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주요 동유럽 스타트업 생태계 현황
- 등록일2019-07-30
- 조회수5204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19-07-16
-
출처
글로벌ICT포털
- 원문링크
-
키워드
#스타트업#VC#동유럽#골디락스
- 첨부파일
주요 동유럽 스타트업 생태계 현황
□ 동유럽 스타트업 생태계 현황
ㅇ 중동부 유럽국가(CEEC*)는 높은 경제성장률과 낮은 실업률에도 불구하고 적정 수준의 물가상승으로 ‘골디락스(Goldilocks)’에 들어서면서 호황 중
- 유로존 경기 회복으로 수출이 크게 늘고, 최근 스타트업 성공사례가 늘며 벤처투자(VC)가 급증
* CEEC(Central & Eastern European Countries): 폴란드, 체코, 리투아니아 등 유럽의 중동부 지역에 위치한 총 17개 국가(OECD 기준)
* Goldilocks:고성장에도불구하고 물가가상승하지 않는 이상적인경제 상황 ㅇ 전체 유럽 국가 중 가장 많은 유니콘을 배출한 국가는 영국이지만, 중동부 유럽국가에서도 Skype, allegro 등 총 300억 유로(약 40조)의 기업가치를 지닌 12개의 유니콘·준유니콘 기업이 탄생했으며, 이들 대부분의 스타트업이 에스토니아, 폴란드, 루마니아에서 설립됨
<동유럽 Top 스타트업 생태계>

* World BankGroup의2019년 Doing Business 보고서에따르면, 기업하기좋은환경을 지닌 국가 순위에서 중동부 유럽 중에서 발틱 3국인 리투아니아(14위), 에스토니아 (16위), 라트비아(19위)가최상위권에랭크(총190개국대상,한국은5위,뉴질랜드1위)
ㅇ 스타트업 펀딩규모는 국가별로 폴란드(바르샤바), 에스토니아(탈린), 리투아니아(빌니우스) 순이며, 유럽 및 미국, 등에서의 동유럽 스 타트업 투자규모는 ‘15년 4억유로에서 ’18년 7억유로로 약 2배 가까이 증가, 특히 미국에서의 동유럽 투자가 큰 상승폭을 보임
< 동유럽 투자 규모 및 투자주체 >

□ 국가별 주요 특징
ㅇ (폴란드) 지난 5년간 폴란드의 스타트업 생태계는 크게 발전하여 매해 B2B 시장으로의 진출, 특히 핀테크 분야에서 뚜렷한 증가를 보이지만 여전히 빅데이터, 아널러틱스, IoT 분야가 강세
- 수도인 바르샤바(29%)를 중심으로 Wroclaw(12%), Krakow(10%)에 대부분의 스타트업이 모여 있으며, 소프트웨어, 생명과학 관련 기술 등이 중심
- 인구의 39%가 대학을 졸업할 정도로 높은 교육 수준과 영어 능력을 보유 하고 있으나, 글로벌 기업들과의 인력유치 경쟁이 심화되고 있음
ㅇ (체코) 사이버보안 관련 동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유니콘 기업인 어베스트(Avast Software)가 있으며, 이를 중심으로 정보통신분야에 강점을 보이며 서유럽 스타트업 중심도시인 베를린과 가까이에 있어 상호 시너지를 창출하기 유리함
- 스타트업의 주요 분야는 SaaS(28%), 웹서비스(21%), 모바일 SW 서비스 (17%), 애널러틱스(16%), 클라우드서비스(12%) 순으로, 주로 디지털 테크놀 로지 관련 스타트업들이 다수를 차지함
ㅇ (헝가리) 헝가리 출신 창업가이자 엔젤투자자인 Peter B. Zaboji 교수 (European Entrepreneurship Foundation ? EEF 설립자)의 적극적인 후원과 지원으로 헝가리(부다페스트)의 스타트업 생태계는 활발해짐
- NNG, 앤타보(Antavo) 등 차세대 스타트업 기업들이 지속적으로 성공을 거 두고 있으나, 영어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폴란드, 체코에 비해 부족함
ㅇ (에스토니아) ICT 및 블록체인 스타트업을 중심으로 세계경제포럼 (WEF)이 선정한 유럽에서 가장 창업 활동이 활발한 ‘핫 스팟’ 1위로 선정
- 스타트업 관련 디지털 인프라가 세계에서 제일 잘 갖추어진 도시. 세계 최초로 탈린에 5세대 네트워크 구축함. 토종 기업뿐 아니라 외국 기업도 법인세율 0%임
- 에스토니아의 대표 유니콘인 Skype 뿐 아니라 핀테크 분야의 유니콘인 Transferwise도 에스토니아에서 탄생한 스타트업임
< 주요 국가 특화 산업분야 및 정부 지원정책 >

□ 시사점
ㅇ 중동부 유럽 국가 스타트업 생태계의 빠른 성장세에 비해 IT 및 외국어(영어) 능력이 우수한 인력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므로, 향후 이 분야 국내 IT 인력의 동유럽 해외취업 진출 기회 모색 필요
ㅇ 바르샤바 등 글로벌 기업들의 동유럽 지역 본부가 있는 도시는 금융조달 및 신기술 개발에 대한 고객을 찾기가 유리하므로 잠재 수요를 적극적으로 발굴하여 국내 스타트업의 유럽진출 테스트 베드로 활용 고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