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독일 스타트업 투자유치 신기록, 그 주인공은 베를린 스타트업!
- 등록일2019-06-04
- 조회수5853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19-05-28
-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
- 원문링크
-
키워드
#독일#스타트업#투자유치#베를린 스타트업
독일 스타트업 투자유치 신기록, 그 주인공은 베를린 스타트업!
Sumin Moeller 독일 함부르크무역관
- 베를린 독일 내 스타트업 투자유치 선도
- 핀테크, AI, 빅데이터, 데이터 분석 분야 유망
□ 독일 스타트업 투자유치 2018년 최신 현황
ㅇ 독일 스타트업, 2018년 투자유치 신기록 달성
- 2018년 독일 전체 스타트업의 투자유치 건수는 전년대비 22% 증가한 621건 기록
- 투자유치액 역시 전년대비 약 7%, 3억1600만 유로 늘어난 45억9200만 유로를 기록하며 2017년도 최고 투자유치 기록을 깨고 신기록 재 경신
자료: 에른스트 영(Ernst & Young)
ㅇ 중형 규모의 투자유치 대폭 증가
- 1000만 유로 이하의 중소형 규모의 투자유치 건수는 493건으로 2017년도 대비 14% 늘어났으며, 1000만~5000만 유로 이하의 대형 규모의 투자유치 건수는 전년대비 50% 증가해 81건 기록
- 5000만 유로 이상의 특대형 규모의 투자유치도 전년 11건보다 2건 늘어난 13건이었음.
- 베를린의 소수 거대 스타트업만 대규모 투자유치에 성공했던 기존의 한계에서 점차 탈피
ㅇ 전자상거래, 소프트웨어&분석, 핀테크 분야 투자유치 강세
- 투자유치 전체 금액으로 가장 많이 투자 된 분야는 단연 전자상거래(E-Commerce)분야이며 핀테크, 소프트웨어&분석, 모빌리티, 헬스케어 분야가 그 뒤를 따름.
- 투자유치 건수로 살펴보면 소프트웨어&분석(149건), 전자상거래(102건), 헬스케어(84건), 핀테크(54건), 모빌리티(46건)
- 2018년 독일 스타트업 투자유치 Top 5 중 4개의 스타트업은 베를린에 위치하고 있으며, E-Commerce 분야 사업에서 일어나 지역적, 사업 분야별로 편차를 보임.
2018년 독일 스타트업 투자유치 Top 5
자료: 에른스트 영(Ernst & Young), KOTRA 함부르크 무역관 정리
ㅇ 독일 주요 벤처캐피털
- 독일 스타트업 메거진 ‘베를린 밸리’에서 꼽은 활동이 왕성한 55개 독일 VC 중 아래 정리된 12개 VC는 독일 혹은 유럽 국적의 스타트업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 투자하고 있는 VC임.
국제적으로 투자 중인 독일 주요 벤처 캐피털

자료: 베를린 밸리, KOTRA 함부르크 무역관 정리
□ 독일 스타트업의 핫 스팟, 베를린
ㅇ 베를린 스타트업, 독일 내 압도적 투자유치 기록
- 독일 스타트업 전체 투자유치 건수의 40%(245건), 전체 투자유치 금액의 57%(26억 유로)가 베를린 스타트업에서 일어났으며 독일 스타트업 내 압도적 1위 차지
· 바이에른주는 124건으로 2위, 노트라인-베스트팔렌주는 60건으로 3위, 함부르크는 42건으로 4위를 기록
- 전년에 이어 2위를 지킨 바이에른주의 스타트업의 투자유치 건수는 2017년에 비해 거의 2배 이상 증가해 가파른 성장세를 보였으며, 투자유치 상위 10위 내에든 도시와 주들은 모두 전년대비 투자유치 건수 증가
- 투자유치 전체 금액으로 보았을 때 베를린 스타트업의 투자유치 금액은 전년대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남.
자료: 에른스트 영(Ernst & Young)
ㅇ 베를린, 핀테크, 인공지능, 빅데이터&분석 분야에 강점
- 베를린은 2017년 독일 핀테크의 허브로 지정된바 있으며 독일, 핀테크 스타트업의 3분의 1이 베를린에 위치하고 있을 정도로 생태계가 잘 조성돼 있음.
- 핀테크 기업 투자, 육성을 하는 핀립(FinLeap)은 베를린에 유럽에서 가장 큰 핀테크 허브를 운영 중에 있으며, 도이치뱅크(Deutsche Bank)와 악셀슈프링거(Axel Springer)도 베를린에서 엑셀러레이터 프로그램 운영 중
- 이와 더불어 베를린 핀테크 스타트업의 활동도 두드러지는데 핀테크계 유니콘 N26사는 2019년 1월 시리즈D, 3억 유로 투자유치에 성공했으며 핀테크 Top50에 드는 Raisin사도 시리즈D, 1억1000만 유로 투자유치 성공
- 베를린에는 독일에서 가장 많은 AI 스타트업이 존재함. 5000여 명이 해당 분양에 종사하고 있으며, 2025년까지 22억 달러의 수익 창출 기대
- 국제적으로 독일 AI 연구센터, 베를린 기계 학습 센터 및 베를린 빅데이터 센터는 명성이 높으며, 정부차원에서도 향후 6년간 34억 유로를 AI 분야 개발에 투자하겠다 밝힘.
□ 베를린, 2019년 세계 스타트업 생태계 10위 기록
ㅇ 베를린 스타트업 생태계의 강점과 약점
- 최근 발표된 게놈 보고서에 따르면 베를린 스타트업 생태계는 10위에 랭크되며, 국제 스타트업 씬에서 그 위상을 이어감.
- 상위 10위권 도시로는 1위 실리콘밸리, 2위 뉴욕, 3위 런던&베이징, 5위 보스턴, 6위 로스앤젤레스&텔아비브, 8위 상하이, 9위 파리, 10위 베를린이 있음.
- 그 외 뮌헨이 25위~30위권에 진입하며, 독일의 2개의 도시가 30위권에 이름을 올림.
- 베를린 스타트업 생태계는 시장의 접근성*과 연결성**에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이는 유럽 한가운데의 지리적 이점을 충분히 이용하고 있음과 외국인 창업자에 열려있는 생태계임을 보여주는 것임.
주*: 시장접근성: 국제 고객 대상 매출 대비 그 나라의 명목 GDP
주**: 연결성: 국제 지식, 인재에 대한 접근성, 창업자들&국제 스타트업 생태계와의 연결 정도 측정
- 베를린의 순위는 2017년 7위보다 3계단 하락한 것으로 원인으로는 2014년 잘란도와 로켓인터넷의 140억 달러 규모의 기업공개(IPO) 이후 그에 상응하는 큰 규모의 성공스토리가 나오지 않았기 때문으로 지적되고 있음.
- 이에 베를린은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기 위해 노력을 더 기울일 것으로 보이며, 이는 새로운 스타트업 육성과 투자로 나타날 것으로 예상됨.
2019년 세계 스타트업 생태계 순위
자료: 스타트업 게놈, 글로벌 스타트업 에코시스템 리포트 2019
ㅇ 스타트업 생태계 생애 주기(Life Cycle) 본 베를린
- 게놈 보고서는 스타트업 생태계 생애주기를 4단계 ① 활성기(Activation) ② 국제화(Globalization), ③ 유인기(Attraction), ④ 통합기(Intergration)로 나누어 분석했는데 각각의 특징과 목표는 하기 표와 같음.
- 베를린은 3단계인 유인기로 분류돼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보이며 베를린 이외에 유럽에서는 암스테르담·스톡홀름, 미국의 오스틴·시카고·로스앤젤레스·시애틀, 아시아에서는 싱가포르·방갈로·상해·베이징, 중동에서는 텔아비브가 같은 단계에 있는 것으로 분석됨.
주*: 부산과 프랑크푸르트는 ① 활성기, 서울은 초기 ② 국제화 단계로 분류
- 통합기에 속한 도시로는 단 4개의 스타트업 생태계만이 분류됐는데 베이징을 뺀 상위 4개의 도시 보스턴, 런던, 뉴욕, 실리콘밸리가 선정됨.
스타트업 생태계 생애주기(Life Cycle) 정리

자료: 스타트업 게놈, KOTRA 함부르크 무역관 정리
□ 시사점
ㅇ 전년도에 이어 2018년도에도 투자유치 신기록을 기록한 베를린 스타트업 지속적인 성장세 예상
- 2019년 게놈 보고서는 베를린 스타트업 생태계에 투자해야 하는 이유로 세계 3위의 시장 접근성과 세계적인 핀테크 생태 환경을 꼽음.
- 베를린은 2018년 네스트픽(Nestpick)의 조사에서 밀레니얼 세대*의 창업자들 사이에서 가장 매력적인 도시로 꼽힘. 2위 캐나다 몬트리올, 3위 영국 런던, 4위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주*: 밀레니얼 세대: 80년대 초반~2000년대 초반 출생한 세대 IT에 능통하며 대학진학률이 높은 특징이 있음.
- 베를린 팩토리의 대표 그라멘츠(Gramenz)에 따르면 “베를린은 유기적으로 유럽의 IoT와 블록체인허브로 성장했으며 기존 산업의 대기업과 테크 인재들이 협업해 기술적 경제적 성장을 이끄는 곳”이라 평가함.
- 기술투자가 중요한 스타트업 생태에서 독일은 2025년까지 GDP의 3.5%인 174억 유로를 AI 등 주요 R&D 프로젝트에 투자할 계획
ㅇ 베를린 진출을 위해 현지 관련 행사 참가, 현지 진출 관련 경제 진흥기관의 도움을 받을 수도
- 스타트업 허브답게 베를린에서는 다양한 스타트업 행사가 열려, 현지 시장조사의 기회로 활용 가능
· NOAH 콘퍼런스(6월 13~14일), Startup Night Berlin(9월 6일), TechCrunch Disrupt Berlin(12월 11~12일)
- 베를린 경제 진흥기관 베를린 파트너는 현지 진출을 위한 다양한 정착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담당자와 면담 희망 시 KOTRA 함부르크 무역관 연락 요망(KOTRA 함부르크 무역관 김수민 대리, moeller@kotra.or.kr)
자료: Ernst&Young(Startup Barometer Deutschland, Januar 2019), 독일 경제 에너지부, Der Tagesspiegel, Berliner Valley, Startup Genome(Global Startup Ecosystem Report 2019) 및 KOTRA 함부르크 무역관 자료 종합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