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변화하는 독일 식품산업 트렌드
- 등록일2019-01-29
- 조회수6155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19-01-26
-
출처
KOTRA
- 원문링크
-
키워드
#독일#식품산업
변화하는 독일 식품산업 트렌드
- 혁신성, 다양성이 주요 키워드 -
- 독일 대형 식품 유통망, 푸드 스타트업 제품에 관심 증가 -
?□ 독?일 식품산업 현화황?
????
?? ○ ?지난 ?10?년간 점진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독일 식품 산업???
??? ?- ?식품 산업은 독일 ?3?대 산업 중 하나로 총 매출액 규모는 ?‘17?년 기준 ?1,835?억 유로 기록하면서 전년대비 ?3.5% ?상승?? ???
? - ?또한 독일은 식품 수출 상위 국가로 ?‘17?년 약 ?601?억 유로를 수출하면서 신기록 달성?, ?이는 독일 식품 산업 총 매출의 ?33.5%?를 차지하는 수치임?.?
? - EU ?내 주요 수출국으로는 프랑스?,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등이 있으며?, EU ?지역 외 주요 수출국으로는 스위스?, ?미국?, ?중국 등이 있음?.?
? - ‘17?년 기준 독일의 한국에 식품 수출은? 6?억 유로 기록?, ?아시아 국가 중 중국?(20?억 유로?)?에 이어 독일의 두번째 수출대상국으로의 입지를 다짐?.?
? ?
?독일 식품 소매업 매출액?? (2008~2017?년?)?
?(?단위?: 십?억 유로?)

?
?자료원??: Statista?
? ?
? ○ 2018?년 독일 식품산업 트렌드??
? - ?독일 식품무역협회의 자료에 의하면 식·음료 원자재뿐만 아니라 친환경 포장재 사용이 중요해지고 있음?. ?이에 따라 제품 포장의 재활용 및 생물분해 가능 여부 등 특성을 명시하는 추세임?.?
? ?
?독일 내 친환경적인 포장으로 신규 출시된 제품 증가율?

??
?자료원??: ?독일 식품무역협회??
?주?) 2012?년도 수치를 기준?(=100)?으로 설정?
? - ?또한 냉간 가공?* ?및 발효 처리 등 신기술을 거친 혁신 제품들이 시장에 진입하고 있음?.?
? * ?냉간 가공?: 재료 가공에 있어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재료를 변형시키는 기술?
? - ?그 외 독일 소비자들은 식·음료의 맛을 제품 구매 결정에 가장 큰 요인으로 꼽았으며?, ?그 외 소셜미디어의 영향 또한 상당한 것으로 나타남?.
?
?
?
? 식·음료의 맛이 제품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가???? ??소셜미디어가 제품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가???
????


?자료원??: ?독일 식품무역협회??????
? ?
???□ 변화하는 독일 식품산업 트렌드??? ??
? ?
? ○ ?독일 대형 식품 유통망?, ?수년 전부터 ?‘?혁신성?, ?다양성?’?을 키워드로 내세워 옴?.?
? - ?메인 스트림?(Main Stream) ?및 대량 소비형태로부터 차별화된 맞춤형 소비 트렌드가 전 세계적으로 부상하고 있기 때문임?.?
? - ?이에 따라 대형 마트를 함께 운영하는 독일 식품 유통망들은 기존 제품군에 다양한 혁신을 시도하고자 노력함?.?
? - ?또한 스타트업의 신규 제품에도 큰 관심을 보이며?, ?자체 브랜드로 영입 및 매장 진출까지 지원하고 있음?.?
? - ?라이오넬 스쿠?(Lionel Souque) REWE ?그룹 회장은? ‘?스타트업은 식품산업에 신선한 바람을 불어 일으키며?, ?종종 대형 기업보다 진취적인 경우가 많아 제품군 개발에 큰 도움이 된다?.’?고 언급한 바 있음?.?
? ?
? ○ ?독일 식품 산업의 ?‘?시대 전환?’?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
? - ?식품 산업을 이끄는 주체가 독일 대기업 및 중견기업에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제공?, ?실현하는 젊은 스타트업들로 차츰 전환될 것으로 보임?.?
? - 이? 분야 전문가?, ?이러한 현상에 따라 독일 식품 산업계에서는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 여부가 추후 식품 무역의 중심을 가르는 기준이 될 것으로 분석??
? - ?또한 기존 다국적 대형 소비재 기업에 도전장을 내밀고 식품산업 내 고착화된 질서?, ?특히 대형 제조업체들의 독점 구조를 바꿀 수 있는 새로운 기회로 보기도 함?.?
? ?
??□ 독일 대형 식품 유통망의 스타트업 지원 활발??
? ?
? ○ EDEKA ?그룹?: Food-Tech-Campus ?운영??
? - ?베를린을 기반으로 한 이곳은 식품?, ?기술?, ?유통 관련 스타트업이 시장에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지원함?.?
? - ?입주 스타트업에는 공유 사무실?(Coworking Space), ?부엌?, ?이벤트 장소 등이 제공되며?, ?각 전문가와의 네트워킹?, ?노하우 전수를 통한 협력 지원을 받을 수 있음?.?
? - ?특히 이 캠퍼스는 베를린 모아비트?(Moabit)?지역 ?EDEKA ?대형 매장 바로 옆에 위치하여 스타트업 제품을 시범 출시 가능?, ?이후 관련 피드백 받아 제품 개발에 적용할 수 있음?.?
? - ?스타트업 제품 거래소 플랫폼 ?Food-starter ?제공?, ?해당 플랫폼에는 ?800?개 이상의 스타트업?, 1,000?개 이상의 소매상?, 1,500?개 매장이 등록돼 있음?.?
? ?
?EDEKA ?그룹의 ?Food-Tech-Campus ?전경??

?자료원??: EDEKA ?그룹??
? ?
?Food-Tech-Campus ?지원사항??
??
지원사항 |
세부사항 |
공간 |
- 부엌, 촬영 스튜디오, 워크숍 및 이벤트 공간 등 |
상담 서비스 |
- Food 아카데미: 재정, 품질 보증, 물류 등 관련 산업 정보 수강 - 테스팅 패널: 식품기술 전문가, 요리사, 포장전문가, 구매담당자, 품질관리사 등으로 구성된 패널이 제품 테스트 후 피드백 제공 - 개인코칭: 피칭 스킬 등 스타트업 창립 관련 코칭 프로그램 |
인큐베이터 및 제품 테스트 (예정) |
- Incubate 100: 100일 간 스타트업 로드맵 작성 지원 - Product Fit: EDEKA 매장에서 제품 시범 출시 및 테스트 수행 등 |
?자료원??: EDEKA Food-Tech-Campus ?홈페이지? ???
? ○ REWE ?그룹?: REWE StartUp Award ?개최??
?? ?- ‘18?년 독일 식품업계 최초로 스타트업 대회 창설?, ?수상기업의 제품은 독일 전역 ?REWE ?매장에 진열이 되며?, ?그 외 미디어 홍보 관련 지원을 받게 됨?.? ??
? - ?또한 최종 결승전에 오른 기업에도 스타트업 워크숍 등을 제공?, ?품질 관리 및 무역 전문가들의 노하우를 전수받음?.?
? - ?그 외 건강제품 및 동물 사료 전문 스타트업 대회를 동시에 진행?, Fit Food-Award, ZooRoyal Award ?등을 추가로 시상??
? - ?대회에 심사위원으로 참석한 한스 유르겐 모크?(Hans-J??urgen Moog) REWE ??그룹 구매담당자의 의견에 따르면, 제품은 가격이나 포장??, ??맛에 있어 특정 고객을 겨냥할 수 있어야 하며??, ??특히 기존 시장에 존재하지 않거나 잘 알려지지 않아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의 가능성이 있어야 함??.?
? - ??신제품의 적절한 가용성을 보장하기 위해 예측 가능한 시간 내 충분한 양을 생산할 수 있는 능력 또한 중요한 요소로 꼽힘??.?
? - ‘18??년 ??REWE StartUp Award??를 수상한 ??Selo Green Coffee??의 경우?? ??약 ??3,000??개 이상의 ??REWE ??매장에 진출 예정?
? - ??참고??: ??진출 희망 스타트업은 메일??(??innovationen@rewe.de??)??로도 연락 가능?
? ?
?2018 REWE StartUp Award ?수상 스타트업 예시??
????


????
?자료원??: Selo Green Coffee ?홈페이지?, Lebensmittelpraxis?
? ?
? ○ dm: dmSTART!?
? - Startnext*?와의 협업을 통해 스타트업 크라우드 펀딩 대회 개최??
? * Startnext: 2010?년 설립된 독일 최초 및 독일어권 최대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 - ?펀딩 목표 달성 및 최대 후원자 수를 모집한 프로젝트 최종 선정?, ?수상기업은 ?dm?과 납품 독점 계약 체결 및 약 ?2,000?개 ?dm ?온·오프라인 매장에 제품 진출 기회를 얻음?.?
? - ‘18?년 ?3?개 수상 기업 중 ?2?개 사가?, ?최종 결승에 오른 기업 중 약 ?35%?가 식품 관련 스타트업으로?, ?다른 항목에 비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 ?그 외 에리히 하쉬?(Erich Harsch) dm ?대표에 따르면?, 이 회?사는 제품군 선정 시 고객의 수요를 크게 반영하고 있으며?, ?높은 부가가치 창출을 위해 스타트업의 혁신제품을 적극 도입하고 있음?.?
? ?
?2018 dmSTART! ?수상한 식품 관련 스타트업??
????


?자료원??: OATSOME ?공식 페이스북?, Startnext nupro ?소개 홈페이지??
? ?
??□ 시사점??
? ?
? ○ ?푸드 스타트업?, ?독일 식품산업의 새로운 원동력??
? - ?기존 대형 식품 유통업체들은 참신한 아이디어 및 기술을 바탕으로 한 스타트업과 계약을 체결함으로써 자체 제품군 및 기술 혁신의 기회를 엿보고 있음?.?
? - ?또한 스타트업과의 협업을 통해 고객의 다양한 수요에 유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 독일 식품 산업계의 새로운 마케팅 방안으로 떠오르고 있음?.?
? ?
? ○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에 재빨리 반응하는 전략 도모 필요??
? - ?바쁜 현대인들의 일상에 맞춰 간단하게 조리 가능하면서도 영양학적으로 부족함이 없는 가정간편식은 이미 스테디셀러로 자리 잡음?.?
? - ?특히 건강?, ?채식?, ?공정거래 등에 큰 관심을 가지는 독일 소비자들의 특성을 고려?, ?이에 부합하는 제품 개발 및 인증 취득 등 진출 희망 시장에 대한 사전 준비는 필수임?.?
? - ?이유식부터 연화식까지 생애주기형 식품을 아우르는 ?‘?케어푸드?(Care Food)’ ?또한 독일 내 진출 가능한 블루오션 시장임?.?
? - ?그 외 유럽 내 퍼지고 있는 ?K-Food ?열풍을 따라 유럽인들의 입맛에 맞는 한식을 개발?, ?미래 식품 트렌드를 선점하는 것도 바람직함?.?
? ?
? ○ ?단순 식품 외 푸드테크?(Food Tech) ?관련 스타트업도 주목할 만??
? - ?식품 제조 및 가공 단계를 포함하여 유통·보관·판매 등 모든 단계에 접목 가능한 기술을 개발하는 스타트업이 함께 주목받고 있음?.?
? - ?이에 따라 식품 산업과 연계 가능한 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의 독일 시장 진출 가능성 또한 고려 가능??
? ?
? ?
?자료원??: ??독일 식품무역협회?, Lebensmittel Zeitung, Statista, ?EDEKA Food-Tech-Campus ?홈페이지?, EDEKA ?홈페이지?, REWE ?홈페이지?, Selo Green Coffee ?홈페이지?, Lebensmittelpraxis, dm ?홈페이지?, Startnext, OATSOME 공식 페이스북 외 KOTRA 함부르크 무역관 보유 자료 종합?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