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카타르 의료기기 시장동향
- 등록일2019-01-14
- 조회수5793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19-01-08
-
출처
KOTRA
- 원문링크
-
키워드
#카타르#의료기기
카타르 의료기기 시장동향
2019-01-08 김민경 카타르 도하무역관
- 카타르 의료기기시장, 2022년까지 4억 달러 규모로 성장 전망 -
- 2019년 보건의료 분야 정부예산은 62억 달러로 전체 재정지출의 11% 차지 -
□ 카타르 의료기기시장 개요
ㅇ 미국의 시장조사기관 BMI에 따르면, 카타르의 의료기기 시장규모는 2017~2022년까지 연평균 8.9% 성장할 것으로 전망
- BMI에서 예측한 2018년 카타르의 의료기기 시장규모는 전년대비 약 9% 성장한 약 2억8000만 달러로, 인구 증가 및 각종 만성 질환 발병, 정부 주도의 의료시설 확충정책 등의 성장 요인에 따라 꾸준한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예측
ㅇ 의료기기 제조시설은 단 1개사*로, 대부분의 의료기기 수요를 수입에 의존함에 따라 의료기기 시장수출 기회 다대
* Qatar German Medical Devices: 1회용 주사기, 인슐린용 주사기, 피하 주사기 등 생산
□ 의료기기시장 성장 요인
ㅇ 꾸준한 외국인 인구 유입에 따른 인구 증가 지속
- 2018년 12월 기준 카타르의 인구는 267만 명으로 지난 10년간 연평균 5% 성장
- 2022년 카타르 월드컵 준비 및 국가비전2030(National Vision 2030)에 따른 대규모 인프라 공사 진행으로 꾸준한 인구 유입이 이루어지고 있음.
카타르 인구동향(단위: 만 명)

자료원: 개발계획통계부(MDPS)
ㅇ 정부 주도의 보건의료 분야 적극 투자 진행
- 카타르 재무부(MoF) 발표에 따르면 2019년 재정지출은 2067억 리얄(568억 달러)로 전년대비 2% 증가
- 이 중 보건의료 분야 예산은 227억 리얄(62억 달러)로 전년과 동일한 규모로 편성했으며, 이는 2019년 전체 재정지출의 11%에 해당
- 보건의료 분야 주요 지출은 ① 하마드의료법인(Hamad Medical Corporation) 시설 확장, ② 국립 연구소(National Laboratories) 확장, ③ 헬스센터 4개소 완공(Al Wajba, Meither, Qatar University, Al Waab), ④ 헬스센터 5개소 착공(South of Wakrah, Al Mashaf, Al Saad, Al Khor, Ein Khaled)에 사용될 예정
2019년 카타르 정부예산

주: USD 1 = QR 3.64
자료원: 재무부(MoF)
□ 주요 의료시설 현황
ㅇ 주요 국영 및 민간의료시설
- (국립병원) 하마드의료법인(Hamad Medical Corporation, HMC)에서 운영하는 국립병원 16개소
- (보건소) 기초보건기관(Primary Health Care Corporation, PHCC)에서 운영하는 국영 보건소(Health Centre) 26개
- (주요 민간병원) 아메리칸병원(American Hospital), 시드라의료연구센터(Sidra Medical and Research Centre) 등 8개
· 공공보건부(MoPH)에서 발표하고 있는 민간의료시설 수에 대한 통계 자료는 2013년 자료가 최신 자료로, 2013년 기준 총 348개의 민간 종합병원 및 클리닉이 운영
카타르 주요 보건의료시설 현황(단위: 개)
구분 |
병원명 |
진료과목 |
병상 수 |
국립병원 (16개) |
Hamad General Hospital |
종합 |
603 |
Women’s Hospital |
산부인과 |
330 | |
Rumailah Hospital |
종합 |
553 | |
Heart Hospital |
심장 및 흉부외과 |
116 | |
Al Wakrah Hospital |
종합 |
325 | |
Al Khor Hospital |
종합 |
115 | |
The Cuban Hospital |
종합 |
75 | |
Communicable Disease Center |
전염병 |
65 | |
National Center for Cancer Care and Research (Al Amal Hospital) |
암 |
76 | |
Qatar Rehabilitation Institute |
재활 |
193 | |
Enaya Specialized Care Center |
중장기 치료 |
156 | |
Pediatric Emergency Centers * 5개소 |
응급 소아 센터 |
- | |
주요 민간병원 (8개) |
American Hospital |
종합 |
20 |
Al-Emadi Hospital |
종합 |
60 | |
Doha Clinic Hospital |
종합 |
80 | |
Al-Ahli Hospital |
종합 |
250 | |
Turkish Hospital |
종합 |
100 | |
Aster |
종합 |
50 | |
Aspetar |
정형외과 및 재활의학 |
50 | |
Sidra Medical and Research Centre |
여성 및 아동 |
400 | |
보건소 (26개) |
웨스트베이(West Bay), 알와크라(Al Wakrah), 알콜(Al Khor) 등 26개소 |
일반 진료 |
- |
주*: 소형 민간의료시설(클리닉 등) 제외
자료원: 공공보건부(MoPH)
□ 주요 의료기기 수입동향
ㅇ 진단기기, 전기식 의료기기, 시력 검사기기(HS Code 9018)
- HS Code 9018에 해당하는 제품군의 수입액은 2018년 11월 기준 1억4900만 달러를 기록, 전년동기대비 9% 증가
- 진단영상기기는 전년대비 감소했으나 카타르 의료기기시장의 약 30%를 차지하는 가장 큰 수입시장을 보유
- 초음파 영상진단기, 혈압 측정기기, MRI, 내시경, 레이저 작동식 기기 등의 하위품목으로 구성
카타르 진단기기, 전기식 의료기기, 시력 검사기기 수입 현황(HS Code 9018)
구분 |
2016 |
2017 |
2018(11월 누계) |
증가율 |
금액(백만 달러) |
133 |
153 |
149 |
9% |
무게(톤) |
1,563 |
1,684 |
1,589 |
4% |
자료원: 개발계획통계부(MDPS)
ㅇ 마사지용 기기, 인공 호흡기, 기계요법용 기기 등 (HS Code 9019)
- HS Code 9019에 해당하는 제품군의 수입은 2018년 11월 기준 1700만 달러를 기록, 전년동기대비 48% 증가
카타르 마사지용 기기, 인공 호흡기, 기계요법용 기기 수입 현황(HS Code 9019)
구분 |
2016 |
2017 |
2018(11월 누계) |
증가율 |
금액(백만 달러) |
9 |
13 |
17 |
48% |
무게(톤) |
304 |
253 |
557 |
150% |
자료원: 개발계획통계부(MDPS)
ㅇ 정형외과용 기기 (HS Code 9021)
- 정형외과용 기기 수입은 2018년 11월 기준 2900만 달러를 기록, 전년동기대비 32% 증가
- 심장박동기, 골절치료기기, 인조관절, 보청기, 스크루 등 부속품 등의 하위품목으로 구성
카타르 정형외과용 기기 수입 현황(HS Code 9021)
구분 |
2016 |
2017 |
2018(11월 누계) |
증가율 |
금액(백만 달러) |
16 |
26 |
29 |
32% |
무게(톤) |
96 |
138 |
138 |
11% |
자료원: 개발계획통계부(MDPS)
ㅇ 방사선 기기 (HS Code 9022)
- 방사선 기기의 수입은 2018년 11월 기준 1400만 달러를 기록, 전년동기대비 12% 증가
- 방사선 사진기, 방사선 치료기, 혈관 조영 촬영장치 등의 하위품목으로 구성
카타르 방사선 기기 수입 현황(HS Code 9022)
구분 |
2016 |
2017 |
2018(11월 누계) |
증가율 |
금액(백만 달러) |
35 |
13 |
14 |
12% |
무게(톤) |
528 |
116 |
125 |
15% |
자료원: 개발계획통계부(MDPS)
□ 의료기기 수입 관련 규제
ㅇ 의료기기 수입은 일반적인 수입절차와 동일하며 아직까지 특별한 규제가 없음.
- 카타르 공공보건부(MoPH) 인증 관련 부서 담당자와의 인터뷰에 따르면 화학 제품, X-Ray 관련 품목의 경우 자치환경부(MME)의 승인이 필요하나, 이외에는 별도 승인 없이 일반적인 수입절차(상업송장, 원산지증명서, 선하증권, 패킹리스트)와 동일한 절차를 거친다고 응답
- 최종사용자인 의료시설(Healthcare Facility)은 공공보건부를 통해 의료기기 안전성에 대한 기술평가(Technical Assesment)를 받아야 함.
- 카타르는 의료기기의 안전성 등을 검토하는 자체적인 규정이 없기 때문에, 기술평가 시 CE 또는 FDA 인증이나 이와 동등한 세계 유명 인증을 함께 검토하고 있음. 이러한 이유로 바이어들은 CE 및 FDA 인증을 보유한 제품을 선호
□ 시사점
ㅇ 정부입찰시장을 통한 진출 유망
- 정부 주도의 의료시설 확충정책에 따라 의료시설 완공 시 사용할 의료기기 수요가 동반되고 있음.
- 하마드의료법인(HMC)의 입찰정보는 카타르 정부입찰정보 사이트 모나카삿(Monaqasat)을 통해 확인 가능
- 일반적으로 현지 기업을 대상으로 한 입찰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이 경우 현지 에이전트 선임 필요. 경우에 따라 일부 입찰은 외국 기업이 직접 참가할 수 있음.
- 하마드의료법인의 입찰 참가 시 사전 벤더 등록이 필요하며, 초기 등록비 500카타르리얄(한화 약 15만 원)이 요구됨. 한번 벤더로 등록되면 2년간 유효하며 2년 후 갱신 필요
모나카삿 및 하마드의료법인 관련 링크
구분 |
링크 |
모나카삿(Monaqasat) 홈페이지 |
|
하마드의료법인(HMC) 벤더등록 양식 |
ㅇ 신중한 에이전트 선정 필요
- 대부분의 카타르 바이어들은 독점 에이전트 계약 방식을 선호하고 있음. 일부 업체들은 의료기기 수입 및 판매경험이 많지 않은 바이어와 독점 계약을 체결해 계약 이후 한 건도 수출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
- 바이어의 사업이력 및 판매 네트워크, 바이어의 향후 수입 및 판매계획 등을 사전에 꼼꼼히 파악할 필요가 있음.
카타르 바이어 발굴을 위한 참고 자료
구분 |
내용 |
전화번호 검색 사이트를 활용한 자체 발굴 |
① 카타르 전화번호 검색 사이트 Yellow Pages 또는 Qatcom 사이트 접속 ② 홈 화면의 검색창에 발굴을 희망하는 바이어의 사업 분야를 검색 - 의료 분야의 경우 'Medical', 건설중장비의 경우 'Heavy Equipment' 등 품목 관련 키워드를 입력 ③ 대표 전화번호에 연락해 소개 메일을 보낼 담당자의 연락처를 파악한 후 기업소개자료 전달 및 구체적인 수입(구매)의사 파악 - 사전 연락 없이 대표 이메일에 소개자료를 발송하는 경우 답장을 받지 못할 확률이 높음. |
KOTRA 바이어 조사 서비스 활용 (유료) |
① 바이어 자체 발굴이 어렵거나 보다 정밀한 매칭을 희망하는 경우 KOTRA 바이어 조사 서비스 활용 가능 - KOTRA 홈페이지 링크: www.kotra.or.kr(홈 화면→지원서비스 안내 클릭→해외시장조사) |
자료원: BMI, 공공보건부(MoPH), 개발계획통계부(MDPS), KOTRA 도하 무역관 자료 종합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