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국립공공의료대학(원) 설립방안 연구 보고서
- 등록일2019-02-14
- 조회수5278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19-01-24
-
출처
보건복지부
- 원문링크
-
키워드
#국립공공의료대학#설립방안 #보건복지부
- 첨부파일
국립공공의료대학(원) 설립방안 연구 보고서
1. 의사 인력의 양성·수급 현황 및 인력수급 전망
1.1 의사 인력의 양성 현황
1) 우리나라의 의사 양성 체계
?의사가 되는 과정은 의과대학을 진학하여 의예과 2년, 의학과 4년의 총 6년 과정을 이수한 후 의사국가시험을 통과하는 방법과 대학교를 졸업한 학사학위자가 의학전문대학원에 입학하여 4년 과정을 이수한 후 의사국가시험을 통과하는 방법이 있음
?졸업 후 인턴 1년과 전공의 4년 또는 3년(내과, 예방의학과, 가정의학과, 결핵과)의 과정을 거쳐 전문의 자격시험을 통과하여 전문의가 됨
?졸업생의 90% 이상이 전공의 과정을 거쳐 전문의가 되고 있음. 2014년도 대한의사협회의 전문과목별 현황 조사에 따르면 활동하는 의사 회원 중 95.5%가 전문의였고, 전체 개인 회원의 92.4%가 전문의인 것으로 나타남
?전문의 자격 취득 후 보통 2년 정도의 전임의(펠로우) 과정을 거침. 이와 같이 한 명의 의사가 배출되려면 11년 이상의 기간이 소요됨. 남자의 경우 군의관 또는 공중보건의사 39개월이 추가되어 14년이 소요됨
2) 의사의 취업별 분포 현황
?2014년도 대한의사협회 회원실태 조사에서 군의관 또는 공중보건의를 제외한 각 취업분류군별 분포를 보면 병원 및 의원을 개원한 회원이 34.4%, 의원 및 병원·종합병원·대학병원 등에 봉직하는 회원이 40.7%, 의과대학에 봉직하는 회원이 1.0%, 전공의 수련교육을 받는 회원이 15.0%, 보건(지)소 등에 근무하는 회원이 2.3%, 기타분류군(행정직·연구직·비의료직·은퇴 및 미취업의사)이 6.7%로 조사됨
?개원회원 중에서는 98.9%가 의원을, 1.1%는 병원을 개원함. 병원급 이상 종합병원·대학병원 등에서 근무하는 전체 봉직의 가운데 14.8%는 국공립 병원에서 근무하며, 봉직회원의 81.1%는 사립병원에서 근무함. 그러나 졸업 후 공공의료분야에 취업/종사하는 인력 비율은 낮음
그림 1- 1985년-2014년 취업별 분포
?2013년 조사 결과 의료 취약지역 및 공공의료분야 의사인력 양성 방안 연구, 서울대학교, 2013
에 따르면 정부 정책 수행 및 연구 분야에서 100명의 의사 인력이 활동 중인 것으로 나타남. 향후 통일·국제화시대에 공공보건의료사업이 확대되고 이에 걸맞은 역량을 갖춘 의사 인력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므로 더 많은 인력 확보가 필요한 실정임
표 1- 정부정책 및 연구 분야 의사인력 현황 조사결과
기관명 |
현재 근무 의사 인력 |
기관명 |
현재 근무 의사 인력 |
보건복지부 |
16명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
47명 |
질병관리본부 |
15명 |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 |
7명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1명 |
한국국제협력단 |
1명 |
한국보건의료연구원 |
5명 |
국민건강보험공단 |
8명 |
총계 |
100명 |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