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세계 10대 국가경쟁력 강국과 우리나라의 경쟁력 비교 분석
- 등록일2008-06-04
- 조회수9157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08-05-30
-
출처
산업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국가경쟁력#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
- 첨부파일
세계 10대 국가경쟁력 강국과 우리나라의 경쟁력 비교 분석
○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IMD)의「2008년 세계경쟁력 보고서」에 따르면, 조사대상 55개국 중 우리나라의 국가경쟁력은 지난해에 비해 2단계 하락한 31위를 기록
- 1994년 이후 국가경쟁력 1위를 유지하고 있는 미국의 경쟁력을 100으로 평가하였을 때, 우리나라의 경쟁력 수준은 58.884로 지난해(61.564)보다 하락 하였으나, 2006년(56.680)보다는 상승
○ 2008년 10대 국가경쟁력 강국은 미국, 싱가포르, 홍콩, 스위스, 룩셈부르크, 덴마크, 호주 등(순위 순)이며, 이들 중 호주는 지난해 12위에서 7위로 새로이 10위권 내 국가로 진입
○ 331개 세부 조사항목 분석에서 우리나라는 생활비용지수(122.4), 노사관계 생산성(3.0) 및 문화
적 개방성(4.5), 기술규제가 개발·혁신을 촉진하는 정도(4.1) 등 4개 항목에서 최하위를 기록
○ 이들 조사항목의 세계 10대 국가경쟁력 강국의 평균은 각각 94.5, 7.5, 7.7, 7.3 등으로 나타나 우리나라와 큰 격차
○ 또한 경쟁력 약점 항목은 과거에도 낮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나 경쟁력 취약요인이 상당 기간 지속되어 구조적으로 고착화 우려
○ 우리나라가 경쟁력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경쟁력 최하위로 평가받은 항목이 집중되어 있
는 정부효율분야의 기업관련 입법부문과 연관된 규제의 개선과 개방화 노력을 가속화할 필요
- 1994년 이후 국가경쟁력 1위를 유지하고 있는 미국의 경쟁력을 100으로 평가하였을 때, 우리나라의 경쟁력 수준은 58.884로 지난해(61.564)보다 하락 하였으나, 2006년(56.680)보다는 상승
○ 2008년 10대 국가경쟁력 강국은 미국, 싱가포르, 홍콩, 스위스, 룩셈부르크, 덴마크, 호주 등(순위 순)이며, 이들 중 호주는 지난해 12위에서 7위로 새로이 10위권 내 국가로 진입
○ 331개 세부 조사항목 분석에서 우리나라는 생활비용지수(122.4), 노사관계 생산성(3.0) 및 문화
적 개방성(4.5), 기술규제가 개발·혁신을 촉진하는 정도(4.1) 등 4개 항목에서 최하위를 기록
○ 이들 조사항목의 세계 10대 국가경쟁력 강국의 평균은 각각 94.5, 7.5, 7.7, 7.3 등으로 나타나 우리나라와 큰 격차
○ 또한 경쟁력 약점 항목은 과거에도 낮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나 경쟁력 취약요인이 상당 기간 지속되어 구조적으로 고착화 우려
○ 우리나라가 경쟁력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경쟁력 최하위로 평가받은 항목이 집중되어 있
는 정부효율분야의 기업관련 입법부문과 연관된 규제의 개선과 개방화 노력을 가속화할 필요
내용바로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About the European Science Foundation 2008
-
다음글
- The Ten-Year Plan for Science and Technology_South Africa
관련정보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