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2018 글로벌 화장품 산업 백서 I. 글로벌
- 등록일2018-10-31
- 조회수5243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화학・에너지
-
자료발간일
2018-10-22
-
출처
KOTRA
- 원문링크
-
키워드
#화장품 산업#화장품 트렌드#한국화장품
- 첨부파일
2018 글로벌 화장품 산업 백서 I. 글로벌
1 글로벌 화장품 산업 현황 및 시장 변화
Ⅰ. 글로벌 화장품 산업의 특징
Ⅱ. 글로벌 화장품 시장
Ⅲ. 권역별 화장품 시장
2 글로벌 화장품 트렌드
Ⅰ. 글로벌 화장품 산업 트렌드
Ⅱ. 글로벌 화장품 소재 트렌드
3 한국화장품 산업의 글로벌 위상
Ⅰ. 글로벌 시장 내 위상 변화
Ⅱ. 글로벌 수출 현황
Ⅲ. K-Beauty 글로벌 성공요인 및 전략
4 주요 권역별 트렌드와 진출전략
Ⅰ. 선진시장(미국, 유럽, 일본)
Ⅱ. 주력시장(중국, 동남아)
Ⅲ. 신흥시장(중남미, 러시아, 중동·아프리카)
1 글로벌 화장품 산업 현황 및 시장 변화
Ⅰ. 글로벌 화장품 산업의 특징
■ 화장품 산업은 융복합을 통해 고부가가치 첨단산업으로 진화
● (문화산업) 화장품 산업은 기초과학과 응용기술이 종합적으로 융합된 고부가가치 산업이자 국가 브랜드와 이미지를 상징하는 대표적 문화산업
- 화장품 산업은 의료, 바이오 등 다양한 산업과 융복합이 가능한 유기적 연계산업으로서, 피부과학, 생화학, 생리학, 면역학, 심리학, 콜로이드 과학 등 다양한 분야의 기술력이 결합된 산업임.
- 국가 브랜드와 종합 문화산업 (Culture,Movie, Drama, Pop 등)이 결합되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새로운 고부가가치 문화산업
● (미래유망산업) 화장품 산업은 성장 잠재력이 매우 높은 미래유망산업
- 신흥시장은 중산층 확대로 소비계층이 크게 성장하고 있으며, 선진시장의 경우 젊은층과 남성용, 고령층 등 화장산업의 소비계층 확대
- 화장품 산업의 발전은 소득 및 소비 수준의 변화, 시대를 반영하는 가치관, 사회적 습관, 유행의 변화 등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음.
* 웰빙, 메트로섹슈얼 등의 사회적 트랜드에 맞추어 한방원료, 코스메슈티컬, 에스테틱, 남성용 화장품 시장이 확대되며 소비자층이 점차 다양화, 세분화됨.
● (신유통·디지털화) 화장품의 특성상 체험가능한 오프라인 화장품 전문 편집매장의 인기 확대와 다양한 IT 기술 접목 등 새로운 시도 중
- 전통적 유통채널인 화장품 브랜드숍, 백화점의 매출 비중이 감소하는 반면, Sepora, Ulta 등 편집매장과 드럭스토어, 온라인 유통의 매출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
* 채널별 매출증가 : (백화점, 브랜드숍) 5% 미만, (멀티브랜드숍) 10% 이상, (온라인) 10 ~ 20%
* 미국 온라인 화장품 매출 비중 : (’11년) 5.6% → (’17년) 10.2%로 2배 급증
- 4차 산업혁명의 흐름 속에 화장품 산업 또한 디지털 마케팅, 가상체험, 모바일 피부진단, 개인별 맞춤형 화장품 등의 신기술 적용 확대
* 디지털 마케팅 : SNS를 활용한 다양한 형태의 인플루언서 마케팅 확대
* 가상체험 : 메이크업 시물레이션을 통한 고객의 신제품 체험 서비스 확대
* 모바일 피부진단 : 모바일기반 개인별 피부진단 키트(로레알 My UV Patch/MC10)
* 맞춤형 화장품 : 3D 프린팅 기술 활용 개인별 파운데이션 및 맞춤형 네일제작 등
● (합종연횡) 글로벌 시장에서 화장품 산업은 많은 인수합병(M&A)을 통해 산업재편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패션과 같은 이종 분야에서의 진입이 확대되는 등 산업 내 경쟁이 치열하게 진행 중
- ’17년 화장품의 글로벌 M&A는 최근 3년간 70% 이상 증가한 105건으로 동기간 글로벌 사모펀드 투자금액은 16억 달러에 달하는 등 산업 내 인수합병이 활발히 진행 중
* (에스티로더) 투페이스드 인수에 이어 베카코스메틱 인수 등 다양한 브랜드 인수진행
* (AHC카버코리아) 3조원 규모로 유니레버에 인수합병, (스타일난다) 6천억원 규모로 로레알에 인수
- 글로벌 패션기업의 화장품 산업 진입 선언으로 경쟁업체간 융복합 및 경합 확대
* (Forever 21) 미국 대표 패션기업, 향후 3년 내 화장품 전문점(Riely Rose) 30개 오픈 예정
● (전후방 연계) 다양한 첨단산업 연계를 통해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발돋움
- 화장품 산업구조는 제조업을 중심으로 기술·원료 등을 제공하는 후방산업과 판매·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방산업으로 구성
- 후방산업은 기능성 식품, 생명공학 관련 산업 및 유·무기 소재관련 화학산업, 농수축산업과 밀접하게 연계
- 전방산업은 미용서비스, 의료서비스, 전문유통 서비스 채널로 연계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