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보건의료 R&D 중장기 추진전략

  • 등록일2008-08-28
  • 조회수9866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08-08-28
  • 출처
    과학기술정책정보시스템
  • 원문링크
  • 키워드
    #보건의료
  • 첨부파일

보건의료 R&D 중장기 추진전략

 
 
1. 개요

 ○ 수요친화적 보건의료 R&D 추진으로 공공복지·삶의 질을 향상하고, 국민소득 3만불 시대를 위한 미
     래 성장산업
     기반 확립
- 「제1차 과학기술기본계획(’02~’06)」 중 보건의료분야는 새로운 의약의 개발 및 산업화 등 건강한 생
    명사회 지향을 위한 기술 확보를 포함
- 삶의 질 향상 등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국가 R&D사업 Total Roadmap」(07.1), 「기술기반 삶
   의 질 향상 종합대책」(07.8) 등 제시
 ○ 소득수준의 향상, 고령화 사회의 진입 및 질병구조의 변화 등 새로운 정책수요를 반영한 종합적인
     보건의료 R&D 중장기계획 마련 필요

2. 현황 분석 

(1) 주요국의 정책동향
 ○ 미국 : 보건성(HHS) 산하의 NIH는 질환 또는 연구분야를 중심으로 27개 연구소 및 센터로 구성되  
     어 있으며, 이들을 통해 연구비 지원
- 질병의 사회?경제적 심각도 및 미래사회 대응 등과 관련하여 연구비 지원(연간 예산은 약 285억달
   러, 2006)
※ 암(NCI, 4,790M$, 16.8%), 면역·감염(NIAID, 4,331M$, 15.2%), 심장·폐·혈액질환(NHLBI, 2,920M$,
    10.3%), 당뇨·소화기·신장질환(NIDDK, 1,854M$, 6.5%), 신경계·뇌졸중(NINDS, 1,534M$, 5.4%)
- 질병부담, 질병극복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과제를 평가?선정하고, 임상연구, 신진 연구자 양성, 분
   야별 협력연구에 대한 투자를 확대
※ NIH 성과 평가시 과제별 성과보고서 기재내용(Scientific Research Outcomes)에 질병극복 내용
    기재
- 연구개발 부분에서 지식창출, 기술상업화를 위한 중심역할로서 병원의 중개연구의 중요성 인식
- 의료산업의 경제적?보건의료적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대학/연구소, 병원, 기업의 유기적 네트워
   크 조성

 ○ 영국 : 보건의료 R&D 성과가 국민건강과 경제적 부가가치로 이어질 수 있도록 조정하기 위한
     OSCHR* 설립
* OSCHR : Office for Strategic Coordination of Health Research
- 질병 기전연구 중심의 MRC와 실용화 연구 중심의 NIHR로 이원화된 보건의료 R&D 지원을 OSCHR
   를 통해 조정 역할 수행
· ´08~´10년도  MRC 연구비의 80%를 OSCHR-related plan에 투자할 계획이며, 기존의 20%에 불과
  하던 중개연구에 1.3억 파운드를 추가로 투자하고 OSCHR 및 DH의 정책방향에 맞춰 질병 중심 연구
  로 전환
· 질병우선순위에 따라 암, 천식, 심혈관질환과 뇌졸중, 당뇨, 1차의료, 정신질환 등에 대해 「National
  R&D Program」 지원
- 「MRC’s 10 Year Vision for Future, 2004」를 통해 임상연구, 공중보건/집단연구, 정신 및 뇌과학,
   나노기술, 줄기세포연구를 최상위 과제로 선정(질환의 위험도 순위에 따른 R&D 예산 배분 권장)
 
○ 일본 : 보후생노동성은 개인 맞춤의 의료체제 실현을 위해 신약 개발·진단, 진단·치료기기 및 재생의
    료 등에 의해 목표 실현 추구
- 후생노동성 내 임상시험 부서를 설립하고 5개년 임상시험 활성화방안을 통해 임상시험 투자 및 유
   치노력 증진(´07)
· 임상시험 인프라 구축사업을 통해 다국가 임상시험 수행 가능한 10개 핵심임상시험센터, 30개 주요
  임상시험센터구축
- ´95년 고베대지진으로 인해 침체된 지역경제 복구, 고령화에 대비, 의료복지의 질 제고를 목적으로
    의료산업단지 구축 추진
· 중개연구 및 임상 연구에 집중하고, 의료도시 외부의 대학 및 연구소와 원활한 네트워크 구축으로 지
  역경제 복구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