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바이오산업의 LMO 및 GMO 이슈
- 등록일2019-02-19
- 조회수6260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19-01-22
-
출처
한국바이오협회
- 원문링크
-
키워드
#바이오산업#LMO#GMO#한국바이오협회
- 첨부파일
바이오산업의 LMO 및 GMO 이슈
목차
1.요약
2. 개요
3. 주요 국가별 LMO 및 GMO 규정 및 승인절차
4. 국내 LMO 및 GMO 규정 및 승인절차
5. 바이오산업화 촉진을 위한 이슈 및 향후전망
? 개 요
최근 들어 생명공학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유전자변형기술에 기반을 둔 유전자변형식품 생산이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으며 이에 관련된 LMO(Living modified organisms)와 GMO(Geneticaly modified organisms)가 국내외 바이오산업 발전에 있어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본 보고서에서는 국내외 LMO 및 GMO 규정, 승인절차 및 현황에 대해 알아보고 향후 바이오산업 발전에 어떠한 영향을 줄 수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 주요 국가별 LMO 및 GMO 규정 및 승인절차
유럽, 미국, 일본 및 중국의 LMO 및 GMO 규정 및 승인절차를 알아보고 최근까지 승인된 LMO 및 GMO 생산물 현황에 대해 파악하였다. 유럽의 경우는 EFSA(European Fod Safety Authority)가 유럽 전 시장에 출시하는 LMO 및 GMO 생산물의 승인 절차 및 심사를 주관하며, 미국의 경우는 FDA(Fod and Drug Administration)가 그 역할을 수행한다. 일본은 203년 6월 18일 바이오안전성의정서의 이행을 위한 카르타헤나법을 만들어 시행하고 있으며 GMO를 제1종사용(환경방출용)과 제2종사용(폐쇄계이용)으로 구분하여 해당부처에서 관리하고 있다. 중국은 201년 5월 23일 GMO를 규제하기 위해 「농업유전자변형생물체의 안전관리조례」를 공포하였고, 전반적인 GMO에 대한 관리를 농업부에, 식품으로의 관리는 위생부에 일임하여 관리하고 있다.
? 국내 LMO 및 GMO 규정 및 승인절차
우리나라의 경우는 식품의약품안전처 소속 식품영양안전국 내 신소재식품과에서 LMO 및 GMO 승인절차 및 심사업무를 수행한다. LMO 위해성평가의 경우 10개 항목의 심사가 진행되고, 현재 승인된 수입 유전자변형식품은 193개인 반면 국내 생산 유전자변형식품의 경우는 미생물 효소제품 5개뿐이다.
? 시사점 및 향후전망
향후 LMO 및 GMO 시장은 급속도록 발전할 것이며 식품뿐만 아니라 의약품 분야까지 확장되어 성장할 것이다. 향후 GMO 생산물 수의 증가와 승인을 위해 생산기업과 정부의 협업을 통한 시스템 개선과 GMO 활성화 정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