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

15대 유망 의료기기 업체

  • 등록일2016-06-16
  • 조회수7372
  • 분류레드바이오 > 의료기기기술,  제품 > 바이오의료기기
  • 발간일
    2016-06-16
  • 키워드
    #유망#의료기기#업체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BioINwatch(BioIN+Issue+Watch): 16-41

15대 유망 의료기기 업체


◇ 미국의 생명과학 정보제공 업체인 피어스바이오텍(FierceBiotech)이 15대 유망 의료기기 업체(2015 Fierce 15 Medical Device Companise)를 선정하여 발표함에 따라 관련 내용 정리

 

 

■ 누라비(아일랜드)와 젤틱스(스위스)를 제외하고 모두 미국 기업이 유망 의료기기 업체로 선정

 

① 버터플라이 네트워크 : 미세가공 초음파 탐촉자와 칩을 통해 3D 영상을 구현하는 초음파기기 개발


② 칼혼비전 : 빛 조절 안구 내 삽입용 렌즈에 대해 3상 임상시험 중


③ 얼리센스 : 환자의 심장박동과 호흡을 모니터링해 질병 악화의 징후 조기 포착 센서 개발


④ 프랙틸 래보라토리스 : 2형 당뇨 환자의 혈당조절을 개선시키는 레비타 DMR(Revita DMR) 시스템 개발


⑤ 글루코 : 당뇨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취합 분석해 의사와 환자에 제공하는 당뇨관리 기술 개발


⑥ 헬릭스 : 게놈 데이터 기반 앱스토어 출시를 목표로 DNA 시퀀싱 시설 및 IT 인프라 구축


⑦ 아이헬스랩 : 심장질환 및 당뇨 앱과 연동되는 소비자용 무선 건강기기 개발


⑧ 목시메드 : 경증 및 중등도 관절염 환자 대상 카인스프링(Kinespring) 무릎 임플란트 시스템 개발


⑨ 누라비 : 혈전과 혈류를 동시에 관리할 수 있는 엠보트랩(Embo Trap) 기술 개발


⑩ 오소센서 : 무릎 인공관절 수술시 연조직의 정렬을 돕는 베라센스(Verasense) 수술용 센서 개발


⑪ 아웃셋 메디컬 : 환자 스스로 작동할 수 있는 타블로(Tablo) 투석 시스템 개발


⑫ 프로펠러 헬스 : 스마트폰에 호흡 데이터를 전송하는 흡입기 부착 센서 개발


⑬ 세마 쎄로퓨틱스 : 5~7년간 인슐린이 필요 없도록 베타세포 캡슐화


⑭ 쇼크웨이브 메디컬스 : 혈관 내 석회화 부위를 미리 깨주는 풍선 카테터 개발


⑮ 젤틱스 : 내생조직 복구기술로 자연치유를 돕고 재수술이 필요 없는 생흡수 심장 판막 개발

 

 

[15대 유망 의료기기 업체와 세부 개발내용]

 

업체

세부 개발 내용

버터플라이 네트워크

(Butterfly Network)

미세 가공 초음파 탐촉자(CMUT)와 칩을 통해 실시간으로 3D 영상을 재생시키는 초음파 기기 개발

스마트폰 크기의 기기이며 컴퓨터 칩을 결합해 반복사용이 가능

- 2014년도 미국 스탠포드 대학과 독일 애리스 캐피탈(Aeris Capital)이 투자에 참여해 1억달러의 금액을 유치

칼혼비전

(Calhoun Vision)

빛 조절 안내렌즈에 대해 3상 임상을 시행 중

광민감 물질을 이용하는 렌즈로 백내장 수술 뒤 이식하면 안경이나 2차 교정술이 불필요할 것으로 기대

- 2015년도에 렌즈 상업화에 6900만달러의 투자를 유치

얼리센스

(EarlySense)

환자의 심장박동과 호흡 등을 모니터링해 질병 악화의 징후를 조기 포착하고 낙상이나 욕창을 막을 수 있는 센서 개발

- 2014년 미국 의료기기 업체 웰치 앨린(Welch Allyn)과 파트너십 체결

- 2015년 센서에 대해 FDA 승인 획득

프랙틸 래보라토리스

(Fractyl Laboratories)

내시경 시술을 통해 십이지장 점막 표피를 열로 절제하여 2형 당뇨 환자의 혈당조절을 개선시키는 레비타 DMR(Revita DMR) 시스템 개발

당뇨 환자들에게 시술 후 혈당조절 개선 결과를 관찰

수술로 인한 회복시기가 필요 없고 수술비용 절감 효과 기대

글루코

(Glooko)

혈당측정기와 인슐린펌프 등 당뇨기기로부터 환자의 데이터를 취합하고 분석해 의사에게 제공함으로써 혈당 관리를 도움

손가락 채혈이 필요 없는 팔 부착형 혈당측정 시스템

당뇨관리 데이터와 임상결과를 가지고 제약기업과 협업을 준비중

헬릭스

(Helix)

유전체 데이터 기반 앱스토어의 2016년 하반기 출시를 목표로 DNA 염기서열분석 시설 및 IT 인프라 구축

미국 일루미나사의 타액 채취 키트를 통해 유전정보를 모을 예정

일루미나와 메이요클리닉이 주요 투자자로 투자금은 1억달러 이상

아이헬스랩

(iHealth Lab)

심장질환 및 당뇨에 관련된 앱과 연동되는 소비자용 무선연결 건강기기 9가지* 개발하였고 가격을 낮춰 상업화 하는 것이 목표

- 2014년 중국 샤오미 벤처로부터 2500만달러의 투자 유치

* wireless blood pressure cuff, wireless blood pressure wrist monitor, finger-worn pulse oximeter, wrist-worn activity and sleep tracker, wireless blood glucose meter, tiny plug-in blood glucose meter 

목시메드

(Moximed)

통증이 있지만 관절성형술을 받기엔 이른 경증 및 중등도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카인스프링(Kinespring) 무릎 임플란트 시스템 개발

뼈나 연골을 절제하지 않고 최대 13kg의 압력을 경감시키는 효과

- 2015년도 버텍스 벤처 홀딩스(Vertex Venture Holdings)로부터 3300만달러의 투자를 유치

누라비

(Neuravi)

마이크로 스텐트가 들어있어 기기 자체 내 혈전을 가둠과 동시에 혈류를 개통시키는 엠보트랩(Embo Trap) 기술 개발

글로벌 의료기기업체 애보트(Abbott)가 주요 투자자

미국과 유럽에서 FDA 승인을 목표로 임상시험을 진행

오소센서

(OrthoSensor)

무릎 인공관절 수술시 관절 사이에 일시적으로 이식해 균형을 체크하고 연조직의 정렬을 돕는 베라센스(Verasense) 수술용 센서 개발

의사의 주관적인 느낌에 의존하는 기존 수술방식과 다르게 기기의 정교한 균형조절방식으로 변경 후 수술 환자의 만족도 향상에 기여

아웃셋 메디컬

(Outset Medical)

새로운 정수기술을 통해 비용을 절감하고 환자가 스스로 작동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타블로(Tablo) 투석 시스템 개발

- FDA로부터 IDE승인*을 받아 40명의 환자들이 스스로 투석기기를 사용해보고 결과를 낼 예정

* IDE(Investigational Device Exemption) : 시판전승인(Premarket Approval)을 위한 안전성과 유효성 입증을 목적으로 의료기기의 사용을 허가하는 제도

프로펠러 헬스

(Propeller Health)

스마트폰으로 호흡 관련 데이터를 전송하는 흡입기 부착 센서 개발

환자의 상태를 체크해 천식과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치료 개선이 목표

기존 기기의 2/3크기에 18개월 동안 사용 가능한 배터리를 부착한 새 기기로 FDA 승인 획득

세마 쎄로퓨틱스

(Semma Therapeutics)

환자가 인슐린 없이 57년은 지낼 수 있도록 베타세포를 캡슐로 둘러싸 면역계의 공격으로부터 보호하는 베타세포 이식기기 개발

개념증명단계*를 마치고 나면 Type I 당뇨병 연구를 지원할 예정

개념증명(Proof-of-concept) 시장에 신기술을 도입하기 전 이를 검증하는 단계

쇼크웨이브 메디컬스

(Shockwave Medical)

혈관 내 석회화 부위를 미리 깨주는 쇄석술 풍선 카테터 개발

말초동맥질환 치료에 대한 CE인증을 획득하여 2016년에 상용화 예정

현재 인체표본의 대동맥판막에 쇄석술을 적용하여 시험 중

젤틱스

(Xeltis)

내생조직 복구기술을 이용해 자연치유를 돕고 재수술이 필요 없는 생흡수 심장판막 개발

- 2015년도 투자자들로부터 3400만달러의 투자금을 유치

- 2016년에 폐동맥판막의 첫 사람대상 이식을 계획 중

 

출처 : FierceMedicalDevices, FierceMedicalDevices’ 2015 Fierce 15, 2015.10.14

 

 ...................(계속)

 

 

본 내용은 연구자의 개인적인 의견이 반영되어 있으며,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의 공식 견해는 아닙니다.

 


 

본 자료는 생명공학 정책연구센터 홈페이지(http://www.bioin.or.kr)에서 PDF 파일로 다운로드가 가능하며,

 


 

자료의 내용을 인용할 경우 출처를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해당 사이트 링크가 열리지 않을시 Bioin 담당자(042-879-8377, bioin@kribb.re.kr)에게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