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산업기술인력 양성정책의 새로운 방향

  • 등록일2008-03-25
  • 조회수6509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08-03-20
  • 출처
    산업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산업기술
  • 첨부파일

산업기술인력 양성정책의 새로운 방향

 
 
산업연구원은 e-Kiet 산업경제정보(제388호) ‘산업기술인력 양성정책의 새로운 방향’에서 지난 반세기 동안 우리나라의 교육?인적자원개발 정책은 산업발전단계에 따른 인력수요를 충족하도록 수립?집행되었으나(‘산업발전→교육확대’), 다른 한편으로는 산업발전에 앞서 양질의 인력을 공급함으로써 산업발전을 선도( ‘교육확대→산업발전’)하였다고 밝혔다.

1990년대 이후 ‘사람’과‘지식’이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지식기반경제하에서는 교육이 산업발전을 이끌 수 있는 가능성이 부각되고 있다. ‘교육 → 산업’방향이 중요해짐에 따라, 정부는 인적자원개발기본법을 제정하고(2002년), 부처에서 산재되어 집행하고 있던 각종 인적자원정책의 총괄?조정을 시도하였으나, 부처 간 협력체계가 제대로 구축되지 않아 효과가 미흡했다.

우리나라에 적합한 개방형 산학협력 인력양성체제의 구축은 새로운 산업(혹은 과학)기술인력 양성정책의 핵심과제 중의 하나이다. 글로벌 환경에 조화되면서 산업혁신을 선도할 수 있는 다중적인 산학협력 인력양성체제의 구축은 대학 특성화의 진전과 연계되어 있으므로, 정부의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며 산학협력 인력양성체제는 교육?인적자원개발 시스템이 산업의 수요에 부응하는 데 기여함으로써 교육이 산업발전을 이끌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인다.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