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2017년 기준 보건의료 질 통계

  • 등록일2019-04-09
  • 조회수4890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19-03-29
  • 출처
    보건복지부
  • 원문링크
  • 키워드
    #보건의료#보건의료 질
  • 첨부파일

 

2017년 기준 보건의료 질 통계

 

 

[목차]

 

요약

제1장 서론

제2장 연구 내용 및 방법

제3장 보건의료 질 지표 산출 결과

제4장 만성질환 입원율 영향 요인 분석

제5장 결론 및 고찰

부록

 

[내용]

 

요약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 경제개발협력기구(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이하 OECD)는 2001년부터 의료의 질 측면에서 회원국의 보건의료 성과를 비교하는 보건의료 질과 성과 작업반(Working Party on Health Care Quality and Outcome, 이하 HCQO 작업반)을 운영함

 

○ HCQO 작업반 초기 단계에는 급성기 진료, 일차의료(만성질환으로 인한 입원율), 암 진료 영역에 대한 지표를 수집하였고, 2009년에는 정신보건, 2011년 환자안전, 2013년 환자경험, 2015년 약제처방, 2017년 병원성과 영역으로 확대됨

 

○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사평가원)은 한국을 대표하여 2006년부터 HCQO 작업반에 참여하고 있으며, 건강보험&의료급여 진료비청구자료(이하 진료비청구자료)를 주 자료원으로 OECD가 요청한 통계를 산출함

 

○ 보건의료 질 통계는 격년에 한번씩(홀수 연도) 수집되며, 2019년에는 2017년에 수집한 지표 외에 추가적으로 신규 지표를 수집할 예정임. 따라서 2019년에 수집 예정인 보건의료 질 통계를 2017년 진료분을 대상으로 산출&검토하는 준비 작업이 요구됨

 

2. 연구 목적


○ 이 연구는 2019년 보건의료 질 지표 수집을 위한 준비 작업을 수행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음

 

첫째, 2017년 진료분을 기준으로 급성기 진료, 일차진료, 정신보건, 환자안전 등 정기 수집 지표와 예비 수집 지표를 산출하여 그 결과를 검토하고,

둘째, 2017년에 제출하지 못한 지표를 산출하여 제출 가능성을 사전에 검토하고,

셋째, OECD의 신규 지표 개발 과정에 참여하여 국내 보건의료 상황에 부합하는 산출 기준 개발을 개발하고,

넷째, 국가 간 비교결과를 토대로 의료의 질 관리가 필요한 영역을 선정하고, 그 원인을 분석하여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