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연구제안서 내 모호한(vague) 언어 사용이 연구비 확보 가능성을 높인다.
- 등록일2019-05-20
- 조회수5212
- 분류종합 > 종합
-
발간일
2019-05-16
-
키워드
#연구제안서#광범위한#모호한(vague)#단어#남성 연구원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BioINwatch(BioIN+Issue+Watch): 19-35
연구제안서 내 모호한(vague) 언어 사용이 연구비 확보 가능성을 높인다.
◇ 최근 Nature 뉴스에서 NBER 논문*을 인용하여 연구제안서 평가자들은 남성 연구원들이 더 자주 사용하는 ‘광범위한(broad)’ 단어를 선호하지만, 이러한 용어를 사용한 제안서가 더 나은 연구성과를 산출하지 못한다는 결과를 발표. 블라인드 리뷰임에도 불구하고 이와 같은 결과가 나옴에 따라 성 평등 및 격차 해소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제안
* The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Is Blinded Review Enough? How Gendered Outcomes Arise Even Under Anonymous Evaluation, J. Kolev et al., 2019.4
▸주요 출처 : Nature, News, Male researchers’ ‘vague’ language more likely to win grants, 2019.5.1
■ 연구제안서 평가자들은 제안자의 성별을 모르더라도 여성 연구원의 제안서에 보다 낮은 점수를 주는 것으로 조사
○ 미국 경제연구국(The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에서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이는 연구제안서에 서로 다른 유형의 단어를 사용하였기 때문이라고 설명
- 여성 연구원은 해당 과학기술 분야의 특정한 단어를 선택할 가능성이 더 높은 반면에, 남성 연구원은 덜 정확한 용어를 사용하는 경향을 발견
- 비록 이러한 포괄적인(broad) 용어가 포함된 제안서가 더 나은 연구결과로 이어지지는 않지만, 평가자들은 광범위한 단어를 선호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
○ 이번 연구는 2008년부터 2017년까지 Bill & Melinda Gates 재단의 Grand Challenges Explorations 프로그램*에 제출된 약 7,000 여건의 제안서를 분석한 결과
* 글로벌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연구비는 10만 달러에서 100만 달러까지 규모가 다양
- 신청인의 성별, 신청 전·후의 연구성과 및 연구과제 수행현황 등을 조사하였지만, 여성 연구원이 남성 연구원 보다 평가자의 점수가 현저히 낮은 이유에 대해서 설명할 수 없었고,
- 대신 제안서에서 나타나는 의사소통 스타일에서 여성과 남성 연구원의 차이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조사
○ 남성 연구자들은 "통제", "탐지" 및 "박테리아"와 같은 '광범위한' 단어를 더 자주 사용하는 경향이 있음을 발견하였는데, 이들 단어는 주제와 상관 없이 제안서에서 동일한 비율로 등장
- 대조적으로, 여성은 "지역 사회", "구강" 및 "두뇌"와 같이 '더 좁은' 또는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용어를 선호
- 광범위한 단어를 많이 포함한 제안서가 최종 선택되어도 이는 향후 더 많은 논문과 연구비로 연결되지 않았지만, 여성 연구원이 선택된 경우에는 같은 기준에서 성과가 보다 우수한 것으로 조사
< 광범위한 언어와 좁은 언어에 대한 여성 연구원과 남성 연구원의 사용 빈도 >
출처 : Nature, News, Male researchers’ ‘vague’ language more likely to win grants, 2019.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