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일본, BT전략추진에 관한 정책제언 보고서

  • 등록일2008-09-17
  • 조회수7633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일본, BT전략추진에 관한 정책제언 보고서

 

 
본 보고서는 일본 내각부에 설치된 "BT추진전략관민회의"에 대해 일본바이오인더스트리(산업)협회내 바이오산업인회의(바이오산업 대표자회의)가 제언한 내용임.
 
 
1. 서론
 
오늘날 지구 규모의 과제로 인구증가, 기아·식량문제 해결, 환경문제 극복, 저탄소 사회 실현, 신 에너지 개발 등에 직면하고 있다

또, 일본으로서는 저출산·고령화가 진행하는 가운데, 최첨단의 의료·진단·신약기술을 국민의 행복으로 연계하는 중요한 과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새로운 식료 생산기술, 환경 부하 저감 기술, 질병 예방·진단·치료 기술 등의 개발을 통한 해결에 BT는 크게 공헌할 것이다.
 
2. BT기술의 산업화 촉진과 사회제도에 대한 문제 의식
 
일본의 높은 기초 연구력·성과를 빨리 사회에 도입하기 위한 제도나 시스템의 미비, 국민 이해의 부족이 있으며, 규제 해제, 수직관계 행정 개선 등 긴급하게 해결해야 할 문제가 있다.

예를 들면, 식량·에너지 문제 해결에 기대되는 일본의 식물 바이오 기술(유전자 재조합 기술)은 세계적인 연구수준이지만, 사회로의 수용이 진행되지 않아 실용화가 전혀 진행되지 않았다. 반면, 해외로부터의 바이오 작물 수입은 매년 증가해, 세계 최고의 수입국가가 되고 있다.
 
3. 신기술의 산업화를 촉진하는 새로운 BT전략의 책정
 
일본의 바이오 기술의 산업화에 한층 강할 의사를 가지고 변혁에 임할 필요가 있다. 저출산·고령화 가운데 국제 경쟁력을 높이고, 건강하고 풍부한, 활력 있는 사회를 쌓아 올리는 국가 전략을 다시 재차 작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국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강력한 시책이 필요하다.

바이오·생명과학 산업은 기술을 베이스로 하고 있어, 그 성공에는 긴 시간이 필요하고, 계속적인 산학관이 제휴한 자원 투입 전략이 필요하다. 바이오 산업이 글로벌인 국제 경쟁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이노베이션을 지속적으로 창조하는 연구자와 산업화로의 열의를 가지고 임하는 기술자, 능력 높은 관리자 등의 인재육성이 불가결하다. 바이오 산업의 육성에는 바이오 벤처나 클러스터 육성, 지적 재산권 확립 등의 인프라 정비도 중요하다.
 
 
☞ 내용바로가기를 이용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