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국가융합기술 발전 기본계획(‘09~‘13)

  • 등록일2008-12-17
  • 조회수9352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08-12-16
  • 출처
    과학기술정책정보시스템
  • 원문링크
  • 키워드
    #융합
  • 첨부파일

국가융합기술 발전 기본계획(‘09~‘13)

 
1. 수립배경 및 의의

 ○ 차세대 기술혁명은 NT, BT, IT 등 신기술간 또는 이들과 타 분야와의 상승적 결합을 통한 “융합기술”이 주도할 것으로 예측
 ○ 지금까지 우리는 국가 차원에서의 융합기술 육성에 관한 종합적·체계적 전략이 없이 부처별로 개별·분산 추진
     ※ 미국 :「인간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융합기술 전략(NBIC, ’02)」
     ※ 유럽연합 :「지식사회건설을 위한 융합기술 발전전략(CTEKS, ’04)」
 ○ 국과위의 ‘기본방침(’07.4)’에서 제시한 권고·실천사항을 토대로「국가융합기술 발전 기본계획」의 수립·추진이 시급
   - 정부 부처별 역할분담에 대한 기본방향을 제시함으로써 부처간 연계 및 협력의 고도화 기여
   - 국가융합기술개발사업의 기획·평가·예산배분에 중장기 추진전략으로 활용
* 참부파일 참조 - 융합기술의 신정의
 
 
2. 추진현황 및 역량 수준

 ○ 추진 현황 및 문제점
   - [정부] 7개부처를 중심으로 융합기술개발 관련 육성정책이 추진되고 있으나, 범부처적인 협의 및 조정이 필요한 실정
     ※ ’08년 융합분야 R&D예산(인력부문포함) 규모: 약 9,680억원(정부R&D예산의 8.74%수준)
   - [출연(연)] 융합기술 연구조직의 구성을 통해 강점이 있는 분야를 기반으로 한 융합 연구를 추진중이나 출연(연)간 연계·협력은 부족
    ※ 미래융합기술연구소(KIST), 바이오나노연구단(생명(연)), 융합기술연구부문(ETRI) 등
   - [대학] 융합관련 대학원 및 연구소 설립 등을 통해 융합기술 인력 양성 및 다학제 연구가 진행중이나 프로그램 등이 부족
    ※ 신기술융합학과(건국대), 나노반도체공학과(한양대) 등
   - [기업] 일부 대기업과 벤처기업에서 융합기술을 이용한 제품 개발 및 상용화 추진
    ※ 바이오칩/랩온어칩(삼성전자), 바이오인포메틱스(LG화학) 등
 ○ 국내 역량
   - [융합기술 수준] 초기단계로 선진국 대비 50%∼80% 수준
    ※ 양자컴퓨터(50% 수준), 나노일렉트로닉스 및 바이오인포메틱스(80% 수준)
   - [SCI 논문 순위] 전체적으로 세계 10위권 유지
    ※ ’01~’07년간 융합기술 관련 SCI 게재 논문 86,154편 중 우리나라는 2,651편으로 3.1% 점유(10위)
   - [국제특허 비중] 감성네트워크 분야는 높은 반면, 메카트로닉스 등의 분야는 매우 낮음

    ※ 메카트로닉스(1.9%), 미래에너지환경(6.7%), 감성네트워크(24.2%) 등.............계속
 
 
 
 
☞ 자세한 내용은 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