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일본, Moon Shot형(파괴적 혁신) 연구개발 추진 계획
- 등록일2019-01-23
- 조회수5640
- 분류종합 > 종합
-
발간일
2019-01-22
-
키워드
#일본# Moon Shot형 R&D#도전적 연구개발#파괴적 혁신
- 첨부파일
BioINwatch(BioIN+Issue+Watch): 19-6
일본, Moon Shot형(파괴적 혁신) 연구개발 추진 계획
◇ 저출산 및 고령화 진전, 대규모 자연재해 등 오늘날 일본이 안고 있는 많은 난제를 해결하기 위해 과학기술이 과감하게 도전하고, 미래사회를 개척해나갈 수 있는 initiative를 구상. 파괴적 혁신 창출을 목표로 기존 기술의 연장이 아닌 보다 대담한 발상에 근거한 도전적 연구개발 (Moon Shot형 R&D) 추진을 계획
▸주요 출처 : 일본 과학기술혁신회의, 2018.12.20
■ 일본정부 차원에서 파괴적 혁신 창출을 목표로 기존 기술의 연장이 아닌 대담한 발상에 근거한 도전적 연구개발(Moon Shot형 R&D) 추진을 계획
○ 저출산 및 고령화 진전, 대규모 자연재해, 지구온난화 등 오늘날 일본은 많은 난제를 가지고 있고, 이러한 과제해결을 위해 과학기술이 과감하게 도전하고 미래사회를 개척해 나가는 것이 필요
○ 미국, 유럽, 중국은 파괴적 혁신 창출을 위해 지금까지 상상할 수 없었던 야심적인 initiative나 난제해결 연구에 일본보다 월등하게 큰 투자로 High Risk, High Impact한 연구개발을 강력하게 추진 중
- 세계 각국은 파괴적 혁신 창출을 위해 상상할 수 없었던 야심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세계 최정상급 연구자에게 예산, 권한을 주어 도전적 R&D를 추진
※ 인터넷, GPS, 게놈편집기술 등 산업·사회의 기본방향을 근본적으로 바꾸는 연구성과를 창출
| 해외 파괴적 혁신 연구개발 동향 |
|
|
| |
< 미국 > ◈ DARPA형 사업구조를 여러 정부 부처에 확산 ▪ DARPA(1985~, 국방고등연구계획국), IARPA(1998~, 지능첨단연구계획국), HSARPA (2002~, 국토안전보장부 고등연구계획국), ARPA-E(2009~, 에너지첨단연구계획국) ▪ 범부처적으로 Brain Initiative(뇌의 아폴로 계획) 추진 ◈ NSF는 10 Big Ideas 프로그램 운영 중(2017∼) ▪ 도전적이고 장기 기초연구 지원을 위해 아이디어 당 3천만 달러(2019년) 지원 - Understanding the Rules of Life: Predicting Phenotype, Harnessing Data for 21st Century Science and Engineering, Growing Convergent Research at NSF 등
< EU > ◈ 파괴적 혁신연구를 본격화하기 위한 파일럿 프로그램(European Innovation Council Pilot)을 착수 ▪ 고위험 연구 및 중소기업 지원 중점화를 위해 2018년부터 3년간 총 27억 유로 지원 ▪ 인공광합성 등 미래를 선도하는 최첨단 기술개발, 6개의 사회과제 해결을 위한 연구과제에 대해 세계 최정상급 연구자를 공모
< 그 외 국가 > ◈ 중국 : 절대 도청되지 않는 통신 실현, 양자암호 기술용 통신위성(묵자호) 개발 등 추진 ◈ 중동(두바이) : 세계 1위 스마트도시로 해외 최첨단 연구를 유치(시속 1,100km 열차 등) |
■ 일본에서 파괴적 혁신이 일어나기 어려웠던 원인을 토대로 비연속적인 혁신을 창출하는 연구개발을 계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추진
○ 실패가 허용되는 대담한 도전이 가능해지도록 ‘혁신적 연구개발 추진 프로그램(ImPACT)*’의 지원방식을 개선·강화하여 관계부처에 보급·정착시키는 것과 동시에
- ImPACT 사업기간이 종료(2013∼2018)됨에 따라 관계부처가 협력하여 독창적이고 야심찬 연구개발을 집중적·중점적으로 추진하는 구조(Moon Shot형 연구개발 제도)를 검토
* 혁신적 연구개발 추진 프로그램(ImPACT) : 범부처 차원에서 High Risk, High Impact 연구를 지원. PM이 막대한 권한과 책임을 가지고 사업의 기획, 추진, 관리를 총괄(PM은 공모로 선정)
○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과감하게 도전하여 미래성장 분야를 개척하기 위해 2005년부터 ImPACT 사업이 시작되어 성과와 한계를 경험
- 도전적인 아이디어를 전국 연구자로부터 공모하고, 도전적인 우수 인재를 PM으로 발탁하여 연구개발 관리를 맡김
- PM은 기존 정부사업으로는 지원하지 못한 High Risk, High Impact한 연구를 기존 조직이나 연구분야의 벽을 넘어 다양한 지식과 아이디어를 융합하여 획기적인 연구성과를 창출
- 하지만 파괴적 혁신으로 이어질만한 대담함이나 참신성이 부족한 경우도 존재
■ 파괴적 혁신 창출을 목표로 기존 기술의 연장이 아닌 보다 대담한 발상에 근거한 도전적인 연구개발(Moon Shot)을 추진
< 목표 >
① 미래사회를 전망하고, 어렵지만 실현되면 큰 임팩트가 기대되는 사회적 과제를 대상으로 야심적인 목표를 제시하고, 최첨단 연구를 선도하는 톱 연구자가 주도하여 전세계 연구자의 지식을 결집하여 목표를 실현
② 기초연구 단계에 있는 여러 가지 아이디어가 신속하게 산업·사회에 적용될 수 있도록 실패가 용인되는 도전적 연구개발을 적극 추진
③ 연구관리도 변화하는 글로벌 연구개발 동향을 고려하여 추진체계나 내용을 유연하게 변경하고, 최첨단 연구지원 체제를 구축
-
이전글
- 제37회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의 주요 이슈 : 거대 M&A, 약가, 마리화나 기반 의약품 등을 주목
-
다음글
- 구글 딥마인드, 단백질 3차 구조를 예측하는 알파폴드(AlphaFold) 개발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