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황열병(Yellow fever) 개요 및 연구개발 현황
- 등록일2017-11-20
- 조회수7283
- 분류레드바이오 > 보건・간호기술
-
발간일
2017-11-16
-
키워드
#황열병#Yellow fever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BioINwatch(BioIN+Issue+Watch): 17-79
황열병(Yellow fever) 개요 및 연구개발 현황
◇ 최근 브라질 상파울루에서 황열병(Yellow fever)* 감염으로 사망한 원숭이가 발생하면서, 브라질 정부는 황열병의 대규모 확산에 대비하고 있어 황열병에 대한 개요 및 연구개발 현황 정리
* 황열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급성 열성질환으로 모기를 매개체로 감염되며, 이 병에 걸린 환자의 일부에서 황달로 인해 피부가 누렇게 변화는 증상이 나타나 황열이라 부름
■ 개요
○ 브라질 보건부는 2017년 10월 20일 상파울루 북부 공원에서 황열병으로 사망한 것으로 확인된 원숭이 시체 발견 이후, 브라질 내 황열병 감염주기가 새롭게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고 발표
- 2017년 상파울루 주에서 총 22건의 감염사례가 보고되었으며, 그 가운데 10명이 사망하여 1980년 이래 최대치를 기록
※ 브라질 전국적으로는 2017년 상반기 내 총 777건의 감염 및 261명의 사망자 발생
■ 질병 특성
○ (원인 병원체) 황열 바이러스(Yellow fever virus)는 일본뇌염, 뎅기열 등을 유발하는 바이러스와 동일한 Flavivirus 계열
○ (감염 경로)
- (주된 전파) 매개모기*를 통해 감염
* 열대 줄무늬 모기와 이집트 숲모기가 주된 매개체로 바이러스가 모기를 통해 원숭이에서 사람으로 전파 또는 사람에서 사람사이로 전파
- (혈액을 통한 전파) 수혈이나 주사바늘을 통해 감염
○ 임상적 특징
- (일반적 증상) 3∼6일 정도의 잠복기간 이후 발열, 오한, 두통, 구토 등이 발생. 대부분 경증으로 완전히 회복하나, 환자의 10~20%는 중증으로 발전
- (중한 증상) 중증의 경우 섭씨 40도에 이르는 고열이 갑자기 나타나고, 심한 두통, 오심, 구토, 복통, 근육통을 동반하여 황달과 출혈성 경향을 보이며, 이런 증상이 3일 정도 지속된 후 수 시간 내지 하루정도 열이 없는 시기가 오고, 다시 열이 나면서 환자의 상태가 악화
※ 이때 신부전, 간부전과 현저한 서맥이 동반되고 각혈, 중추신경계 손상으로 뇌막염, 뇌염 증세를 보이고 경련 발생 가능
- (사망률) 간신성 기능 저하를 동반한 중증 환자의 사망률은 20~50%임. 대유행 시기에는 심한 증상을 나타낼 수 있고, 황달과 심한 출혈을 유발하여 높은 사망률을 보일 가능성 잠재
■ 발생국가 현황
○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 및 열대 남아메리카에서 발생
- 볼리비아, 브라질, 콜롬비아, 페루 등에서 풍토적 또는 간헐적으로 유행
<황열 발생국가 및 예방접종 권고지역>
출처 : 출처 : CDC(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7년 6월 12일 업데이트
■ 진단과 치료 및 예방
○ (진단) 환자의 증상과 함께 황열병 위험지역 여행력을 확인. 이후 혈액 검사로 항체를 검출하여 감염 여부 진단, 급성기에는 배양검사를 통해 바이러스 확인
※ 현재까지 국내 유입사례는 없으나, 2016년 3월 중국 남성이 앙골라 지역 방문 후 황열병에 감염된 사례가 있음. 이는 아시아 지역 최초의 발병 사례
○ (치료) 현재까지 황열에 특화된 치료제는 존재하지 않으며, 증상에 따른 대증적 요법 수행
○ (예방) 예방백신 접종을 통해 예방이 가능. 다수의 아프리카 황열 발생국들은 예방접종 증명서가 없으면 입국이 불가능
- 황열 바이러스에 대한 약독생백신이 개발. 비교적 안정적이며 효과적인 백신으로 1회 접종으로 면역력이 평생 유지(2016.7월 이후 평생면역으로 변경)
※ 단, 6개월 미만의 유아, 60세 이상 노인, 임산부 및 수유부 등에 접종이 불가하며, 부작용 등이 있어 새로운 백신 개발을 위한 다양한 시도 추진
■ 국내외 연구개발 동향
○ (해외) 저개발국가인 아프리카 및 남아메리카 지역에서 유행하는 질병으로 치료제 개발을 위한 다국적제약사 등의 연구개발은 미비한 상황이며, 예방을 위한 백신 개발은 활발
- (브라질) 보건부는 황열병 확산 사태에 대비해 전국 모든 도시를 백신 접종 대상으로 지정 검토 중(2017.10)
※ 상파울루 주 정부는 황열병 확산을 막기 위한 조치로 상파울루 시 주변 15개 공원을 폐쇄하고, 2019년 말까지 모든 주민에게 황열병 백신을 접종할 계획
- (미국) NIH 산하 국립 알레르기 및 감염성질환 연구소는 황열병 바이러스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설계된 실험용 백신에 관한 초기 임상시험에 착수(2016.7)
※ 임상 1상 연구는 덴마크의 제약회사 Bavarian Nordic에 의해 개발된 실험용 백신이 안전한지 그리고 황열병 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졌는지를 평가
○ (국내) 코젠바이오텍, 모기 매개 바이러스(황열, 웨스트나일, 치쿤쿠니야 등) 진단기술에 대한 연구개발 과제 시작(2015∼)
- 황열, A형 간염 등을 포함하여 관리중인 법정감염병 117개 중 32개 감염병의 치료제가 없는 것으로 조사
구분 | 감염병 | 치료제 개발 중인 현황 | 치료제 유무 | 보급사 | |
국내 | 국외 | ||||
1군 | 콜레라 | X | X | O | - |
1군 | A형 간염 | X | X | X | - |
4군 | 황열 | X | X | X | - |
4군 | 뎅기열 | X | X | X | - |
4군 |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구(SARS) | X | X | X | - |
4군 |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 X | O | X | - |
4군 | 지카바이러스감염증 | X | X | X | - |
출처 : 질병관리본부, 2017.10
■ 논문발표 현황
○ 황열 바이러스 관련 논문*은 전 세계적으로 9,134편이며, 이중 한국인 저자 관련 논문은 전무한 것으로 조사
* 논문검색 DB : Scopus, 검색범위 : 제목, 초록, 또는 키워드, 검색식 : "Yellow fever", 검색년도 : 1991.1.1. ∼ 현재까지, 문서종류 : 제한 없음
- 황열 바이러스 관련 논문은 1849년부터 발표되기 시작하여 이후 연간 10편 정도의 논문이 발표되다가 1990년 중반 이후 100편 이상의 논문이 발표
<황열 바이러스 관련 논문 연도별 발표현황>
- 국가별로는 미국이 2,849편(31.5%)으로 가장 많으며, 영국 624편, 프랑스 591편 순이며, 주 발생국가인 브라질, 인도, 나이지리아, 세네갈 등 남미, 아프리카 국가들의 논문 발표 활발
<황열 바이러스 관련 논문발표 주요 국가 현황>
논문 수(건)
■ 특허발표 현황
○ 황열 바이러스 관련 특허*는 전 세계적으로 3,591건이며 이중 한국특허청 특허는 240건으로 대부분 해외 바이오/제약기업에서 국내로 진입한 특허
* 특허검색 DB : Derwent Innovation, 검색범위 : 제목, 초록, 또는 키워드, 검색식 : “yellow fever“, 검색 년도 : 1991.1.1. ~ 2017.11.8, 특허 도메인 : 미국, 일본, 유럽, 중국, 한국
- 황열 바이러스 진단과 백신 개발에 대한 특허가 많으며, 황열 바이러스가 포함된 flavivirus를 치료하는 화합물 개발 특허도 다수 존재
- 한국특허청에 출원 및 등록된 특허의 최다 출원인은 GILEAD SCIENCES로 23건의 보유, 그 뒤로 SANOFI PASTEUR BIOLOGICS 13건, GILEAD PHARMASSET 9건, PHARMASSET과 BAXTER INTERNATIONAL 각 6건
※ Gilead사가 2011년 Pharmasset을 인수함
<황열 바이러스 관련 특허 연도별 출원현황>
■ 임상개발 현황
○ 현재 황열 바이러스 관련 임상시험은 백신 개발(신규 및 적용 확대 등)에 관련된 임상시험이 완료 및 임상시험 참가자를 모집하는 건이 다수 존재
※ (예시) ① Recruiting - Yellow Fever Vaccine on Statin/ Non Statin Subjects(Drug : Stamaril _ live attenuated yellow fever vaccine), ② Trial of Yellow Fever Inactivated Vaccine
- 그러나 황열 바이러스 치료제 개발에 관련된 것은 없는 것으로 조사
* 임상정보 검색 DB : clinicaltrials.gov, 검색 키워드 : Yellow Fever
...................(계속)
바이오 분야의 국내외 이슈를 살펴보기 위해 작성한 BioINwatch는 국내외 다양한 분석 보고서, 언론 기사 등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으며,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의 공식 견해는 아닙니다. 본 자료는 생명공학정책 연구센터 사이트(http://www.bioin.or.kr)에서 다운로드가 가능하며, 자료의 내용을 인용할 경우에 출처를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해당 사이트 링크가 열리지 않을시 Bioin 담당자(042-879-8377, bioin@kribb.re.kr)에게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