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미 NIH, 오피오이드(Opioid) 위기 종식을 위한 HEAL 이니셔티브 추진
- 등록일2018-04-30
- 조회수5493
- 분류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기타 > 기타
-
발간일
2018-04-26
-
키워드
#미 NIH#오피오이드#HEAL 이니셔티브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BioINwatch(BioIN+Issue+Watch): 18-32
미 NIH, 오피오이드(Opioid) 위기 종식을 위한 HEAL 이니셔티브 추진
◇ 오피오이드(Opioid, 마약성 진통제) 남용이 심각한 사회문제에 직면해 있는 미국은 지난해 10월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선포. 이에 NIH는 국가적 오피오이드 공중보건 위기해결을 위한 HEAL(Helping to End Addiction Long-term, 장기 중독 퇴치 지원) 이니셔티브를 추진. 올해 HEAL 이니셔티브의 연구예산은 11억 달러(약 1.2조원)로, 2016년 대비 두 배 가까이 증액
▸주요 출처 : Science, In Brief - NIH’s billion-dollar opioid plan, 2018.4.13.; NIH, NIH launches HEAL Initiative, doubles funding to accelerate scientific solutions to stem national opioid epidemic, 2018.4.4.
■ 마약성 진통제 오피오이드로 인한 중독과 사망은 미국 내 심각한 사회문제로 트럼프 행정부는 오피오이드 근절을 위한 강력한 대응방안 마련
○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발표에 따르면, 2016년 약물 과다복용으로 인한 사망자는 6만 3,632명으로 전년대비 21% 증가하였으며, 이중 4만 2천여명이 오피오이드(Opioid)* 남용으로 사망한 것으로 조사
* 아편(opium)과 오이드(oid·∼와 비슷한)의 합성어로, 아편과 비슷한 작용을 하는 합성 진통・마취물질. 원래는 말기 암환자나 큰 수술로 극심한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에게만 제한적으로 사용되던 진통제였으나 1990년대 후반 FDA가 진통제 처방 규정을 대폭 완화하면서 현재의 오피오이드 위기가 촉발
- 미국에서 오피오이드계 약물 과다복용으로 사망한 사람은 1999년 8,048명에서 2015년 3만 3천명, 2016년 4만 2천명으로 빠르게 증가
- 최근에는 옥시코돈, 퍼코셋 등의 전통적인 오피오이드 보다는 펜타닐 등의 중독성이 더욱 강한 합성 오피오이드 과다복용으로 인한 사망자가 빠르게 증가
※ 현재 매일 115명의 미국인이 약물 과다복용으로 사망해 총기 및 교통사고로 사망하는 사람보다 많은 것으로 집계
○ 트럼프 대통령은 전염병처럼 번지고 있는 마약성 진통제 오피오이드 남용에 대해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선포(2017.10)한 바 있으며, 최근 오피오이드 불법 거래상에 대한 사형 추진방침을 밝힘(2018.3)
- 트럼프 행정부는 오피오이드 근절을 주요 정책목표 중 하나로 선정하고 향후 3년간 오피오이드 처방건수를 3분의 1로 감소시킬 계획
- 오피오이드 상습 투약자를 추적하기 위해 연방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는 주정부에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방안을 고려
- 또한 미국 의회에 마약 밀매상에 대한 최소형량을 적용할 수 있는 법정 마약량 기준을 낮추는 법안을 통과시킬 것을 요청할 예정
■ NIH는 오피오이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과학적 해결책을 가속화하는 HEAL(Helping to End Addiction Long-term) 이니셔티브 추진
○ NIH는 전국적인 오피오이드 공중보건 위기에 대한 과학적 해결책을 신속히 추진하기 위해 적극적이고 중개적인 노력을 하는 새로운 프로그램인 HEAL(Helping to End Addiction Long-term, 장기중독 퇴치지원)을 시작(2018.4)
- HEAL 이니셔티브의 2018년 예산은 11억 달러(약 1.2조원)로, 이는 2016년 오피오이드 오용과 중독에 대한 연구자금(약 6억 달러)의 두 배 가량 증액
※ 지난 해 NIH는 공공 및 민간기관의 전문가들과 협력하여 NIH 단독으로 또는 외부기관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집중적인 노력을 기울일 수 있는 분야를 파악. 이때 논의의 초점은 오피오이드 처방을 줄이고 통증에 대한 비-오피오이드 치료법의 개발을 가속화하며, 오피오이드 중독치료에 보다 유연한 옵션을 제공하는 방법에 중점을 둠
○ HEAL 이니셔티브는 ① 강화된 통증관리를 통한 중독방지(Prevent Addiction through Enhanced Pain Management)와 ② 오피오이드 남용장애 및 중독치료 개선(Improve Treatments for Opioid Misuse Disorder and Addiction)의 두 개 분야로 구분하여 세부 목표를 설정
① 강화된 통증관리를 위한 중독 방지 : 매일 250만 명이 넘는 미국인이 통증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조사
- NIH는 환자를 오피오이드 사용과 관련된 위험에 취약하게 만드는 만성통증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이해하기 위한 연구를 지원
- 바이오제약 산업계와 협력하여 데이터 공유, 통증에 대한 새로운 바이오마커 및 새로운 통증 치료법을 테스트하기 위한 임상시험 네트워크 개발
- 통증치료를 위한 파이프라인을 향상시키고 통증관리를 위한 임상실습을 강화할 계획
② 오피오이드 남용 장애 및 중독 치료 개선 : 200만 명이 넘는 미국인이 OUD(Opioid Use Disorder, 오피오이드 사용 장애)가 있는 것으로 조사
- NIH는 오피오이드 오용과 중독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는 연구를 지원
- 이는 OUD를 가진 사람들이 의미있고 지속적인 회복을 달성하고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
○ HEAL 이니셔티브의 성공은 오피오이드 과다복용의 해독제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비강 분무제인 날록손(naloxone) 및 오피오이드 사용 장애 치료제인 부프레노르핀(buprenorphine) 개발에 있으며,
- 환자가 통증을 조절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요가, 태극권, 침술 및 명상 등과 같은 비약물 및 정신신체기술에 대한 증거를 연구할 계획
○ NIH는 FDA 및 민간 전문가들과 협력하여 통증과 중독에 대한 약리학적 치료를 발전시킬 수 있는 기회로 삼아, 공공-민간의 파트너쉽을 통해 가장 잘 해결할 수 있는 영역을 결정하고 우선순위가 높은 두 가지 목표를 선정
- (단기간) 오피오이드 사용장애를 치료하고 과다복용을 예방 및 치료하며 환자의 장기적인 회복을 지원하는 약물치료 범위 향상
- (장기간) 안전하고 효과적이며 중독성이 없는 통증 완화제 또는 비- 오피오이드계 진통제를 포함하여 통증완화를 위한 새로운 대안 개발
< HEAL 이니셔티브 주요 내용 >
연구분야 | 주요 내용 |
강화된 통증관리를 통한 중독방지 | ○ 만성통증의 기원 이해하기 ‒ 급성발작 후 근골격계 통증 및 수술 후 급성에서 만성통증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는 환자를 예측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를 확인하기 위한 종단연구 실시 ‒ 오피오이드 오용과 중독의 위험에 처하게 하는 유전적, 사회적 요인에 대한 사전이해를 통해 개별 위험요인에 맞는 정밀예방 전략 마련 ‒ NIH BRAIN Initiative 및 SPARC 프로그램을 통해 개발된 혁신적인 영상 및 신경학기술을 활용하여 1) 만성통증 치료에 대한 새로운 목표를 세우고, 2) 객관적인 바이오마커를 통해 어느 개인이 치료에 반응할 것인지를 예측
○ 통증치료를 위한 새로운 치료법 ‒ 과거 및 현재의 연구 프로젝트를 공유하고 기존 또는 버려진 화합물에 대한 치료효과를 탐구하는 공공-민간 파트너쉽 구축으로 새로운 중독성 없는 진통제 개발 ‒ 새로운 여러 용도의 화합물을 동시에 효과를 시험할 수 있는 임상시험 네트워크 구축. 대규모 투자, 안전 테스트를 거친 화합물과 유연한 임상시험 네트워크의 결합으로 효과적인 치료법 개발을 크게 가속화할 것임 ‒ 통합통증 관리모델 개발 및 오피오이드로 치료할 가능성이 있는 명확한 만성통증에 대한 최상의 통증관리 전략 증거 수집 및 보급 ‒ 신약표적을 확인하기 위한 표준화된 플랫폼 구축
○ 통증관리의 임상실습 향상 ‒ 보완통합건강센터(National Center for Complementary and Integrative Health), 보훈부 및 국방부 연구 협력기관의 연구를 기반으로 특정 통증상태에 대한 비약물 및 보완대체요법을 이용하여 통증관리에 대한 모범사례 발굴 ‒ 통증치료 및 교육의 우수센터 확장, 의료 및 치과교육 강화 |
오피오이드 남용장애 및 중독 치료 개선 | ○ 정밀예방 ‒ 오피오이드 약물처방 환자의 종단 데이터 분석으로 중독에 대한 취약성 이해를 향상 ‒ 오피오이드 사용 장애(OUD)를 일으키는 경향이 있는 게놈 변이를 포괄적으로 연구하여 OUD 가능성 예측
○ 중독에 대한 새로운 치료법 ‒ MAT(Medication-Assisted Therapy)와 과다복용 치료법을 포함하여 중독치료를 위한 치료옵션 확장 ‒ 중독위험이 높은 사람의 과량투여 또는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새로운 면역요법(백신 및 단일클론 항체) 개발
○ 과다복용 방지 및 해독제 개발 ‒ 불법적인 합성 오피오이드 해독제 기능 강화 ‒ 고위험군 환자에서 과량투여를 자동으로 해독시키는 장치 개발
○ 임산부와 신생아를 위한 치료 강화 ‒ OUD가 있는 임산부를 위한 최적의 관리전략 평가 ‒ 신생아 오피오이드 금단 증후군(ACT NOW) 프로젝트의 임상시험을 확대하여 환경적 아동건강 결과 및 IDEA 국가 소아 임상시험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신생아의 오피오이드 금단 증후군의 치료 및 장기적인 결과를 평가
○ 효과적인 치료 최적화 ‒ 연방 및 주 파트너와 협력하여 중독치료 옵션 개발 ‒ MAT 프로그램에 대한 사회 및 행동중재의 부가적인 역할 평가 ‒ 일차 진료의사, 응급실, 주 보건부, 치료 프로그램 및 형사 사법 시스템과 같은 여러 의료환경에 대한 모범사례 채택을 위한 파일럿 프로젝트 추진 |
-
이전글
- 미 FDA, 혁신적인 기기 프로그램(Breakthrough Devices Program) 가이드라인 초안 발표
-
다음글
- 새로운 단일세포 시퀀싱 기법으로 초기 유방암이 침윤성 유방암으로 진행되는 과정 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