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2018 중국 진출전략 -단계별 및 사례분석 중심
- 등록일2018-10-01
- 조회수5475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18-09-18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중국#보건의료시장
- 첨부파일
2018 중국 진출전략 -단계별 및 사례분석 중심
Contents 목차
■ 중국 보건의료시장 현황
1. 중국진출을 위한 한국과 중국 관련 법률 고찰
2. 의료 해외진출 금융 및 투자유치 구조
3. 중국 진출 계획 수립의 주요사항 점검 및 사례 소개
4. 중국 의료시장 분석을 통한 중국 의료특구 진출방안 도출
5. 중국 칭다오 종합병원 운영현황 분석 및 의료기관 설립 법률 검토
6. 중국 재활의료시장과 대한민국 의료기관과의 관계에 대한 小考
7. 한국 의료기관의 중국 진출유형별 사례분석을 통한 위험요소 점검
I. 중국 보건의료시장 현황
■ 보건의료 시장의 확대
○중국의 총 의료비 지출 규모는 ’15년 기준 4.1조 위안 (약 697조 원)
- 중국 정부는 2020년까지 헬스케어산업 규모를 8조 위안(약 1,400조 원)*으로 확대할 계획으로, 미국에 이어 세계 2위 의료시장으로 성장 예상
* 2020년 국내 헬스케어(의약품, 의료기기, 의료서비스) 산업 규모(174조원 예상)의 약 8배
- 헬스케어시장을 확대하기 위해 정부에서 적극적으로 외국자본 및 민간자본의 투자를 장려하기 위한 정책을 추진 중
〈중국 연간 의료비지출 추이〉
(단위 : 억 위안)
■ 의료수요 및 의료비 지출 증가
중국의 1인당 의료비는 450달러(2,980.8위안)로 GDP 대비 6.2%를 차지하여, OECD 평균인 3,453달러에 크게 미달('15년 기준)
- 주요 사망원인 1~3위는 암(악성종양), 심장질환, 뇌혈관질환으로 한국과 동일하나 한국에 비해 심장?뇌혈관질환의 사망률이 높음.
* 사망률(10만명당) : (중국) 암 165.8명, 심장질환 136.61 명, 뇌혈관질환 128.23명 / (한국) 암 150.8명, 심장질환 55.6명, 뇌혈관질환 48.0명('15년)
- 기대수명과 평균수명 증가로 고령화가 급속도로 진행중
* 2000년 고령화 사회 진입(65세 이상 노인인구 약 1억 명), 2025년 고령사회, 2035년 초고령 사회 진입 예상(중국 국가통계국 인구센서스, 2010)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