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동향
BT-측정진단기술 ③ GMO 트렌드
- 등록일2008-05-16
- 조회수11160
- 분류특허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08-05-14
-
출처
특허청
- 원문링크
-
키워드
#GMO
출처 : 특허청
BT-측정진단기술 ③ GMO 트렌드
최근 조류독감 및 광우병의 확산 그리고 식품원료용 GMO제품의 수입이 증가하면서 이로 인한 식품 안정성 및 식량 확보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GMO 식물은 해충이나 나쁜 환경에 저항성을 가지고 신속하게 자라는 장점이 있어 이의 개발은 식량확보의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으나, 정상 작물과의 교잡을 통한 생물다양성 파괴 및 GMO식품의 안정성 위해에 대한 잠재적 우려도 있어 연구개발 및 상업적 이용에 제한이 있었다.
최근 조류독감 및 광우병의 확산 그리고 식품원료용 GMO제품의 수입이 증가하면서 이로 인한 식품 안정성 및 식량 확보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식품 안정성 및 식량 확보의 방안으로 제기된 기술은 유전자 마커를 이용하는 조류독감 및 광우병의 확인, 프리온 및 인플루엔자 검출, 한우의 판별, GMO 생산, GMO 확인 등 측정진단 분야의 응용기술을 들 수 있다.
1990~2007년 사이의 해당 응용 기술의 특허출원량은 GMO 생산 및 확인 205건, 프리온 검출 45건, 인플루엔자 검출 26건, 한우 선발 14건, 식물병 검출 9건으로 분석되었다. GMO 생산 및 확인 분야는 식품 안정성 및 식량 확보에 대한 니즈가 증가함에 따라 관련 기술의 특허출원도 매년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고, 프리온 검출, 인플루엔자 검출, 한우 선발, 식물병 검출 분야는 연도별 상관성은 없으며, 조류독감, 광우병, 소나무 재선충 등 동식물 병 확산의 문제가 제기되면서 2000년대 초부터 주로 특허출원이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GMO 식물은 해충이나 나쁜 환경에 저항성을 가지고 신속하게 자라는 장점이 있어 이의 개발은 식량확보의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으나, 정상 작물과의 교잡을 통한 생물다양성 파괴 및 GMO식품의 안정성 위해에 대한 잠재적 우려도 있어 연구개발 및 상업적 이용에 제한이 있었다.

최근에는 이러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대체에너지자원 확보 문제도 함께 대두되고 있어 식량자원 확보뿐만 아니라 대체에너지자원 확보의 두 마리 토끼를 한 번에 잡을 수 있는 수단인 GMO 작물의 개발이 더 많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이며, 특히 GMO의 문제점인 생물다양성 파괴 및 GMO식품의 안정성 위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유전자 발현을 시간적 공간적으로 조절하는 기술개발에 집중적인 노력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BT-측정진단기술 ① 특허 트렌드
-
다음글
- 중국의 특허권 보호제도
관련정보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