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유럽 스타트업 생태계 현황과 협력방안
- 등록일2018-10-17
- 조회수5280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18-10-15
-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
- 원문링크
-
키워드
#스타트업#유럽
- 첨부파일
유럽 스타트업 생태계 현황과 협력방안
목차
I. 유럽 스타트업 생태계 여건 / 1
1. 유럽 스타트업 생태계 동향
2. EU의 스타트업 정책
II. 유럽 주요 스타트업 생태계의 현황과 정책 / 15
1. 영국 런던
2. 프랑스 파리
3. 독일 베를린
4. 스페인 바르셀로나
5.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6. 스웨덴 스톡홀름
7. 핀란드 헬싱키
8. 오스트리아 빈
9. 폴란드 바르샤바
10. 슬로바키아 브라티슬라바
III. 진출방안과 시사점 / 227
1. 유럽 스타트업 생태계의 위상과 진출 여건
2. 유럽 스타트업 생태계 진출방안
3. 국내 스타트업 생태계 구축에 대한 시사점
요약
1. 유럽 스타트업 생태계의 위상과 진출 여건
□ 유럽은 최근 전세계 혁신 스타트업이 모여드는 ‘Tech Startup Hub’로 도약
? 2017년, 전년대비 84% 증가한 191억 6,800만 유로의 스타트업 투자 시현
- 유럽에서 성사된 스타트업 투자건수 역시 3년 연속 약진을 기록, 2017년 전년대비 39% 증가한 3,656건 기록
? 유럽 각국은 4차산업혁명 전략 추진과* 더불어 스타트업 생태계 조성에 역점
* EU 회원국·지역별로 30개 이상의 디지털 산업혁신 이니셔티브가 추진 중
- 특히 런던, 베를린, 파리, 스톡홀름, 암스테르담은 ‘글로벌 20대 창업생태계’ (207년 기준. Startup Genome)에 진입하여 유럽 스타트업 성장을 견인
□ 유럽은 잠재력 있는 스타트업이 진출하여 성장할 수 있는 유망 지역
? 유럽 스타트업 생태계는 비즈니스 친화적 환경, 창업 클러스터 활성화, 대외 개방성 등 전반적인 조건이 우수*
* 2017년 Global Entrepreneurship Index(GEI) 상위 20개국 중 유럽 13개국 포진
- 유럽의 스타트업 고객 중 약 20.7%가 非유럽 고객으로서, 他지역 스타트업 글로벌 고객 평균치(12.8%)를 약 1.5배 상회(Startup Genome)
? 유럽 국가들은 스타트업 관련 해외(非유럽 포함) 인력의 유치에 적극적
* 영국 테크네이션 비자: 디지털기술 분야의 우수 창업자 대상 특별 비자 발급
* 프랑스: French Tech Ticket(국가)과 Paris Region Starter Pack(수도권)으로 혁신기술을 바탕으로 한 해외 창업자 지원
* 스페인 Rising Startups Spain: 자국 시장에서 긍정적 평가를 받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출시한 해외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스페인 내 창업 지원
□ 우리 스타트업의 유럽 진출은 아직 많지 않으나, 고부가 영역 중심
? 한국의 해외진출 창업기업 가운데 61.6%가 동북아, 29.7%가 동남아에 진출, 유럽 진출 창업기업 비중은 10.1%(창업진흥원. 2018년 조사)
? 유럽 진출 분야는 비즈니스, 과학·기술, 교육, 정보통신 등 고부가 업종 중심
* 사업서비스 42.5%, 과학·기술 41.6%, 교육서비스 32.9%, 제조업 13.8%(복수응답)
2. 유럽 스타트업 생태계 진출방안
□ 딥테크(인공지능 등 첨단 디지털기술)를 중심으로 유럽 각국의 수요에 주목
? 유럽의 주요 스타트업 투자분야는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사이버보안, 로보틱스, 전자상거래, 핀테크 등
- 인공지능의 경우 독·영·프 등 주요국의 전략적 육성 분야
? 유럽 기업과 정부는 신기술 확보를 위해 해외 스타트업과 협력을 늘리는 추세로서, 한국 스타트업과의 협력 수요 존재
* 암호화폐 기술을 보유한 한국 스타트업 G사는 독일 핀테크기업 M사와 블록체인 개발 협업 중, C사는 독일 B사와 협력하여 휴대용 피부진단기 개발 중
□ 현지 창업을 통한 스타트업 생태계 진입
? 현지 인큐베이터, 엑셀러레이터, 지원프로그램을 통한 시장조사, 대기업과의 협업, 컨설팅 기회 확보 등 역량 강화가 중요
? 타깃 시장 및 투자처를 겨냥하고, 실효성을 우선하여 진출할 필요
- 국가·도시별로 매우 다양한 스타트업 생태계가 운영되고 있으며, 특성에도 차이가 있으므로 면밀한 선택이 요구
* 스타트업 실패요인 1위 시장수요 非매칭(42%), 2위 자금난(29%) (CB Insight)
- 코트라 등 유관기관의 현지 엑셀러레이터 참가 지원프로그램 활용
* 최근 한국 A사는 현지 엑셀러레이터 프로그램을 통해 초기투자(15,000 유로)와 멘토링을 받고, 유럽 벤처캐피탈에 IR을 실시하여 글로벌기업과 협업 진행
□ CVC 프로그램을 통해 Global Partnering 기회 창출
? 기업 기능의 수직적 분해 확대, 대기업의 스타트업 협력 수요 증가
- 엑셀러레이터 뿐 아니라, 대기업·금융기관도 스타트업 육성에 적극적*
* 국내 스타트업 S사는 심방세동 탐지기를 개발, 독일 바이엘사로투터 5만 유로 투자를 받고 베를린의 제약부분 본사 입주(61개국 450여 스타트업 경쟁. ’17)
□ 유럽 주요 스타트업 행사 참가를 통한 진출 가능성 모색
? 현지 스타트업 컨퍼런스, VC 네트워킹 행사 참가를 통한 네트워크 확보
- 주요 컨퍼런스에 한국관을 구성하여 VC 투자자 피칭, 1:1 상담 실시
* TechCrunch Disrupt(독). Viva Technology(프), London Techweek(영), Slush(핀) 등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