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사업공고

2009년도 지역산업기술개발사업 신규지원 안내 공고

  • 등록일2009-07-22
  • 조회수2037
지식경제부공고 2009 - 277 호
 
2009년도 지역산업기술개발사업 신규지원 안내 공고
 
산업클러스터 형성을 활성화함으로써 지역산업의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하여 추진하고 있는 지역산업기술개발사업(지역전략기획기술, 지역산업선도기술, 지역연계기술, 지역혁신산업기반구축)에 대한 신규지원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안내하오니 신청 기한 내에 접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09년 7월 14일
지식경제부장관
지역전략기획기술분야 신규지원
1. 사업개요
지역전략기획기술사업은 지역의 기술기획 역량을 활용하여 「고부가가치 핵심복합기술개발」을 위해 수요조사를 통해 도출된 기술개발 제안요구서(RFP)를 공고하고, 이에 대해 사업계획을 신청하여 선정된 과제에 대하여 무담보 무이자의 기술개발자금을 지원하고, 개발완료 후 성공시 정부지원금의 일부만을 상환
2. 지역전략산업별 지원대상 과제(지정공모)
강원 바이오산업 “정보통합형 다표지 진단 바이오칩 기반 성인병 조기 예측 및 예방” 등 기술개발과제 80건
* 지원대상 기술개발과제명 및 RFP는 [별표2] "지역전략산업 연구개발제안요구서(RFP) 목록"을 참
   조하시기 바랍니다.
3. 지원내역
○ 예산규모 : 287억원
○ 지원기간 : 3년 이내에서 단계구분 없이 지원
○ 정부출연금 지원기준 및 민간부담현금 부담비율
- 정부출연금 지원기준(과제당 7억/년 내외)
참여기업 수 지원기준
1개
- 참여기업이 중견기업, 대기업인 경우 : 총사업비의 50% 이내
- 참여기업이 중소기업인 경우 : 총사업비의 75% 이내
2개 이상
- 참여기업 중 중소기업 수의 비율이 3분의 2 미만인 경우 : 총사업비의 50% 이내
- 참여기업 중 중소기업 수의 비율이 3분의 2 이상인 경우 : 총사업비의 75% 이내
* “중소기업”은 「중소기업기본법」 시행령 제3조(중소기업 범위)에서 정한 기업을 말함
* 주관기관인 기업도 참여기업 수에 포함


- 민간부담현금 비율조건
· 중소기업이 주관인 경우 또는 참여기업 중 중소기업 수의 비율이 3분의 2이상인 경우 : 연차별 민간
 
부담금의 10%이상
· 그 밖의 경우 : 연차별 민간부담금의 20%이상

※ 중소기업의 경우, 당해 기술개발사업 수행을 위해 공고일 이후 신규 채용하는 학·석·박사급 연구
    원의 인건비는 현금으로 산정 가능함

○ 기술료
- 중간 또는 최종평가에서 평가결과 “조기종료”, “성공”으로 평가된 경우, 주관기관 유형에 따라 정액
   기술료를 납부

주관기관 유형 정액기술료율
대 기 업
총 지원 국비의 40%
중견기업
총 지원 국비의 30%
중소기업
총 지원 국비의 20%
※ 중견기업 : 중소기업 이외의 기업으로 상시 근로자 수가 1천명 미만이고 자산총액(직전 사업연도 말일 현재 대차대조표에 표시된 자산총액을 말함)이 5천억원 미만인 기업. 단,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제14조제1항에 따른 출자총액제한기업집단에 속하는 기업은 제외


☞ 중견기업 확인서류

4. 신청자격
○ 총괄관리기관
- 세부주관기관의 자격과 동일하나, 참여기업을 포함하지 않음.
○ 세부주관기관
- 부가가치세법 제4조 규정에 의하여 해당지역에 주된 사업장을 보유한 접수마감일 현재 창업한지
   1년 이상인 기업

   단, 대구지역의 섬유산업분야는 신청자격을 대구경북지역 기업으로 확대함 
- 해당 지역에 소재하는 대학, 비영리연구기관, 테크노파크, 지역기술혁신센터, 지역특화센터의 법인
- 해당지역의 참여기업을 반드시 포함해야 함.
- 전체 세부주관기관 수(2개 이상 필수)의 2분의 1이하에서 타지역에 소재한 기관으로 구성이 가능함.
- 타 지역 소재의 세부주관기관의 경우에도 해당지역의 참여기업을 반드시 포함하여야 하나, 해당
   지역 내에 소재한 기업의 민간부담금은 전체 민간부담금의 50% 이하도 가능함.
○ 참여기업
- 해당지역 및 타지역에 소재하는 접수마감일 현재 창업한지 1년 이상인 기업
○ 위탁기관
- 해당지역 및 타지역에 소재하는 대학, 비영리연구기관, 테크노파크, 지역기술혁신센터, 지역특화
   센터의 법인 등



※ 기관 및 기업별 자격요건은 사업자등록증(사본) 또는 법인등기부등본에 따름
5. 지원절차 및 일정


<지경부>
 
 
 
<전담기관>
사업공고
사업계획 전산입력
사업계획서 접수
선정평가
7.14
 
8.10∼8.19
 
8.13∼8.20
 
8월~9월
6. 신청서 교부 및 접수
○ 교부기간 : 2009.7.14(화) ~ 8.20(목)
   ☞ 지역전략기획기술개발사업 사업계획서(총괄 및 세부) 양식 및 작성방법
   ☞ 지식경제 기술혁신사업 사업비 산정, 관리 및 사용, 정산에 관한 요령
   ☞ 지식경제 기술혁신사업 보안관리요령 
   ☞ 국가연구개발사업 간접경비 기준 

○ 전산입력 기간 : 2009.8.10(월) ~ 8.19(수), 18:00
   - 전산입력 방법 : 인터넷(http://rnd.risnet.or.kr)에 전산양식 기본정보 입력
   ☞ 지역산업기술개발사업 전산입력 매뉴얼(일반사용자회원가입)

   ※ 사업계획서 접수마감 1일전까지 전산입력을 완료하여야 하며 전산입력을 완료하지 않고 서류만
       제출한 경우는 반려함


○ 접수 기간 : 2009.8.13(목) ~ 8.20(목), 18:00
   - 접수 방법
   ① 인터넷(http://rnd.risnet.or.kr)에 입력한 전산양식을 출력하여 날인한 후,
   ② 기타 신청서류와 함께 한국산업기술진흥원에 직접 또는 우편으로 제출
   ③ 다만, 우편으로 접수하는 경우 접수마감일까지의 도착분에 한하여 유효하며 신청기관은 우편물
       표지에 과제번호, 공고번호
, 신청과제명 등을 기재해야 함

※ 제출된 사업계획서의 내용이 전산자료(인터넷으로 입력한 기본정보)와 내용이 상이할 경우 전
    산자료를 제출서류로서 인정함

7. 유의사항
○ 다음의 경우는 평가시 우대함
    - 해당지역 TP, RIC, 지역특화센터의 장비를 임차[최근 6개월간 48회(시간)이상 사용실적]하거
       나, 입주하고 있는 기업이 주관기
관으로 신청한 경우(임대차 계약서가 있는 경우에 한함)
    - 접수 마감일 현재 수도권에서의 사업기간이 1년 이상인 기업으로서, 해당지역으로 본사, 공장,
       연구소를 이전한지 3년 이내인
기업 또는 본사를 이전하지 않더라도 공장이나 연구소를 신설하
       는 경우

    - 중소기업 주관이면서 공동개발인 경우
○ 다음의 경우는 지원에서 제외함
    - 산업기술개발사업 등 국가연구개발사업에 참여중인 자가 접수마감일 현재 의무사항(보고서 제
       출, 기술료 납부 등)을 불이행하
고 있는 경우
    - 국가연구개발사업에 참여 제한중인 자 또는 기관(기업)
    - 접수마감일 현재 주관기관, 주관기관의 장, 총괄책임자, 참여기업, 참여기업대표자가 부도 및 금
       융기관 등의 채무불이행자이거
나, 최근 2년 연속 결산 재무제표상의 부채비율이 500% 이상, 유
       동비율 50%이하, 완전자본잠식, 감사의견이 “의견거절” 또는 
“부적정”인 경우
    - 전산으로 등록한 후 이를 출력하여 날인(표지)을 하지 않고 제출한 경우

○ 연구장비의 과도한 구매 등 기술개발사업 목적과 부합하지 않는 과제는 평가시 감점요인이 될 수
    있음


○ 제출된 서류는 일체 반환하지 않음





2
지역산업선도기술분야 신규지원
1. 사업개요
지역산업선도기술개발사업은「지역별 전략산업을 선도할 기업이 핵심기술을 개발」하도록 무담보 무이자의 기술개발자금을 지원하고, 개발완료 후 성공시 정부지원금의 일부만을 상환
2. 지원대상 지역 및 기술
※ 지역별 전략산업(특화분야) 범위 내에서 기술개발 대상과제를 자유롭게 도출하여 신청
지 역 전략산업(특화분야)
경 남 바이오(생물화학)
경 북
생물한방(기능성바이오소재)
울 산
조선해양(조선기자재부품)
충 남
첨단문화(디지털컨텐츠 및 응용솔루션)
충 북
바이오(생물의약), 반도체(반도체IC 및 소자), 전기전자융합부품(U-전자부품)
3. 지원내역
○ 예산규모 : 33억원
○ 개발기간 : 2년
○ 정부출연금 지원기준 및 민간부담현금 부담비율 : 지역전략기획기술분야 신규지원 참조
○ 기술료 : 지역전략기획기술분야 신규지원 참조
 
4. 신청자격
○ 주관기관
다음의 ①, ②, ③항을 모두 만족시키는 기업
① 부가가치세법 제4조 규정에 의하여 해당지역에 주된 사업장(본사) 또는 공장을 보유한 접수마감
    일 현재 창업한지 1년 이상

② 매출액(직전 사업연도 말일 현재 대차대조표에 표시된 매출액을 말함)이 20억억원 이상
③ 해당지역에 지원분야 기업부설연구소(산업기술진흥협회에서 발행한 인정서 기준) 보유
○ 참여기업
- 대기업이 주관기관으로 신청한 경우, 주관기관 이외에 별도의 참여기업(해당지역 이외에 소재하는
   기업도 가능)이 반드시 참여해야 함
○ 위탁기관
- 해당지역 및 타지역에 소재하는 지역특화센터의 법인, 테크노파크, 지역기술혁신센터, 대학, 비영
   리연구기관 등

5. 지원절차 및 일정


<지경부>
 
 
<전담기관>
사업공고
사업계획 전산입력
사업계획서 접수
선정평가
7.14
 
8.10∼8.19
 
8.13∼8.20
 
8월~9월
6. 신청서 교부 및 접수
○ 교부기간 : 2009.7.14(화) ~ 8.20(목)
   ☞ 지역산업선도기술개발사업 사업계획서 양식 및 작성방법
   ☞ 지식경제 기술혁신사업 사업비 산정, 관리 및 사용, 정산에 관한 요령
   ☞ 지식경제 기술혁신사업 보안관리요령
   ☞ 국가연구개발사업 간접경비 기준
  

○ 전산입력 기간 : 2009.8.10(월) ~ 8.19(수), 18:00
   - 전산입력 방법 : 인터넷(http://rnd.risnet.or.kr)에 전산양식 기본정보 입력
   ☞ 지역산업기술개발사업 전산입력 매뉴얼(일반사용자회원가입)
   ※ 사업계획서 접수마감 1일전까지 전산입력을 완료하여야 하며 전산입력을 완료하지 않고 서류만
       제출한 경우는 반려함


○ 접수 기간 : 2009.8.13(목) ~ 8.20(목), 18:00
   - 접수 방법 : 지역전략기획기술분야 신규지원 참조
7. 유의사항
○ 다음의 경우는 평가시 우대함
     - 접수 마감일 현재 수도권에서의 사업기간이 1년 이상인 기업으로서, 해당지역으로 본사, 공장,
       연구소를 이전한지 3년
이내이거나, 해당지역에 공장이나 연구소를 신설한 경우
       (사업자등록증이 있는 경우에 한함)

    - 중소기업이 주관기관이며, 대기업이 참여하는 경우
○ 다음의 경우는 지원에서 제외함
- 기존 지역산업선도기술개발사업을 수행 중인 기업은 지원 제외
    - 기존 우수제조기술연구센터(ATC)사업을 수행하였거나, 수행 중인 기업은 지원 제외
    - 신청된 기술개발계획이 기 개발되었거나, 기 지원된 과제와 동일할 경우
    - 이하 지원 제외사항은 지역전략기획기술분야 신규지원과 동일함
○ 연구장비의 과도한 구매 등 기술개발사업 목적과 부합하지 않는 과제는 평가시 감점요인이 될 수
    있음
○ 제출된 서류는 일체 반환하지 않음.
 
3
지역연계기술분야 신규지원
 
1. 사업개요
지역연계기술개발사업은「지역의 기업지원기관과 연계된 기업주도형 기술을 개발」하도록 무담보무이자의 기술개발자금을 지원하고, 개발완료 후 성공시 정부지원금의 일부만을 상환
2. 지원대상 지역 및 기술
※ 지역별 전략산업(특화분야) 범위 내에서 기술개발 대상과제를 도출하여 신청
 
지 역 전략산업(특화분야)
경 남
지능형홈(지능형홈기기 및 솔루션), 바이오(생물화학)
부 산
해양산업(해양바이오)
대 전
바이오(생물의약), 메카트로닉스(서비스·국방로봇)
전 남
생물(건강지향식품(백신포함)), 신소재·조선(기능성경량소재, 중소형조선)
충 남
첨단문화(디지털컨텐츠 및 응용솔루션), 농축산바이오(가공·자원화)
3. 지원내역
○ 예산규모 : 29억원
○ 개발기간 : 2년 이내
○ 정부출연금 지원기준 및 민간부담현금 부담비율
- 정부출연금 지원기준(과제당 2억/년 내외)
참여기업 수 지원기준
1개
- 참여기업이 중견기업, 대기업인 경우 : 총사업비의 50% 이내
- 참여기업이 중소기업인 경우 : 총사업비의 75% 이내
2개 이상
- 참여기업 중 중소기업 수의 비율이 3분의 2 미만인 경우 : 총사업비의 50% 이내
- 참여기업 중 중소기업 수의 비율이 3분의 2 이상인 경우 : 총사업비의 75% 이내
※ “중소기업”은 「중소기업기본법」 시행령 제3조(중소기업 범위)에서 정한 기업을 말함
※ 주관기관인 기업도 참여기업 수에 포함
- 민간부담현금 비율조건 : 지역전략기획기술분야 신규지원 참조

○ 기술료 : 지역전략기획기술분야 신규지원 참조
4. 신청자격
○ 주관기관
   - 부가가치세법 제4조 규정에 의하여 해당지역에 사업장(사업자등록증 기준)을 보유한 접수마감일
      현재 창업한지 1년 이상인 
기업
   - 주관기관은 기업에 한정하며, 반드시 위탁기관과 연계해야 함
 
○ 참여기업
  - 해당지역 및 타지역에 소재하는 접수마감일 현재 창업한지 1년 이상인 기업
  - 단, 반드시 해당지역에 소재한 기업(주관기관인 기업 포함)이 총 민간부담금의 50% 이상을 부담
     하여야 함
○ 위탁기관
   - 해당지역 및 타지역에 소재하는 지역특화센터의 법인, 테크노파크, 지역기술혁신센터, 대학,
      비영리연구기관 등


※ 기관 및 기업별 자격요건은 사업자등록증(사본) 또는 법인등기부등본에 따름
5. 지원절차 및 일정
 
<지경부>
 
<기획단>
<기획단>
<전담기관>
 
<기획단>
 
<기획단>
사업공고
기업지원서비스
신청서 접수 (희망기업)
===⇒
사업계획
전산입력
사업계획서
접수
선정평가
혁신자원 연계
7.20∼8.19
7.14
 
7.15∼8.7
8.10∼8.19
 
8.13∼8.20
 
8월~9월
※ 혁신자원 연계 : 기업지원서비스를 희망하는 기업과 기업지원기관(TP, 센터, 대학, 연구소 등)을
    연계하여 기술개발과제 수행을 유도하는 절차
(기업의 R&D 수요 + 공공 기업지원서비스)
6. 신청서 교부 및 접수
《기업지원서비스 신청서》
○ 접수 기간 : 2009.7.20(월) ~ 8.19(수), 18:00
  - 접수 방법 : 지역전략산업기획단 (문의처 참조)에 직접제출(우편접수 안함)
※ 기업지원서비스를 희망하는 기업은 기업지원서비스신청서를 기한 내에 기획단에 제출하고, 기업
    지원기관(위탁기관)을 자체적으로 선정하는 기업은 동 절차(기업지원서비스신청서 접수 및 혁신
    자원 연계)를 생략


《사업계획서 전산입력 및 접수》
 
○ 전산입력 기간 : 2009.8.10(월) ~ 8.19(수), 18:00
   - 전산입력 방법 : 인터넷(http://rnd.risnet.or.kr)에 전산양식(기본정보) 입력
   ☞ 지역산업기술개발사업 전산입력 매뉴얼(일반사용자회원가입)
※ 사업계획서 접수마감 1일전까지 전산입력을 완료하여야 하며, 전산입력을 완료하지 않고 서류만
    제출한 경우는 반려함
○ 사업계획서 접수 기간 : 2009.8.13(목) ~ 8.20(목), 18:00
   - 접수 방법
   (1) 인터넷(http://rnd.risnet.or.kr)에 입력한 전산양식을 출력하여 날인한 후,
   (2) 신청기관 제출서류와 함께 지역전략산업기획단에 직접제출(우편접수 안함)
※ 제출된 사업계획서의 내용이 전산자료와 내용이 상이할 경우 전산자료를 제출서류로서 인정함.
7. 유의사항
○ 다음의 경우는 평가시 우대함
   - 해당지역 TP, RIC, 지역특화센터가 위탁기관으로 신청한 경우
   - 해당지역 TP, RIC, 지역특화센터의 장비를 임차[최근 6개월간 48회(시간)이상 사용실적]하거나,
      입주하고 있는 기업이 주관기관으로 신청한 경우(임대차 계약서가 있는 경우에 한함)
   - 접수 마감일 현재 수도권에서의 사업기간이 1년 이상인 기업으로서, 해당지역으로 본사, 공장,
      연구소를 이전한지 3년 이내 이거나, 해당지역에 공장이나 연구소를 신설한 경우(사업자등록증
      이 있는 경우에 한함)
- 중소기업 및 대기업간의 공동개발인 경우
○ 다음의 경우는 지원에서 제외함
   - 신청된 기술개발계획이 기 개발되었거나, 기 지원된 과제와 동일할 경우
   - 이하 지원 제외사항은 지역전략기획기술분야 신규지원과 동일함
 
○ 연구장비의 과도한 구매 등 기술개발사업 목적과 부합하지 않는 과제는 평가시 감점요인이 될 수
    있음
○ 제출된 서류는 일체 반환하지 않음



4
지역혁신기반구축사업 기술개발 분야
1. 사업개요
○ 지역별 전략산업을 중심으로 지역경제에 파급효과와 성공가능성이 큰 사업을 전략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지역에서 발굴·기획한 과제에 대하여 무담보무이자의 기술개발자금을 지원하고, 개발완료 후 성공시 정부지원금의 일부만을 상환
2. 지원대상 지역 및 지원분야
※ 지역별 전략산업(특화분야) 범위 내에서 기술개발 대상과제를 도출하여 신청
지 역 지원분야
광 주 자동차부품(전장부품기술)
대 전
부품소재(정보전자부품소재기술)
3. 지원내역 
○ 예산규모 : 5억원
○ 개발기간 : 1년
○ 정부출연금 지원기준 및 민간부담현금 부담비율 : 지역연계기술분야 신규지원 참조
○ 기술료 : 지역전략기획기술분야 신규지원 참조
4. 신청자격
○ 주관기관
- 부가가치세법 제4조 규정에 의하여 해당지역에 사업장(사업자등록증 기준)을 보유한 접수마감일 현재 창업한지 1년 이상인 기업
○ 참여기업
- 해당지역 및 타지역에 소재하는 접수마감일 현재 창업한지 1년 이상인 기업
- 단, 반드시 해당지역에 소재한 기업(주관기관인 기업 포함)이 총 민간부담금의 50% 이상을 부담하여야 함
○ 위탁기관
- 해당지역 및 타지역에 소재하는 지역특화센터의 법인, 테크노파크, 지역기술혁신센터, 대학, 비영리연구기관 등

※ 기관 및 기업별 자격요건은 사업자등록증(사본) 또는 법인등기부등본에 따름
5. 지원절차 및 일정
<지경부>
 
 
 
<기획단>
 
<전담기관>
사업공고
사업계획 전산입력
사업계획서 접수
선정평가
7.14
 
8.10∼8.19
 
8.13∼8.20
 
8월~9월
6. 신청서 교부 및 접수
사업계획서 전산입력 및 접수》
○ 전산입력 기간 : 2009.8.10(월) ~ 8.19(수), 18:00
- 전산입력 방법 : 인터넷(http://rnd.risnet.or.kr)에 전산양식(기본정보) 입력
☞ 지역산업기술개발사업 전산입력 매뉴얼(일반사용자 회원가입)
※ 사업계획서 접수마감 1일전까지 전산입력을 완료하여야 하며, 전산입력을 완료하지 않고 서류만 제출한 경우는 반려함
 
○ 사업계획서 접수 기간 : 2009.8.13(목) ~ 8.20(목), 18:00
- 접수 방법
(1) 인터넷(http://rnd.risnet.or.kr)에 입력한 전산양식을 출력하여 날인한 후,
(2) 신청기관 제출서류와 함께 지역전략산업기획단에 직접제출(우편접수 안함)
※ 제출된 사업계획서의 내용이 전산자료와 내용이 상이할 경우 전산자료를 제출서류로서 인정함.
7. 유의사항
○ 다음의 경우는 평가시 우대함
- 해당지역 TP, RIC, 지역특화센터가 위탁기관으로 신청한 경우
- 해당지역 TP, RIC, 지역특화센터의 장비를 임차[최근 6개월간 48회(시간)이상 사용실적]하거나, 입주하고 있는 기업이 주관기관으로 신청한 경우(임대차 계약서가 있는 경우에 한함)
- 접수 마감일 현재 수도권에서의 사업기간이 1년 이상인 기업으로서, 해당지역으로 본사, 공장, 연구소를 이전한지 3년 이내 이거나, 해당지역에 공장이나 연구소를 신설한 경우(사업자등록증이 있는 경우에 한함)
- 중소기업 및 대기업간의 공동개발인 경우
○ 다음의 경우는 지원에서 제외함
- 신청된 기술개발계획이 기 개발되었거나, 기 지원된 과제와 동일할 경우
- 이하 지원 제외사항은 지역전략기획기술분야 신규지원과 동일함
○ 제출된 서류는 일체 반환하지 않음
 
 
 
 
【별표1】문의처 안내
ㅇ 문의처
- 한국산업기술진흥원(http://www.kiat.or.kr) 지역산업진흥팀 : 02) 6009-3724, 3729
- 지식경제부 지역산업과 : 02) 2110-4739, 5598
- 지역별 전략산업기획단 연락처
 
지역
지역전략산업기획단
홈페이지
기관명
주소(우편번호)
전화번호
경남
(재)경남테크노파크/
경남전략산업기획단
경남 창원시 반계동 1484 경남테크노파크 3층(641-460)
055-259-3371~4
광주
(재)광주테크노파크/
광주전략산업기획단
광주광역시 북구 첨단3길 107(대촌동 958-3) 광주테크노파크 4층(500-706)
062-602-7386,8
대구
(재)대구테크노파크/
대구전략산업기획단
대구시 동구 신천동 95 대구벤처센터 7층(701-020)
053-757-3737
부산
(재)부산테크노파크/
부산전략산업기획단
부산광역시 강서구 지사동 1276번지 (재)부산테크노파크 206호(618-230)
051-974-9121~5
강원
(재)강원테크노파크/
강원전략산업기획단
강원도 춘천시 신북읍 율문리 946번지 강원테크노파크 3층(200-821)
033-248-5631,6
경북
(재)경북테크노파크/
경북전략산업기획단
경북 경산시 삼풍동 300번지 (재)경북테크노파크 207호(712-210)
053-819-3071
대전
(재)대전테크노파크/
대전전략산업기획단
대전광역시 유성구 탑립동 694번지 대전테크노파크(305-510)
042-930-2862,4
울산
(재)울산테크노파크/
울산전략산업기획단
울산광역시 중구 다운동 421번지 울산테크노파크 본부동 4층(681-340)
052-219-8582, 8574
전남
(재)전남테크노파크/
전남전략산업기획단
전남 무안군 삼향면 남악리 1000번지 전남도청 민원동 3층(534-700)
061-286-4388
전북
(재)전북테크노파크/
전북전략산업기획단
전북 전주시 덕진구 팔복동2가 723-1 전북테크노파크 본부동4층(561-844)
063-219-2212~3
제주
(재)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
제주전략산업기획단
제주시 아라1동 4-8번지 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690-121)
064-720-2310
충남
(재)충남테크노파크/
충남전략산업기획단
충남 천안시 직산읍 삼은리 506번지 기술혁신종합지원센터 2204호(330-816)
041-589-0131
충북
(재)충북테크노파크/
충북전략산업기획단
충북 청원군 오창읍 양청리 685-1번지충북테크노파크(363-883)
043-270-2230~1
 
 
별표2】지역전략산업 연구개발 제안요구서(RFP) 목록
지역전략기획기술분야 제안요구서(*분야는 개발기간이 2년 이내임)
연번
지역
전략산업분야
제안과제명
RFP
1
강 원
바이오
정보통합형 다표지 진단 바이오칩 기반 성인병 조기예측 및 예방
☞강원1
2
세포에 작용하는 생체유래 단백질을 이용한 신규 바이러스질환 치료제 개발
☞강원2
3 신소재
한국형 산불자동인지와 지연 및 대응방안 기술 개발
☞강원3
4
멀티레이어 세라믹을 이용한 대면적 이미지 센서 모듈용 실장기판 개발
☞강원4
5 의료기기
3D 비전 단일포트용 복강경/내시경 수술시스템 개발
☞강원5
6
복합 경피 자극 TDD(transdermal Drug Delivery) 시스템 개발
☞강원6
7
경 남
지능형분야
지능형홈 기;반의 소방방재 기술개발
☞경남1
8
Green IT기반 빌딩의 에너지 절감을 위한 계측 및 모니터링 솔루션 개발
☞경남2
9 바이오분야*
밸러스터수 처리 시스템 구축 및 해양 병원성 미생물 검출 시스템에 관한 기술개발
☞경남3
10
적조생물 조기 감지센서 시스템 및 저해제 적용방법 개발
☞경남4
11
경 북
전자정보기기
친환경 저가형 다성분 금속산화물계 투명 도전성 소재 및 기판 개발
☞경북1
12
플렉시블 LCD/OLED용 투명전극 제작을 위한 고성능 Roll-to-Roll coating 시스템 개발
☞경북2
13 생물한방
약용작물로부터 고부가가치성 기능성 바이오소재 개발 및 상품화
☞경북3
14
식약용 버섯 및 조류를 이요한 인지기능증진용 바이오신소재 개발
☞경북4
15 신소재품
자동차 열교환기용 극박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 소재 기술개발
☞경북5
16
다단포머단조를 이용한 중공형단조품 제조 기술
☞경북6
17
광 주
광(차세대광기반-융합)
태양광 발전용 장수명 대용량 이차전지 개발
☞광주1
18
초고속 통신을 위한 FTTH 하이브리드 PON 시스템 및 광부품 기술 개발
☞광주2
19
수십W급 CW 파이버 레이저 구현을 위한 광 부품 기술개발
☞광주3
20
일중 태양광 스펙트럼 기변형 LED Smart Lighting기술개발
☞광주4
21
정보가전(디지털,생활가전.부품)
무선통신채널을 추가 지원하는 Haptic 기반 IPTV STB개발
☞광주5
22
지능형 홈 영상보안 및 에너지 제어 시스템 개발
☞광주6
23
자동차부품(금형및전장모듈)
초소형 자가발전기가 집적화된 MEMS 기반 TPMS 개발
☞광주7
24
지능형 자동차용 전자식 미러 시스템 개발
☞광주8
25
대 구
섬 유
건축용 다기능 하이브리드 섬유제품 개발
☞대구1
26
High-tech특수 목적용 Extreme Wear의 가공기술 및 제품개발
☞대구2
27
모바일
DSRC/WAVE 기반의 차량용 융합단말기 및 시스템 개발
☞대구3
28
차세대 융합미디어 Core 단말 및 확장 플랫폼 개발
☞대구4
29
대 전
정보통신
2차원 이미지를 위한 초소형 레이더 센서 플랫폼 개발
☞대전1
30
TV 공중파를 이용한 무선전략 에너지 획득장치 및 USN 적용기술개발
☞대전2
31
바이오
미래 보건의료 진단시장 선도형 핵산기반 암 분자진단 통합시스템 개발
☞대전3
32
의약 전환 개발 (Drug Repositioning)을 위해 키나아제(kinase) 표적 항암제의 신규 적응증을 가진 신약 후보물질 개발
☞대전4
33
메카트로닉스
폐쇄된 극한환경에서 자원개발을 위한 지능형 로봇 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기획
☞대전5
34
장애물 극복 수직형 파이프 안전진단 로봇에 관한 기술/제품개발
☞대전6
35
첨단부품소재
고전도도 특성을 갖는 Hybrid 나노복합체 및 나노도료 제조 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기획
☞대전7
36
PDLC와 미세 금속 패턴 소재를 이용한 차세대 입력 장치 기술 개발
☞대전8
37
부 산
기계부품,소재(자동차,조선기자재)
복합 열공정 기술을 이용한 고강도 차체부품 개발
☞부산1
38
선박용 저온/고출력 및 방폭형 차세대 LED 조명등기구 개발
☞부산2
39
영상·IT(초정밀융합부품)
SSPA방식 다기능 SMART Radar개발
☞부산3
40
지능형 전력관리시스템 기반의 수직축 중소형 풍력발전기 개발
☞부산4
41
해양(해양바이오)*
해양 천연소재와 기능성 발효산물을 이용한 음료용 칼슘 제조기술개발
☞부산5
42
해양생물유래 항암 면역치료제 및 생물요법제 산업화기술 개발
☞부산6
43
울 산
자동차
전기자동차용 소형 고효율 공기 블로워 시스템
☞울산1
44
Warm Forming 적용 가변 템퍼링 다이 및 고강성 차체 부품 기술 개발
☞울산2
45
정밀화학
1-3 Nm3/hr급 고출력 수소발생 촉매모듈 및 시스템 양산설계 기술개발
☞울산3
46
친환경 내열성 고분자 첨가제 개발
☞울산4
47
조선해양
선박용 초속건성 방청 도료 및 관련 도장 장비 개발
☞울산5
48
선박용 차세대 전계장 제어기 플랫폼 개발
☞울산6
49
환 경
가스하이드레이트 원리를 이용한 고효율 에너지 절감형 하이브리드 해수담수화 공정 개발
☞울산7
50
하수처리장 방류수 및 공업용수 재이용을 위한 하이브리드 막분리 시스템 개발
☞울산8
51
전 남
생물(건강지향식품(백신산업포함))
천연물 발효추출물 및 펩타이드를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품개발
☞전남1
52
해조류 유래 건강지향형 기능성 식품개발 및 제품화에 관한 기술·제품개발
☞전남2
53
신소재·조선(기능성경량소재,중소형조선)
균일화 합금법에 의한 고내식 타이타늄 부품소재 제조기술개발
☞전남3
54
선박용 자동 역세정 필터시스템에 관한 기술/제품개발
☞전남4
55
첨단주력산업 대응 대형 비산화물 구조세라믹 소재기술개발
☞전남5
56
전 북
자동차·기계
EURO 6 대응 클린디젤 상용차용 플라즈마(펄스 코로나) 배기가스 처리장치 개발에 관한 연구기획
☞전북1
57
상용차용 차세대 시트모듈 핵심기술개발에 관한 연구기획
☞전북2
58
자동차용 에너지절감혀여 열적외선 능동제어 윈도우에 관한기술/제품개발에 관한 연구기획
☞전북3
59
고효율 Hybrid(연료+배기가스+온수) 흡수식 냉온수기 개발에 관한 연구기획
☞전북4
60
RFT
방사선 융합기술 이용 첨단 고분자 소개 및 가공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기획
☞전북5
61
고휘도 마이크로포커스 엑스선 광원 응용 의료영상장치 개발에 관한 연구기획
☞전북6
62
생 물
서동마(Dioscorea)의 유용성분 증진에 의한 LOHAS 지향 바이오소재 및 제품개발에 관한 연구기획
☞전북7
63
천연물 유래 면역증강 기능성 식품 신소재 개발에 관한 연구기획
☞전북8
64
제 주
바이오(건강뷰티생물산업)*
실버산업 대응 기능성 식품 개발
☞제주1
65
친환경 바이오 소재를 이용한 항노화 향장품 원료 및 제품개발
☞제주2
66
IT산업 (디지털컨텐츠산업)*
다기능/다매체 컨버전스 수신 기술 개발
☞제주3
67
충 남
전자정보기기
대면적 태양전지모듈 조립 검사공정 인라인 복합화 시스템 개발
☞충남1
68
차세대 Cu 배선용(32m급 이상) 고 종횡비 스퍼터 장비 개발
☞충남2
69
자동차.부품
환경규제 대응 자동차용 대체냉매 공조 시스템 기술개발
☞충남3
70
고연비 Dual clutch Transmission 개발
☞충남4
71
첨단문화
E-sports 혁신을 위한 몰입형 헬스기구 개발
☞충남5
72
감성콘텐츠의 웹&모바일 서비스 시스템 구축
☞충남6
73
농축산바이오
양돈용 바이러스 재조합 다가백신 개발
☞충남7
74
동물자원산업의 바이오매스(Biomass) 활용기술
☞충남8
75
충 북
바이오산업
서방형 단백질(펩타이드)의약품의 제형 및 공정기술개발
☞충북1
76
소화기계 질환용 저분자/천연물 의약품에 관한 기술/제품개발
☞충북2
77
반도체산업
초정밀 웨이퍼 제작을 위한 diamond coated 공구개발
☞충북3
78
포토마스크용 헤이즈 가속 검출기 개발
☞충북4
79
전기전자융합부품 산업
무선 LAN 복합기능을 갖는 HSPA 무선모뎀 개발
☞충북5
80
포토 마스크용 대형 유리 평판의 정밀연마 및 검사 시스템 개발
☞충북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