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우리나라 신기술 산업의 현주소와 시사점

  • 등록일2008-03-17
  • 조회수5393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08-03-17
  • 출처
    산업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신기술 산업#신기술
  • 첨부파일


우리나라 신기술 산업의 현주소와 시사점



[요 약]

○ IT, BT, NT를 포괄하는 신기술 산업은 원천기술의 확보가 중요한 만큼 BT, NT 분야에 대한 R&D 투자 비중을 높일 필요
- 신기술 분야의 선진국인 미국, 일본, 독일 등과 비교했을 때 BT와 NT에 대한 R&D 투자의 절대액과 비중이 낮아 획기적인 투자 확대가 필요

○ 특히 타 산업에의 파급효과, 투자의 효율성 등의 측면에서 NT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음.
- NT는 IT를 비롯하여 여타 제조업, 항공우주 및 수송기계, 국방, 환경, 의료 및 BT 등의 기반기술로서 활용할 수 있어 타 산업에의 경제적 파급효과가 큼.
- IT산업의 경우 NT를 통한 새로운 기술 패러다임을 구축할 필요가 있으며 NT 와 IT의 접목은 향후 IT산업의 발전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전망
- 국제 학술논문이나 미국 특허 관점에서 국제적인 기술경쟁력이 높은 NT의 활용도를 높이는 것이 R&D 투자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방향이기도 함.

○ 기술 확보 전략으로 BT, NT 분야의 국제공동연구가 필요함.
- 바이오, 고분자, 정보매체, 유기화학 등의 분야는 미국 특허 중 국제공동연구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 향후 BT와 NT 분야의 국제공동연구를 촉진하는 정책이 필요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