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사업공고

2019년도 2차 바이오 의료기술개발사업 신규과제 선정계획 공고

  • 등록일2019-02-07
  • 조회수3768
  • 공고기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공고마감일
    2019-03-14 00:00
  • 원문링크
  • 첨부파일

 

 

2019년도 2차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신규과제 선정계획 공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가 과학기술 경쟁력 강화와 국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신약, 줄기세포, 유전체, 의료기술 등 미래 유망 바이오기술 분야의 원천기술 개발을 위해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2019년도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의 신규과제 선정계획을 공고하오니 과제를 수행하고자 하시는 해당분야 연구자께서는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19년 2월 1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유영민

 

====================================================================================

 

 

1. 사업 개요
 ○ 사업명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 추진목적
   - 국민 생명과 건강에 직결된 바이오 및 첨단의료 분야 핵심 원천기술 확보 및 바이오 경제시대를 주도하는 산업화 지원


 ○ 사업내용
   - 신약, 줄기세포, 유전체, 차세대의료기술 등 미래 유망 바이오 · 의료기술에 대한 연구개발 투자 및 바이오 인프라 구축 등


2. 선정 계획


 ○ 선정규모 : 5개 내역사업(7개 연구주제)/31개 과제 내외/93.025억 원 내외
  ※ 총괄과제 및 단위과제 정의
    - 단위과제 : 1개 과제로 구성(위탁과제 포함 가능)
    - 총괄과제 : 2개 이상의 세부과제로 구성(세부과제 하위에 위탁과제 포함 가능)


○ 내역사업별 신규과제 개요 [표1]

 

내역사업

세부사업

연구주제

번호

연구주제명

선정 예정

과제 수

연구주제별

지원규모

신약개발

신약타겟발굴

및 검증

A9-19-2-01

신약 타겟 검증 및 유효성 평가 시스템 확보

분야1: 암 질환 분야

분야2: 면역?염증 질환 분야

분야3: 대사?신경 질환 등 기타질환 분야

단위 16개 내외

1940.5억원 내외

(연구과제당 2.6,

연구지원과제 1.5)

2

차세대의료

기술개발

차세대의료기기
플랫폼기술

A9-19-2-02

신개념의료기기 원천기술개발

분야1: 진단 및 치료기기 융합 원천기술개발

분야2: 생체재료 기반 의료기기 원천기술 개발

총괄 3개 내외

1915.3억원 내외

(과제당 5.1)

5(3+2)

차세대

바이오

차세대응용 오믹스

A9-19-2-03

단일세포 오믹스 기반 질병기전 이해

총괄 3개 내외

1916.875억원 내외

(과제당 5.7)

5(3+2)

미래의료혁신

시장연계 미래 바이오기술개발

A9-19-2-04

산학연병 협력 기업창출형 혁신기술개발

분야1: 신약 분야

분야2: 의료기기 분야

단위 31개 내외 *

194.5억원 내외

(과제당 0.53)

4개월5(1+2+2)

A9-19-2-05

글로벌 진출 유망 의료기기 원천기술개발
(바이오 아이코어사업)

단위 41 내외 *

194.6억 원 내외 (과제당 0.43)

4개월3(2+1)

첨단GW

바이오

미생물제어 및 응용원천기술

개발

A9-19-2-06

인체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파마바이오틱스 개발

총괄 1개 내외

193.75억원 내외

5(3+2)

A9-19-2-07

산업동물 마이크로바이옴 뱅킹 및 제제 개발

총괄 1개 내외

197.5억원 내외

5(3+2)

 

○ 연구주제별, 연차별 연구기간 및 과제별 지원규모 [표2]

 

연구주제
번호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4차년도

5차년도

연구기간

정부

출연금

연구기간

정부

출연금

연구기간

정부

출연금

연구기간

정부

출연금

연구기간

정부

출연금

A9-19-

2-01

연구과제

2019.6.1.~

2020.2.29.

(9개월)

2.6

2020.3.1.~

2020.12.31.

(10개월)

2.9

-

-

-

-

-

-

지원과제

1.5

1.6

A9-19-
2-02

2019.6.1.~

2020.2.29.

(9개월)

5.1

2020.3.1.~

2020.12.31.

(10개월)

5

2021.1.1.~

2021.12.31.

(12개월)

6

2022.1.1.~

2022.12.31.

(12개월)

6

2023.1.1.~

2023.12.31.

(12개월)

6

A9-19-
2-03

2019.6.1.~

2020.2.29.

(9개월)

5.7

2020.3.1.~

2020.12.31.

(10개월)

6.2

2021.1.1.~

2021.12.31.

(12개월)

7.5

2022.1.1.~

2022.12.31.

(12개월)

7.5

2023.1.1.~

2023.12.31.

(12개월)

7.5

A9-19-
2-04

선행기획

2019.6.1.~

2019.9.30.

(4개월)

0.5

-

-

-

-

-

-

-

-


과제

2019.6.1.~

2020.2.29.

(9개월)

3

2020.3.1.~

2020.12.31.

(10개월)

4.1

2021.1.1.~

2021.12.31.

(12개월)

5

2022.1.1.~

2022.12.31.

(12개월)

5

2023.1.1.~

2023.12.31.

(12개월)

5

A9-19-
2-05

예비창업

2019.6.1.~

2019.9.30.

(4개월)

0.4

-

-

-

-

-

-

-

-

본 과제

2019.6.1.~

2019.2.29.

(9개월)

3

2020.3.1.~

2020.12.31.

(10개월)

3

2021.1.1.~

2021.12.31.

(12개월)

3

 

 

 

 

A9-19-
2-06

2019.6.1.~

2020.2.29.

(9개월)

3.75

2020.3.1.~

2020.12.31.

(10개월)

4.1

2021.1.1.~

2021.12.31.

(12개월)

5

2022.1.1.~

2022.12.31.

(12개월)

5

2023.1.1.~

2023.12.31.

(12개월)

5

A9-19-
2-07

2019.6.1.~

2020.2.29.

(9개월)

7.5

2020.3.1.~

2020.12.31.

(10개월)

8.3

2021.1.1.~

2021.12.31.

(12개월)

10

2022.1.1.~

2022.12.31.

(12개월)

10

2023.1.1.~

2023.12.31.

(12개월)

10

 

3. 신청 자격 및 절차


 ○ 신청 대상
   - 기초연구진흥 및 기술개발지원에 관한 법률 제14조(특정연구개발사업의 추진)에 해당하는 기관 및 해당기관 소속 연구자
 ○ 신청 제한(신청 마감일 기준)
   - 국가연구개발사업 참여제한 기간이 종료되지 않은 기관 또는 연구자 등
   - 수행 중인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개발과제(단위 또는 세부과제 기준)가 5개이거나 연구책임자로서 수행하고 있는 과제가 3개인 연구자

 

 

4. 신청 방법 및 일정
 ○ 온라인 신청 기간(6주)
   - (연구자 신청 기간) 2019.2.1.(금) ~ 3.14.(목) 18:00
   - (주관기관 승인 기간) 2019.2.1.(금) ~ 3.18.(월) 18:00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