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바이오산업의 발전을 위한 글로벌 네트워킹 동향과 시사점
- 등록일2007-12-21
- 조회수7621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07-12-18
-
출처
산업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바이오산업
- 첨부파일
바이오산업의 발전을 위한 글로벌 네트워킹 동향과 시사점
요약
바이오산업은 연구개발 비중이 크고 원천기술 확보가 중요한 기술집약적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서, 전 세계 각국이 정책적으로 지원 및 육성하고 있는 차세대 성장동력산업의 하나이다. 우리나라 역시 1983년「생명공학육성법」을 제정한 이래 바이오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적극적인 정책 지원과 세계적인 기술 발전 동향 등에 힘입어 우리나라 바이오 산업은 1994∼2006년간 연평균 28%의 고성장을 시현하였다.
하지만 선진국과의 경쟁이 필연적인 바이오산업에서 우리나라는 연구개발투자 절대 규모의 약세, 인적 자원을 포함한 각종 연구개발 자원의 한계, 내수시장 규모의 제한성과 같은 취약성을 보유하고 있다. 따라서 종합적이고 효율적인 정책과 전략을 통해 이러한 약점을 극복하고 우리나라 바이오산업을 실질적인 주력산업으로 혁신하여야겠다. 이를 위해서는 급속한 기술 발전과 함께 증가된 제품화 실패 위험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개방형 혁신 패러다임을 바이오산업 발전전략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 즉, 국내적인 연구개발 및 제품화 역량을 강화하는 정책과 더불어 해외 연구개발및 제품화 역량과의 네트워킹과 협력을 보다 실질적으로 촉진하는 정책이 추진되는 것이 중요하다.
미국, 중국, 일본, 싱가포르 등 주요국에서는 자국 내 바이오산업 자원과 역량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글로벌 네트워킹을 매우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에 비해 우리나라의 글로벌 네트워킹 전략은 아직까지 미흡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최근 미국 내 바이오 분야 한인 연구자들의 증가와 함께 연구개발 네트워크가 형성되는 등 우리나라의 글로벌 네트워킹 가능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재외 연구자 네트워크를 더욱 활성화하여 궁극적으로 우리나라 바이오산업의 글로벌 네트워킹 거점이 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지역전략산업 육성정책의 성과분석과 시사점
-
다음글
- 독일, 나노테크놀로지 동향
관련정보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