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2017년 기준 의약품 소비량 및 판매액 통계

  • 등록일2019-04-11
  • 조회수4912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19-04-01
  • 출처
    보건복지부
  • 원문링크
  • 키워드
    #의약품 소비량#의약품 판매액
  • 첨부파일

 

2017년 기준 의약품 소비량 및 판매액 통계 

 

 

보건복지부에서 발간한 '2017년 기준 의약품 소비량 및 판매액 통계'에 대한 보고서입니다.

 

아래링크를 클릭하신 후 검색창에 '2017년 기준 의약품  소비량 및 판매액 통계'으로 검색해주시기 바랍니다.

 

◆ 2017년도 기준 의약품 소비량 및 판매액 통계  ☞바로가기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의약품 통계 국내외 현황

제3장 의약품 통계 산출 방법

제4장 의약품 통계 산출 결과

제5장 고찰 및 결론

참고문헌

부록

 

[내용]

 

1. 서론


가.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경제협력개발기구(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이하 OECD)는 보건자료(Health Data)의 한 영역인 의약품 시장 통계 부문에서 회원국의 의약품 소비량과 판매액 통계를 수집·비교함


? OECD에서 요구하는 의약품 통계는 WHO에서 정의하는 해부?치료?화학적 분류(Anatomical Therapeutic Chemical Classification, ATC)별 의약품 소비량(28항목) 및 판매액(30항목)임. 의약품 소비량은 일일상용량(Defined Daily Dose, 이하
DDD) 단위 기준이며, 판매액은 소비자가를 기준으로 산출함


□ 우리나라는 2008년부터 매년 의약품 소비량 및 판매액 통계를 생산하여 OECD에 제출하고 있음


? 2008년 기준 통계부터 2011년 기준 통계까지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생산한 의약품 통계로 OECD Health Statistics Database(http://stats.oecd.org)에 반영되어 있음. 2011년 기준 통계(2014년 연구)부터는 행정자료로 자료원이 변경되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의약품 통계 생산을 수행함.


□ OECD 국가 간 의약품 소비량 및 판매액 비교 결과는 질환 유병률과 치료 수준을 반영하고, 보건의료 환경 변화에 따른 처방행태를 반영함. 또한 의약품 통계 결과 비교를 통해 국민의 건강과 치료 수준 향상을 위한 정책 자료로 활용하며, 제약산업 측면에서는 의약품 시장 분석, 의약품 개발을 위한 자료로 활용 가능함


□ 본 연구에서는 2017년 기준 의약품 소비량과 판매액 통계를 생산하여 OECD에 제출하고, 국내 보건정책 개발과 결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


나. 연구 목적


□ 2017년 기준 의약품 통계산출에 필요한 허가와 공급내역이 있는 모든 의약품 목록을 취합하고 2018년 WHO의 ATC/DDD 정보를 매핑(mapping)해, 의약품 통계 산출 목록의 완전성을 높임


□ 의약품 통계 산출 방법론을 지속적으로 보완함으로써 통계생산의 정확성을 높여, 의약품 공급자료·건강보험 진료비 청구자료를 이용하여 OECD에 제출하는 ATC 분류별 의약품 소비량(28항목) 및 판매액(30항목) 통계를 산출하였음


□ 국내에서 정책적으로 활용 가치가 있는 통계를 산출하고자, 3개 효능군에 대해서 복합제의 DDD를 별도로 조사 및 부여해, 복합제를 포함한 의약품 소비량을 산출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