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특허동향

중소기업의 기술도입 현황 및 시사점

  • 등록일2017-08-03
  • 조회수6441
  • 분류특허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7-07-13
  • 출처
    한국지식재산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중소기업#기술도입
  • 첨부파일

출처 : 한국지식재산연구원

 

중소기업의 기술도입 현황 및 시사점

 

 

변혜영 선임연구원 / 한국지식재산연구원 조사분석팀

 

 

※ 본 보고서 내용은 필자의 개인적인 견해이며, 한국지식재산연구원의 공식적인 의견이 아님을 밝힙니다.

 

 

[요약문]

 

외부 혁신 주체와의 협력을 통해 혁신 성과를 극대화 하는 개방형 혁신의 프레임은 지속적인 이익 창출 및 생산성 제고를 위한 기업 전략의 하나로 자리 잡음. 특히 중소기업의 개방형 혁신활동은 빠르게 기술이 변화하는 시장에 대응하는 중요한 생존 전략으로 인식되고 있으나, 중소기업의 특성 상 자체적으로 기술을 개발하여 활용하거나, 외부 시장 환경을 분석하여 필요한 자원을 선택하고 집중하는데 어려움이 있음. 여기서는 중소기업의 성공적인 개방형 혁신 유형으로서 기술도입으로 대표되는 내향적 개방형 혁신의 특징을 살펴보고 주요 현황 및 사례를 통한 시사점을 검토하고자 하였음
 

 

Ⅰ. 검토 배경

 

□ (개요) 기술 수명 주기가 짧아지고 혁신에 많은 비용을 투자하는 것이 점점 위험해짐에 따라, 외부 지식의 획득 및 도입이 중요한 생존 및 성장의 원천으로 인식되고 있음


○ 개방형 혁신은 주로 폐쇄형 혁신과 대비되는 이분화된 프레임으로 사용되어 왔으나, 개방의 방향에 따라 내향적 개방형 혁신과 외향적 개방형 혁신의 세분화된 연구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음 (이혜, 2016)
   

20170713-003.jpg


 

○ 통상적으로 개방형 혁신의 프레임은 많은 자원 및 다양한 외부 네트워크를 가진 대기업에게 유리하게 작용함


○ 그러나, 최근 중소기업의 경우에도 필요한 자원의 선택적 도입을 통한 내향적 개방형 혁신을 효율적인 혁신 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중


  * 중소기업의 경우 혁신을 외부로 이전하는 이른바 외향적 개방형 혁신의 빈도와 동기는 매우 부족하지만, 기술 또는 혁신결과를 외부로부터 도입하는 내향적 개방형 혁신의 경우 기업 성과에 매우 유효할 수 있음 (문혜선, 2013)

 

 □ (검토 배경) 여기서는 중소기업의 성공적인 개방형 혁신 유형으로서 기술도입으로 대표되는 내향적 개방형 혁신의 특징을 살펴보고 주요 현황 및 사례를 통한 시사점을 검토하고자 하였음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