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사업공고

2008년도 수산생명공학사업 신규과제 선정계획 공고

  • 등록일2008-06-12
  • 조회수2075

한국해양수산기술진흥원 공고 제2008- 13호


2008년도 수산생명공학사업 신규과제 선정계획 공고


생명공학기술을 적용한 수산생명자원의 효율적 개발과 이용을 지원하고자「2008년도 수산생명공학사업 신규과제 선정계획」을 다음과 같이 공고하오니 많이 응모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08년 6월 9일

한국해양수산기술진흥원장


(단위 : 백만원)

연번

 과  제  명

연구기간

정부예상액 (총/당해)

1

유용 수산생물 gene mapping 및 실용화 연구

5년 이내

20억/4억

  ※ 연구기간, 연구개발비 등은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 첨부된 과제제안서(RFP) 참고


 ◦「해양과학기술 연구개발사업 운영규정」제4조(연구개발사업 참여대상)에 의한 연구기관․대학 및 단체

 󰋪 신청방법 : 온라인(인터넷)을 통한 신청서(기술개발지원사업계획서) 접수 후 아래 접수처로 관련서류 제출

   - http://www.kimst.re.kr → 연구과제관리 → 신규과제 접수 → 전문가 등록 → 과제신청 → 신청서 내용입력

   - 제출서류(온라인 입력 완료 후 7일 이내)

     ∘ 온라인 접수증 1부

     ∘ 신청서 공문(신청 기관장 직인 날인) 1부

     ∘ 연구개발계획서(A4 용지 좌철제본, CD 1매 별도) 10부

   - 접수처 : (우 137-060) 서울특별시 서초구 양재동 275-6 삼호물산 B동 4층 

                한국해양수산기술진흥원 연구관리부 자원개발기술팀

 󰋪 접수기간 : 2008. 7. 7(월) ~ 7. 11(금)

 ※ 마감일 18:00 이후에는 온라인망이 차단되므로 18:00까지 사업계획서 내용 입력이 완료되어야 함.

 ◦ 전문기관(한국해양수산기술진흥원)에서 서류심사 및 해당분야 전문가를 통한 발표평가(8월)

 ※ 상황에 따라 과제별 응모기관이 한곳일 경우에도  재공고가 없을 수 있으며, 발표평가는 현장평가를 겸할 수 있음

 ◦ 전문기관은 분야별 산․학․연 전문가 5인 이상 10인 이내로 평가위원회를 구성하여 평가하고, 평가점수 순위에 따라 지원 대상을 농림수산식품부에 추천

 ◦ 과제의 최종선정은 전문기관의 평가결과에 따라 농림수산식품부장관이 확정 후 전문기관에 통보함

 󰋪 한국해양수산기술진흥원 자원개발기술팀(전화 02-3460-4053)

 󰋪 농림수산식품부 어선인력과(전화 02-500-2318/2319)

과제별 제안요구서(RFP)


과제번호

 

 

기술분야

수산생명공학

과 제 명

유용 수산생물 gene mapping 및 실용화 연구

연구기간

5년

예상 정부지원액(총/당해)

20억/4억



가. 연구개발의 필요성

   - 기후변동 (해수 온도, 염분 등)에 대처하기 위한 다양한 수산생물 유전자원 확보 및 품종 (계통) 조성 필요

   - FTA 수입 개방 압력에 따른 수산생물 생산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고부가 신품종 개발 기술이 시급

   - 미래 바이오산업의 소재로서 생명자원의 자산 가치 증대 

나. 연구개발 현황 및 수준

   - 복어의 전 genome 해석 완료 및 해양 모델 어류로서 zebrafish의 유전체 정보가 공개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실용화 및 품종개량 연구가 진행 중임


다.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1) 최종목표

   - 주요 수산생물의 유전자 대량 해독 및 유전자물리지도 완성

   - 주요 수산생물의 유용 특성과 관련된 유전자 지도 작성

   - 주요 수산생물의 유용 기능성 유전자 발굴 및 실용화

  

 (2) 주요개발내용


  ∙ 대량 분자표지 발굴 및 유전 지도 작성

     - cDNA library와 genomic DNA library 구축

     - 분자표지의 효율적 탐지 기술 개발

     - 연관지도, 유전자좌 지도, 정밀 지도 및 비교유전체 지도 작성

  ∙ 유용형질 관련 주요 유전자 탐색 및 발굴

     - 유전체 분석을 위한 집단 조성 및 표현형 측정

     - 유용 기능성 형질 관련 유전자 위치 (QTL) 탐색

     - 유용 기능성 형질 관련 후보 유전자 SNP 대량 발굴

     - QTL 부위 후보 유전자 중에서 형질의 원인 유전자 및 원인 SNP 발굴

     - 품종 또는 집단 특이 SNP 마커 발굴

    - 형질, 마커 자료 수집 및 관리를 위한 DB 및 웹 인터페이스 구축


  ∙ 주요 수산생물 적용 기술 개발

     - 유용 기능 유전자 검증 시스템 개발 및 실용화 적용모델 개발

     - 유용 기능성 형질 선발용 SNP chip 및 kit 실용화 기술 개발

라. 중점 연구 소요기간 및 예상정부지원액

(단위 : 백만원)

중점 추진 내용(예시)

소요기간

예상정부

지원액(총액)

수산유용생물 유전정보 (EST, SNP, 분자 마커) 발굴 및 DB화

기능성 형질과 관련된 유전자원 발굴 위한 최적 집단 조성

1년

400

수산유용생물 genomic library 및 DB 구축

조성된 집단 및 분자 마커를 이용하여 연관 유전자 지도 작성 및 기능성 형질 관련 유전자 위치 (QTL) 탐색

1년

400

발굴된 유전자 위치에서 기능 후보 유전자 및 관련 SNP 발굴

형질 관련 후보 유전자 및 SNP 발굴 위한 비교 유전체 지도 작성

구축된 genome library에서 대량 SNP 발굴

1년

400

정밀 지도 방법을 이용하여 후보유전자 중에서 원인 유전자 SNP 결정

유용 기능성 형질 관련 원인 유전자의 효과 검증 및 검증 시스템 개발

1년

400

유용 기능성 형질 선발용 SNP chip 개발 및 결과 DB 구축

SNP chip 효용성 검증을 통한 DNA (SNP) kit 실용화

1년

400

합   계

 

2,000


마. 연구결과의 기대효과

   - 유용 기능성 유전정보에 의한 맞춤형 신품종 개발 기술력 확보

   - 고전적 전통 선발육종의 한계를 극복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우량개체 선발방법 (분자육종) 확립으로 육종 효율의 극대화

   - DNA kit 및 유전자 정보를 상품화하여 산업재산권 선점


바. 기타 (특별요구사항)

  ◦ 총괄과제 형식으로 신청함을 원칙으로 함

    - 세부과제는 RFP상의 ‘연구목표와 내용’를 고려하여 자율로 정하며, 총괄연구책임자는    반드시 하나의 세부과제책임자를 겸함

  ◦ 연차별 정량적 성과목표, 최종년도 연구개발 종료 후의 후속 대책 및 방안을 연구계획서에 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