조업체

전년대비 성장률

1

Lipitor

Pfizer

13.0%

2

Plavix

Sanofi

8.6%

3

쟈뤄닝

양쯔강약업

21.2%

4

풀미코트

AZN

20.5%

5

페이통

산둥단홍제약

-2.3%

6

쉐췐통

광저우우저우제약

-6.2%

7

션지에

치루제약

-17.0%

8

슈푸션

Pfizer

23.7%

자료원: lQVIA 의원의약품통계보고

 

□ 관세율 : 품목별로 상이(주요 제품 관세율 있을 경우 작성)


  ㅇ 2018년 7월 대다수 제품의 관세율이 절반으로 떨어진 관계로 향후 수입제품을 중심으로 가격경쟁력이 크게 상승할 전망임.

 


2018 세제 번호

최혜국세율(%)

2018.7.7. 적용 협정세율(%)

30031011

6

3

30031012

6

3

30031013

6

3

30031019

6

   3

30031090

6

3

30032011

6

3

30032012

6

3.9

30032013

6

3

30032014

6

3

30032015

6

3

30032016

6

3

30032017

6

3

30032018

6

3

30032019

6

5.4

30032090

6

3

30033100

5

2.5

30033900

6

3

30034100

5

-

30034200

5

-

30034300

5

-

 30034900

5

-

30036010

5

-

30036090

5

-

30039000

5

-

30041011

6

3

30041012

6

3

30041013

6

3

30041019

6

3

 30041090

6

3

30042011

6

3

30042012

6

3.9

30042013

6

3

30042014

6

5

30042015

6

3.9

30042016

6

3

30042017

6

3

30042018

6

3

30042019

6

5

30042090

6

3.9

30043110

5

3.3

30043190

5

3.3

30043200

5

3.3

30043900

5

3.3

30044100

5

-

30044200

5

-

30044300

5

-

30044900

5

-

30045000

6

3

30046010

4

-

30046090

4

2.6

30049010

6

3.9

30049020

4

2

30049051

3

1.5

30049052

3

1.5

30049053

3

1.5

30049054

3

1.5

30049055

3

1.5

30049059

3

1.5

30049090

4

2.6

자료원: 중국 관세청


□ 시사점 

 

  ㅇ 중국 의약품시장은 현재 성장세에 있으며, 2018년 7월 의약품 제품 대다수의 관세율이 절반으로 떨어져 가격경쟁력이 향상될 수

있어 우리 기업에는 호기로 보임.

 

  ㅇ 후난성 라오바이싱 대약방 동사장 시에즈롱(?子?)에 따르면, 중국에서 추진 중인 의료개혁에서는 소비자가 쉽게 의약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의성 강화에 중점을 두고 있어 이를 주목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밝힘.

 

  ㅇ 한국제품의 중국 내 수입시장 비중은 독일, 프랑스 등 선진국에 미비하고, 성장률도 뒤떨어져 진출이 쉽지는 않은 상황임.  
  
  ㅇ 중국시장에서 잘 나가고 있는 화이자, 사노피 등 선진국 브랜드의 성공요인을 면밀히 분석하고, 최근 중국트랜드인 약품의

대량구매 시장에 뛰어들기 위한 전략을 세울 필요성이 있음.

 

 

출처 : 아이메스(艾美仕) 시장연구원, 한국무역협회, 중국관세청, 정저우무역관 자체자료 등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