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

글로벌 바이오시밀러 허가제도 프레임워크

  • 등록일2015-02-23
  • 조회수4744
  • 분류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기타 > 기타
  • 발간일
    2015-02-12
  • 키워드
    #바이오시밀러#허가#제도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바이오 이슈 모니터링: 15-11]

글로벌 바이오시밀러 허가제도 프레임워크

 

◇ 산업정보 분석업체인 글로벌데이터(GlobalData)에서 발표한 ‘글로벌 바이오 시밀러 시장의 프레임워크 및 제품 파이프라인(Regulatory Frameworks and Product Pipelines in the Global Biosimilars Market)(‘14.06)’에 관한 내용 정리

 

▣ 최근 움직임
 ○ 미국 FDA 등 여러 정부기관에서 바이오시밀러 개발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규제 프레임워크를 수립하고자 노력

 

▣ 프레임워크 작성 배경
 ○ 바이오시밀러의 수요 증가
   - 예산 부족, 부채 증가 등으로 인한 재정 악화와 장기적 경기 침체로 신약개발 보다는 바이오시밀러 개발 시장이 안정적
   - 일본 등 고령 국가들이 증가하는 헬스케어 및 의약품 소비를 절감하기 위한 수단으로 합리적인 가격의 바이오시밀러 개발 장려

 ○ 바이오시밀러의 재정적 효과
   - 바이오시밀러는 현재 오리지널 의약품 가격의 70~80%로 책정
   - 1년 단위의 치료제 가격의 20~30% 금액 절감 예상
       * 주요 바이오의약품 12개의 만료되는 특허로 10년 이내에 670~1,080억달러(최대 약 120조원), 20년 이내에 2,360~3,780억달러(최대 약 420조원) 절감 예상
   - 제약회사, 생명공학업체뿐만 아니라 CMO(의약품 수탁제조 기관)나 CRO (임상시험 대행 기관) 등도 바이오시밀러 시장의 주요 참여자로 활동 예상

 

<시장동향 및 프레임워크 주요내용>


구분

주요 내용

시장동향

바이오의약품의 판매가 계속적으로 증가할 전망

산업적 난관에 의한 잠재적 시장참여자의 시장진입 경계

바이오시밀러 시장 진입의 필수 방법으로 제휴 계약 거래 출현

프레임워크 수립

점진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미국 바이오시밀러 시장의 규제 프레임워크

거시적 경제성장을 위한 정부차원의 바이오시밀러 개발


출처: Global Data ‘PharmaSphere - Regulatory Frameworks and Product Pipelines in the Global Biosimilars market’(‘14.06)

...................(계속)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