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일본 의료연구개발기구 중장기 목표(안)
- 등록일2015-03-19
- 조회수5630
- 분류기타 > 기타, 레드바이오 > 의료서비스기술
-
발간일
2015-02-27
-
키워드
#일본#AMED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바이오 이슈 모니터링: 15-18]
일본 의료연구개발기구 중장기 목표(안)
◇ 일본판 NIH인 ‘일본의료연구개발기구’는 최근 중장기 목표(안)을 발표('15.1.23)함에 따라 이에 관한 주요내용 정리
■ 일본의료연구개발기구 설립 배경(2015.4월 발족 예정)
○ 초고령사회를 맞이한 일본에게 건강장수사회 형성은 급선무, 이러한 배경 하에서 「일본부흥전략- JAPAN is BACK」의 일환으로 의료분야 연구개발의 사령탑 기능 창설 결정(2013.6.14. 각의결정)
- 주요 조치로 ①의료분야 연구개발 등 사령탑의 본부로서, 내각에 내각총리대신·담당대신·관계각료로 구성된 추진본부의 설치, ②기초부터 실용화까지 원활하게 연계되는 연구관리를 실시하는 독립행정법인의 창설
<건강·의료전략의 추진 및 정책 체계도>
■ 일본의료연구개발기구 중장기 목표(안)
○ 중장기 목표기간은 2015년 4월부터 2020년 3월까지 5년으로 설정
○ 기구는 의료분야 연구개발 추진계획을 꾸준히 실현해 나가기 위해 중장기 목표기간 중에 (1)의료에 관한 연구개발의 매니지먼트 실현 등 기구의 기능을 발휘하기 위한 체제를 구축하는 등과 함께, (2)의료분야에서 기초연구로부터 실용화까지 일관되게 연계하는 프로젝트 실시
○ 기구에 요구되는 기능을 발휘하기 위한 체제의 구축 목표
①의료에 관한 연구개발 매니지먼트의 실현, ②연구부정 방지 대응의 추진, ③임상연구 및 치료/시술 데이터 매니지먼트의 실행, ④실용화를 위한 지원, ⑤연구개발 기반정비에 대한 지원, ⑥국제전략의 추진
○ 기초연구로부터 실용화까지 일관되게 연계하는 프로젝트 목표
①의약품 창출 : 유망 시즈에 대한 창약지원 200건, 창약타겟 동정 10건 등
②의료기기 개발 : 의학·공학 연계에 의한 의료기기 개발건수 100건, 의료기기의 실용화에 의한 성과 약1,500억엔 등
③혁신적인 의료기술 창출거점 : 의사주도 치료/시술신고수 40건, FIH*시험(기업실시 포함) 연간 40건
* First in human : 의약품, 의료기기 등의 임상연구 및 시술에 대해 사람에게 처음으로 투여(사용)하는 것
④재생의료 : iPS 세포기술을 활용하여 제작한 신약의 임상응용, 임상연구 또는 시술로 이행하는 대상질환의 확대 약 15건 등
⑤맞춤·게놈의료 : 우울증, 치매의 유전체의료와 관련된 임상연구의 개시, 신경·근육 난치병 등의 혁신적인 진단·치료법 개발 등
⑥질병 대응연구(암) : 소암암, 난치성암, 희귀암 등에 대한 미승인약·적응외약을 포함한 치료약의 실용화를 위한 6종류 이상의 실시 도출 등
⑦질병 대응연구(정신·신경질환) : 정신질환의 객관적 진단법 확립, 뇌전체 신경회로의 구조와 활동에 관한 맵 완성 등
⑧질병 대응연구(신흥·재흥 감염증) : 노로바이러스 백신 및 인플루엔자 백신에 관한 임상연구 및 치료실시와 약사승인 신청 등
⑨질병 대응연구(난치병) : 신규약제의 약사승인이나 기존약제의 적용 확대 11건 이상 등
...................(계속)
본 내용은 연구자의 개인적인 의견이 반영되어 있으며,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의 공식 견해는 아닙니다.
본 자료는 생명공학 정책연구센터 홈페이지(http://www.bioin.or.kr)에서 PDF 파일로 다운로드가 가능하며,
자료의 내용을 인용할 경우 출처를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해당 사이트 링크가 열리지 않을시 Bioin 담당자(042-879-8377, bioin@kribb.re.kr)에게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