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미국의 이란 제재 대상에서 제외된 의료기기, 시장 전망은?
- 등록일2018-11-15
- 조회수5657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18-11-10
-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
- 원문링크
-
키워드
#의료기기#미국#이란
- 첨부파일
미국의 이란 제재 대상에서 제외된 의료기기, 시장 전망은?
2018-11-10 이상훈 이란 테헤란무역관
- 식료품, 농산물, 의약품, 의료기기 등 인도주의적 물품은 미국의 대이란 제재 대상에서 제외 -
- 의료 인프라 확충 정책, 한국산 브랜드 인지도를 기회로 활용해야 -
□ 시장 개요
ㅇ 2018년 11월 5일 미국 재무부가 발표한 원유 및 석유제품 거래 금지 등 이란에 대한 2차 제재복원 발효 내용에 따르면, 의료기기는 제재 대상에서 제외됨.
- 의료기기 관련 기업은 미국의 이란 제재복원 전과 동일한 환경에서 이란 진출이 가능
ㅇ BMI에 따르면 이란 의료기기 시장은 2017년 11억 달러에서 2022년 15억 달러로 연평균 6%씩 증가하는 유망 시장
- 2017년 기준, 이란 GDP 내 의료기기 시장 비중은 0.2%에 불과하고 수입 비중은 95.1%에 달해 전형적인 수입의존형 시장 특성을 지님.
이란 의료기기 시장규모 및 전망

자료원: BMI Research(Iran Medical Devices Report 2018 3Q)
이란 의료기기 시장 비중(2017년 기준)
![]() |
자료원: BMI Research(Iran Medical Devices Report 2018 3Q)
□ 품목별 시장 및 수입동향
ㅇ 이란의 의료기기 시장은 크게 의료용 소모품(주사 등), 진단영상기기, 치과용품, 정형외과 및 인공기관, 환자보조용품, 기타 의료기기(휠체어 등)로 구분되며, 2017년 기준 진단영상기기가 전체 시장의 29.9%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
ㅇ 품목별 시장 전망 및 경쟁 동향
- BMI에 따르면, 2012년부터 2022년까지 연평균 시장성장률은 의료용 소모품이 7%로 가장 높고 기타 의료기기, 치과용품 순
- 이란 의료기기 시장은 네덜란드 및 독일 등 EU가 전반적인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나, 치과용품은 한국이 주도하고 있고 의료용 소모품 및 환자보조용품, 기타 의료기기는 중국산 수요가 큼.
- 의료용 소모품: 연평균 7% 상승 전망, 주요 수입국은 네덜란드, 벨기에 등 EU 및 중국, 국내 생산은 Bandhaye Pezeshki Iran(BPI)과 Supa Medical Devices가 담당
- 진단영상기기: 연평균 4.4% 상승 전망, 주요 수입국은 네덜란드, 독일, 프랑스, 한국 순
- 치과용품: 연평균 6.6% 상승 전망, 주요 수입국은 한국, 독일, 스위스, 이탈리아 순
- 정형외과 및 인공기관: 연평균 6.3% 상승 전망, 주요 수입국은 독일, 네덜란드, 벨기에, 프랑스 순
- 환자보조용품: 연평균 6.6% 상승 전망, 주요 수입국은 네덜란드, 독일, 스위스, 중국 순
- 기타 의료기기: 연평균 6.7% 상승 전망, 네덜란드, 중국, 이탈리아, 벨기에 순
이란 품목별 의료기기 시장규모 및 전망

자료원: BMI Research(Iran Medical Devices Report 2018 3Q)
ㅇ 한국의 위치
- 한국은 이란 의료기기 시장에서 6415만 달러 규모, 6.5%의 시장점유율을 기록하고 있으며 전체 수입국 중 5위를 차지하고 있음.
- 수입시장에서는 5위로 기록되는 것은 중개무역 및 재수출 국가인 UAE가 포함됐기 때문
- 한국은 주로 임플란트 등 치과용품과 X-ray 등 진단영상기기 분야에서 강점을 보이나, 정형외과기기 및 기타 의료기기 분야에서는 진출이 미미함.
- HS Code 9018 기준 이란의 대한국 수입규모는 2017년 3597만 달러를 기록, 전년대비 63.6%가 상승해 상위 10개국 중 이탈리아 다음으로 높은 성장률을 보임.
- 미국의 대이란 제재가 가시화된 2018년 5월 이후 상황에서도 전년동기대비 32%가 상승한 3656만 달러를 기록, 시장점유율을 전년 5.8%에서 7.7%로 높이면서 중국과의 격차를 줄이고 있음.
이란 의료기기 상위 20개국 시장점유 현황(2016년 기준)
(단위: 천 달러, %)
![]() |
자료원: BMI Research(Iran Medical Devices Report 2018 3Q)
최근 3년간 이란 의료기기 국가별 수입동향(HS Code 9018)
(단위: 달러, %)
국가 |
수입액 |
점유율 |
'17/'16 증가율 | ||||
2016 |
2017 |
2018 |
2016 |
2017 |
2018 | ||
전 세계 |
466,508,344 |
456,288,944 |
624,236,575 |
100.00 |
100.00 |
100.00 |
36.81 |
UAE |
76,182,215 |
79,555,035 |
122,095,041 |
16.33 |
17.44 |
19.56 |
53.47 |
네덜란드 |
72,057,271 |
84,165,570 |
89,463,353 |
15.45 |
18.45 |
14.33 |
6.29 |
독일 |
44,720,060 |
48,629,066 |
75,446,624 |
9.59 |
10.66 |
12.09 |
55.15 |
중국 |
43,563,936 |
39,048,506 |
53,796,089 |
9.34 |
8.56 |
8.62 |
37.77 |
대한민국 |
25,172,096 |
21,991,877 |
35,970,657 |
5.40 |
4.82 |
5.76 |
63.56 |
스위스 |
29,661,322 |
26,963,888 |
34,425,582 |
6.36 |
5.91 |
5.51 |
27.67 |
프랑스 |
20,365,046 |
18,893,518 |
27,278,784 |
4.37 |
4.14 |
4.37 |
44.38 |
일본 |
15,875,411 |
22,136,340 |
26,088,917 |
3.40 |
4.85 |
4.18 |
17.86 |
미국 |
20,094,975 |
22,729,119 |
25,810,876 |
4.31 |
4.98 |
4.13 |
13.56 |
이탈리아 |
12,284,158 |
13,434,164 |
22,288,496 |
2.63 |
2.94 |
3.57 |
65.91 |
자료원: World Trade Atlas
최근 3년간 9월 누계 기준 이란 의료기기 국가별 수입동향(HS Code 9018)
(단위: 달러, %)
국가 |
금액 |
점유율 |
증가율 | ||||
2016 |
2017 |
2018 |
2016 |
2017 |
2018 | ||
전 세계 |
342,419,495 |
460,703,167 |
472,374,883 |
100.00 |
100.00 |
100.00 |
2.53 |
UAE |
61,467,837 |
83,096,353 |
98,268,570 |
17.95 |
18.04 |
20.80 |
18.26 |
네덜란드 |
63,580,544 |
67,909,375 |
92,841,482 |
18.57 |
14.74 |
19.65 |
36.71 |
독일 |
33,408,152 |
53,145,877 |
47,179,929 |
9.76 |
11.54 |
9.99 |
- 11.23 |
중국 |
31,085,918 |
37,391,329 |
39,177,179 |
9.08 |
8.12 |
8.29 |
4.78 |
대한민국 |
15,774,856 |
27,712,259 |
36,556,531 |
4.61 |
6.02 |
7.74 |
31.91 |
스위스 |
19,755,670 |
26,578,113 |
24,231,906 |
5.77 |
5.77 |
5.13 |
- 8.83 |
일본 |
16,249,636 |
21,357,707 |
19,894,553 |
4.75 |
4.64 |
4.21 |
- 6.85 |
이탈리아 |
10,492,072 |
15,920,018 |
18,331,864 |
3.06 |
3.46 |
3.88 |
15.15 |
프랑스 |
14,656,401 |
22,011,920 |
15,099,984 |
4.28 |
4.78 |
3.20 |
- 31.40 |
오스트리아 |
3,101,439 |
8,523,246 |
13,206,455 |
0.91 |
1.85 |
2.80 |
54.95 |
자료원: World Trade Atlas
□ 이란 정부정책 동향 및 시장 변화
ㅇ 이란 정부의 의료관광객 유치 정책 본격화
- 2017년 8월, 이란 정부는 이스파한을 의료 도시로 지정하고, 총 2억6000만 달러 규모의 의료 인프라 건설 프로젝트 착수
- 이스파한 의료 도시 프로젝트는 정형외과, 산부인과 등 병원시설과 방사선 의료기기, PET/CT 스캔, MRI 등 의료기기 및 장비 도입 및 관련 실험실, 호텔 등 부대시설 건설을 포함
- 2017년 10월, 이란 아르반드 자유지역(AFZ) Esmail Zamani 청장은 이란 AFZ 남서부의 국경지역에 보건센터를 설립하고 해당 센터를 방문하는 이란 방문객에게 비자 면제 추진 발표
- 영국의 대표적인 의료서비스 기업인 IHG는 2017년 10월 이란 전역에 암센터 설립과 운영을 골자로 하는 18억 유로 규모의 암센터 건설 프로젝트에 투자
ㅇ 증가하는 이란 방문 의료관광객
- 이란 보건부는2016년 3월부터 2017년 3월까지 1년간 국내 입국 환자 수가 10만5000명이며 이라크, 아제르바이잔, 아르메니아, 페르시아만 등의 인접국에서 온 것으로 확인함.
- 2018년 9월 10일 자 테헤란 타임즈 기사에 따르면, 이란 보건부는 2018년 1분기 기준 전년동기대비 국내 의료 관광객 수가 2배 이상 증가한 30만 명을 기록했다고 밝힘.
- 최근 이란 의료관광객 수 증가는 이란 리알화 가치 하락으로 관광비용이 크게 낮아진 데 가장 큰 원인이 있으나 비자 면제, 이란 의료관광 홍보 등 이란 정부의 의료관광객 유치 노력도 일부 기여
□ 이란 의료기기 관련 규제
ㅇ 의료기기 주요 규제기관은 Central Office for Medical Equipment Department(http://www.imed.ir)
- 이란 보건부(MOH)에 속해 있으며, 의료기기 관련 의사결정 및 법 집행을 하는 기구
- 의료기기 관련 규제사항은 Medical Care and Medical Education Act에 서술돼 있음.
- ISIRI는 이란 유일산업 표준 개발 및 지정을 담당하는 기관
ㅇ 이란의 의료기기 등급은 EU 등급체계를 따르며, 위험도에 따라 A~D등급으로 분류
- 의료기기는 위험도에 따라 A(저위험: 반창고 등), B(중저위험: 주사침 등), C(중위험: 인공호흡기 등), D(고위험: 심장충격기 등)으로 분류
- 고위험일수록 제품 수입 및 절차가 까다롭고 허가까지 시간이 많이 소요됨.
□ 의료기기 등록절차
ㅇ 현지 에이전트 선임 필수
- 이란 의료기기 시장의 경우 반드시 해당 제품이 MED에 제품명 및 선임 에이전트가 등록돼야 현지 수입·유통이 가능
- 유능한 에이전트 선임이 현지 시장진출 성패를 가름.
· 의료기기 등록 시 필요 서류: 현지 대리인 계약서(대한상공회의소 및 주한 이란대사관 인증 필요), 한국 업체(제조사) 서약서(이란 외무부 승인 필요), 이란 대리인 서약서(이란 보건부 MOH 송부용)
- 의료기기 판매가 승인된 의료기기 판매자 목록은 아래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음.
· mci1.imed.ir/AuthorizedCompanies.aspx
- 이란의 경우 현지 시험 및 인증 연구소가 별도로 확보돼 있지 않으므로 미국의 FDA 또는 EU의 CE 인증서가 반드시 필요
· UNDNS(Universal Medical Device Nomenclature System) Code 또한 요구됨.
ㅇ 의료기기 등록절차

주: 1) 현지어(페르시아어) 라벨 및 사용설명서 또한 제출돼야 하므로 현지 대리인을 통한 번역업체 섭외 필요
2) 현지 의료기기 수입상은 신원 확인 서류 구비 후 각종 문서를 이란 보건부(MOH)로 제출, 인가를 취득해야 함. 기술자, 엔지니어링 인력 또는 의료 분야 관련 학위자 중 한 명을 기술 감독자로 임명해야 함.
자료원: 한국보건산업진흥원
ㅇ 외국 제조업체가 현지 지사가 없을 시 현지 대리인을 통한 허가증 취득 필요
ㅇ 이란 의료기기 통관절차

자료원: 한국보건산업진흥원
ㅇ 이란 의료기기 규정 제28조에 의해 허가신청서와 첨부 서류를 제출해야 하며, 'Application for a Medical Device Registration', 'Application for an IVD Medical Device Registration' 가이드라인에 따라 작성 제출해야 함.
- 의료기기 등록 신청서: 별첨 파일 참조
ㅇ 필요한 문서 유형에는 CE 및 FDA 인증서, 품질관리 시스템(QMS), 기술 세부사항, 테스트 보고서 및 기타 서류가 포함됨. 유효
한 의료기기 등록번호와 시장판매허가가 없이는 이란에서 생산하거나 판매할 수 없음.
의료기기 등록 시 제출 서류 목록
문서 |
의료기기 |
체외진단 의료기기 |
공통 서류 |
· 신청서 · 의료기기 품질시스템 인증서(ISO 13485) · CE 인증서 또는 FDA 510(k) 신고서 · 대한상공회의소 및 주한 이란 대사관 공증된 위임서(Letter of Authorization) |
왼쪽에 기술한 내용과 동일 |
기술문서 |
표지 |
왼쪽에 기술한 내용과 동일 |
신청문서 개요(2~3장 정도 요약) |
왼쪽에 기술한 내용과 동일 | |
제품설명: 제품 사용목적, 작동원리, 사용재료, 포장 등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 |
왼쪽에 기술한 내용과 동일 | |
설계 이론: 제품 개발에 사용된 이론 및 성능에 대한 자료와 이전 버전의 제품 등과 비교한 자료 설명서 |
왼쪽에 기술한 내용과 동일 | |
마케팅 이력: 기판매된 국가 및 그 판매 이력 등을 포함한 요약서 |
왼쪽에 기술한 내용과 동일 | |
적용 규격 |
왼쪽에 기술한 내용과 동일 | |
멸균 방법: 멸균제품인 경우 |
왼쪽에 기술한 내용과 동일 | |
안전성·유효성 연구에 관한 요약: 성능시험, 생물학적 안정성시험, 동물시험 및 임상자료 |
왼쪽에 기술한 내용과 동일 | |
위험관리 보고서: 위험분석 등을 포함한 위험관리 활동에 대한 보고서 |
왼쪽에 기술한 내용과 동일 | |
원료 규격 |
의료기기와 동일(동물 유래제품 적용 시 동물 유래제품에 대한 정보 기재 필요) | |
표시 기재 사항: 기기와 포장재에 부착되는 표시 기재, 사용설명서, 사용 훈련을 위한 자료, 설치 및 유지보수를 위한 자료(페르시아어) |
왼쪽에 기술한 내용과 동일 | |
해당 없음. |
성능 평가자료 | |
적합성 선언서 |
자료원: 이란 보건부(MOH)
ㅇ 중고 의료기기: 이란 보건부 산하 의료장비 부서의 허가가 없는 한, 중고 또는 개존 의료기기는 이란에서 판매·유통 등 금지
ㅇ 수입 통관 증명 서류
- 수입 증명서
· 상단에 회사의 대표 서명과 도장이 찍힌 수입업자 요청서
· 화장품과 건강제품에 대한 통관 체크리스트 확인
· 회사, 대표의 서명과 도장이 찍힌 견적서, 사본 2장
· 제품 등록 서류와 사본 한 장
· 해당 제품 수입에 대한 기록
· 제품에 대한 기술적, 화학적 정보
- 통관 증명서
· 상단에 회사의 대표 서명과 도장이 찍힌 수입업자 요청서
· 화장품과 건강제품에 대한 통관 체크리스트 확인
· Proforma 정보에 대한 원본과 사본
· 보건 증명서 원본과 사본
· 이란 산광부에 의해 허가된 두 번째 형식의 Proforma Invoice
· 제품에 대한 기술적, 화학적 정보
· 제품에 대한 시험 리포트 제출
· 세관 신고서, 통관 서류, 창고 증권 사본
ㅇ 미국의 이란 제재 관련 참고사항
- 이란에 의료기기를 수출하고자 하는 미국 기업들은 특정 허가증(Specific Authorization)을 취득해야 하며, 이는 미국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OFAC)이 발행함.
- 미국에 법인을 두거나 미국산 의료기기 및 관련 소재, 부품을 이란에 수출 시에도 방사선 의료기기 등 미국 OFAC에서 명시한 특정 허가 필요 품목(https://www.treasury.gov/resource-center/sanctions/Programs/Documents/iran_gl_med_supplies.pdf)에 포함되면 미국 OFAC의 별도 허가를 받아야 함.
□ 시사점 및 전망
ㅇ 이란 의료기기 수입기업 B사에 따르면, 의료기기 분야는 이번 미국 제재 복원 이전과 큰 변화가 없으며 한국산 의료기기 수요는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
- 이미 미국 OFAC의 관리 하에 이란 내 수입되는 의료기기는 엄격히 통제돼 왔으며, 오히려 이란 정부의 의료관광 육성 정책 드라이브에 따라 의료기기 수입 수요는 크게 증가할 것
- 한국산 의료기기는 이란 내 이미 기술력을 인정받는 품목이 많아 유럽산의 대체 역할을 할 것임.
ㅇ 이란 치과용품 수출기업 D사에 따르면, 최근 원화결제 시스템 중단으로 수출대금 결제가 지연되어 신규 수출도 함께 지연되는 상황을 맞이하고 있음.
- 원화결제가 조속히 재개된다면, 향후 이란 진출 규모는 점진적으로 증가시킬 계획
ㅇ 이란 의료기기 수출 희망 기업은 아직 원화결제 문제가 남아 있는 상황이므로, 향후 국내 금융기관의 정확한 지침을 확인 후 접근할 필요가 있음.
자료원: 미국 재무부, 이란 보건부, BMI Research, 한국보건산업진흥원, World Trade Atlas, 이란 바이어 및 국내 수출기업 인터뷰, KOTRA 테헤란 무역관 자료 종합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베트남 의료기기 시장동향
-
다음글
- 미국 의료용 주삿바늘 시장동향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