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기업은 어떻게 AI를 도입하는가?
- 등록일2019-02-21
- 조회수4787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19-01-24
-
출처
포스코경영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AI#포스코경영연구원
- 첨부파일
기업은 어떻게 AI를 도입하는가?
美 MIT는 2019년부터 AI를 전체 학생 대상의 필수 교과 과정으로 편성할 계획을 발표했다. 이렇듯, 교육에 이르기까지 AI의 전 사회적 영향력은 급격히 증대되고 있다. 4차 산업혁명 '초 연결(Hyper-Connectivity), 초 지능(Hyper-Intelligence)’ 사회를 구현하는 핵심 도구로서 AI가 기업경영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고, 기업들이 어떻게 AI를 도입할 수 있는지 살펴보자.
[목차]
1.AI는 왜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인가?
2.미래 Biz 생태계 진화와 AI
3.AI 기업경영 적용 Framework
4.시사점
[Executive Summary]
○ MIT가 U$10억을 투자하여 2019년부터 AI(인공지능)를 전체 학생 대상의 필수 교과 과정으로 편성하는 등 AI의 全 사회적 영향력은 급속히 증대
- 라파엘 레이프 MIT 총장, “현재 AI는 인문학 등 非 기술 분야를 막론하고 전 분야에 중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어, 교육에도 새로운 접근방식이 필요하다.”
- 각계 전문가들은 현재 AI 기술은 진화의 정점에 가까워지고 있어, 근시일 내에 인류 전체를 뒤흔드는 기술파괴적 물결을 일으킬 것으로 예상
○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인 A?B?C?D기술을 인체의 구성요소에 비유하면, AI는 뇌?신경에 해당 (A: AI, B: Block chain, C: Cloud, D: Data)
- AI 기술이란 ‘인간이 가진 지적 능력을 컴퓨터를 통해 구현하는 기술’ 로, 다른 요소들을 모두 통제할 수 있는 ‘뇌?신경’의 역할을 수행
- 4차 산업혁명 시대 ‘초 연결(Hyper-Connectivity), 초 지능(Hyper-Intelligence)’ 사회 구현의 핵심 도구로서 AI의 중요성은 급격히 증대될 것
○ 기업Biz 생태계는 과거 일 방향 단일 가치사슬 생태계에서, 다수 참여자(N:N) 간 거래하는 플랫폼 생태계를 거쳐, 향후 분산형 생태계로 진화할 전망
- 분산형 생태계: 어떤 기업과도 협업 가능한 완전 네트워킹(fully-networked)생태계
- AI, 블록체인, 클라우드 등 新 정보기술은 제품/서비스 간, 산업 간, 플랫폼 간 경계를 허물고 데이터, SW 기반 연결을 극대화시켜 분산형 생태계 구축을 주도
- 분산형 생태계에서 기업 경쟁력의 핵심은 산재한 Resource(데이터, 기술, 인력, 서비스)를 연계하여 가치를 창출하는 것인데, 이종 영역 간 연계 과정이 복잡해지고 활용 Resource도 다양해져 AI와 같은 SW 기술 의존도가 더욱 높아질 것
○ 기업이 특정 업무 영역에서 또는 전사적으로 AI를 도입하여 경쟁력 창출에 활용하기 위한 절차 및 방안으로 아래의 Framework을 제시
- ① AI 조직환경 구축: AI 도입에 대한 구성원의 공감대를 형성하고, Data Scientist 중심의 추진 주체 확보
- ② 기술, 솔루션 획득: 프로젝트 목적과 설계에 따라 적합한 AI 기술 및 솔루션을 선택하고, 보유 역량 및 상황에 맞는 획득 방안 수립
- ③ 적용, 차별화: 대상 업무별 특성 및 전략적 우선순위를 고려한 AI 도입 및 경쟁력 차별화 추구
- ④ 성과확산, 전사전략 연계: AI 적용의 성과분석 및 성공사례의 타 부문 확산, 전사 AI 전략과 연계한 차기 프로젝트 설계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 BioINwatch 디지털 기술(인터넷, AI 등)이 기억력과 학습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2025-04-22
- BioINwatch 어떻게 하면 단백질 구조 만큼 RNA 구조도 정확히 예측할 수 있을까? 2025-04-03
- BioINwatch AI 기반 De novo 단백질 설계를 통한 항독소 치료제 개발에 관한 연구 2025-03-11
- BioINwatch 바이오신약 개발을 혁신할 AI 단백질 언어 모델 2025-02-14
- BioINwatch AI 가상 실험실(AI virtual lab)에서 개발한 나노바디 2025-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