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중국]바이오경제 발전은 금융위기에 대응하는 중요한 조치
- 등록일2009-03-05
- 조회수10517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09-03-04
-
출처
한중과학기술협력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바이오경제#금융위기#바이오경제대회
바이오경제 발전은 금융위기에 대응하는 중요한 조치
2009년 아태지역국가 바이오경제대회가 야부리(?布力) 국제전시센터에서 개최되었다. 중국, 러시아, 캐나다 등 10여개 국가와 지역에서 온 700여명의 대표들이 한자리에 모여 금융위기 대응책과 아태지역국가의 바이오경제발전을 위한 좋은 계책을 강구하였다.
만강(万?, Wan Gang) 정협 부주석 겸 과기부 부장이 회의에 참석하여 연설하였다. 율전서(栗??, Li Zhanshu) 흑룡강성 성장과 이가양(李家洋, Li Jiaxiang) 중국과학원 부원장이 각각 축사를 발표하였다. 제양(??, Ji Rang) 중국과학기술협회 부주석 겸 서기처 서기가 회의에 참석하고, 장경안(?景安, Zhang Jingan) 과기부 당소조 구성원 겸 과기일보사 사장이 주제 연설을 하였다. 손요(??, Sun Yao) 흑룡강성 부성장이 회의를 진행하였다.
만강 과기부 부장은 연설에서 바이오경제 발전이 현재 많은 국가에서 금융위기에 대처하는 전략적 조치로 떠오르고 있다고 말하였다. 그는 바이오기술과 바이오산업 발전의 중대한 의의에 대해 설명하고 나서, 세계 각국의 금융위기 대응조치와 바이오경제 발전조치, 중국의 바이오기술과 바이오산업 발전의 전략적 규획, 그리고 국제교류협력을 강화해 바이오경제발전을 가속화시키는 것에 관한 구상과 단계적 목표에 대해 중점적으로 소개하였다.
만강 과기부 부장에 의하면, 바이오기술과 산업발전은 급속히 진행되었다. 지난 10년 동안 바이오기술과 의약분야의 논문이 전 세계 자연과학논문 총수의 49%를 차지하였고, 일부 국가에서는 기초연구경비의 약 절반을 바이오와 의약 분야에 투입하였다. 최근 들어 글로벌 바이오산업의 매출액이 거의 5년마다 2배로 급증하고, 성장속도는 글로벌경제 평균성장율의 약 10배에 달하고 있다. 사실이 입증하다시피 바이오기술이 견인하는 새로운 과학기술혁명이 현재 급속도로 일어나서 바이오경제가 새로운 경제성장점을 형성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바이오경제 발전은 금융위기에 대응하는 중요한 조치가 되었다.
만강 과기부 부장은 연설에서 바이오경제 발전이 현재 많은 국가에서 금융위기에 대처하는 전략적 조치로 떠오르고 있다고 말하였다. 그는 바이오기술과 바이오산업 발전의 중대한 의의에 대해 설명하고 나서, 세계 각국의 금융위기 대응조치와 바이오경제 발전조치, 중국의 바이오기술과 바이오산업 발전의 전략적 규획, 그리고 국제교류협력을 강화해 바이오경제발전을 가속화시키는 것에 관한 구상과 단계적 목표에 대해 중점적으로 소개하였다.
만강 과기부 부장에 의하면, 바이오기술과 산업발전은 급속히 진행되었다. 지난 10년 동안 바이오기술과 의약분야의 논문이 전 세계 자연과학논문 총수의 49%를 차지하였고, 일부 국가에서는 기초연구경비의 약 절반을 바이오와 의약 분야에 투입하였다. 최근 들어 글로벌 바이오산업의 매출액이 거의 5년마다 2배로 급증하고, 성장속도는 글로벌경제 평균성장율의 약 10배에 달하고 있다. 사실이 입증하다시피 바이오기술이 견인하는 새로운 과학기술혁명이 현재 급속도로 일어나서 바이오경제가 새로운 경제성장점을 형성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바이오경제 발전은 금융위기에 대응하는 중요한 조치가 되었다.
만강 과기부 부장은 중국 정부는 바이오과학기술을 미래 첨단기술산업의 중점으로 간주해 새로운 경제성장점과 금융위기에 대처하는 중요한 조치로 육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가 중장기 과학기술발전규획 요강(2006~2020)'에서는 바이오기술을 과학기술발전의 5대 전략적 중점중의 하나로 삼았다. 국가에서 확정한 16개의 중대과학기술전문프로젝트 가운데 중대 신약 창제, 형질전환 식물, 중대 전염병 예방치료 등 3개의 전문프로젝트가 바이오기술과 연관되어 있다. 국가에서는 또 ‘바이오산업 발전 11.5규획 요강'을 발표하였다.
만강 과기부 부장은 이번 회의를 통해 아태지역국가의 바이오 분야 교류와 협력을 촉진시키고, 각측의 역량을 동원해서 바이오경제 발전을 지원할 것을 희망하였다. 그는 동북지역이 노공업기지 진흥 과정에 에너지와 자원이 갈수록 부족한 형세를 직시하고 바이오경제를 크게 발전시켜서 새로운 경제성장점을 육성함으로써, 노공업기지를 활성화시키고 조화로운 사회발전을 위해 기여하라고 격려하였다.
율전서 흑룡강성 성장은 그 어떤 위기도 인류의 발전과 문명의 진척을 가로 막지 못하고, 위기의 배후에는 새로운 시작이 숨겨져 있다고 말하였다. “오늘우리가 한자리에 모여 아태지역국가의 바이오경제발전에 대해 논의하는 것도 위기에 대응할 수 있다는 자신감과 용기의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흑룡강성은 바이오경제를 발전시킬 수 있는 독특한 우위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성 위원회와 정부는 바이오산업을 전성의 중점 전략적 산업으로 발전시킬 것을 결정하고, '바이오산업 발전규획'과 '부대정책'을 제정하였으며, 향후 10~15년간의 노력을 거쳐 바이오산업을 첨단기술산업 분야 지주산업과 국민경제의 주도산업으로 발전시킨다는 목표를 제기하였다. 흑룡강성은 이번 회의를 계기로 하여 바이오산업을 핵심으로 광범위한 경제기술협력을 추진함하고, 공동으로 비즈니스의 기회를 발굴해서 바이오산업의 급속한 발전을 촉진할 예정이다.
율전서 흑룡강성 성장은 그 어떤 위기도 인류의 발전과 문명의 진척을 가로 막지 못하고, 위기의 배후에는 새로운 시작이 숨겨져 있다고 말하였다. “오늘우리가 한자리에 모여 아태지역국가의 바이오경제발전에 대해 논의하는 것도 위기에 대응할 수 있다는 자신감과 용기의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흑룡강성은 바이오경제를 발전시킬 수 있는 독특한 우위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성 위원회와 정부는 바이오산업을 전성의 중점 전략적 산업으로 발전시킬 것을 결정하고, '바이오산업 발전규획'과 '부대정책'을 제정하였으며, 향후 10~15년간의 노력을 거쳐 바이오산업을 첨단기술산업 분야 지주산업과 국민경제의 주도산업으로 발전시킨다는 목표를 제기하였다. 흑룡강성은 이번 회의를 계기로 하여 바이오산업을 핵심으로 광범위한 경제기술협력을 추진함하고, 공동으로 비즈니스의 기회를 발굴해서 바이오산업의 급속한 발전을 촉진할 예정이다.
과기부, 중국과학기술협회, 국가발전개혁위원회 등 부처의 고위층과 러시아과학원, 중국과학원 등 중국내외 연구소의 유명 전문가와 학자, 그리고 미국, 한국, 쿠바 등의 중국주재 외교관과 중국 내 유명 금융기관 및 벤처기관 대표들이 회의에 참석하였다.
이번 대회는 과기부, 중국과학기술협회, 중국과학원, 흑룡강성 정부 및 하얼빈시 정부가 공동으로 주관하였다. 중국과학원, 중국바이오공정학회, 해외학자, 관련업체, 대학, 연구소에서 총 508건의 바이오기술성과를 전시하고 협력협상을 진행하였다.
이번 대회는 과기부, 중국과학기술협회, 중국과학원, 흑룡강성 정부 및 하얼빈시 정부가 공동으로 주관하였다. 중국과학원, 중국바이오공정학회, 해외학자, 관련업체, 대학, 연구소에서 총 508건의 바이오기술성과를 전시하고 협력협상을 진행하였다.
[한중과학기술협력센터(www.kostec.re.kr), 출처: 과기일보 2009.2.13]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U.S.Economic Impact Of Advanced Biofuels Production : Perspectives to 2030
-
다음글
- The 2008 R&D Scoreboard : Pharmaceuticals & Biotechnology
관련정보
지식
동향
- 정책동향 일본 바이오 정책 실행계획 수립 2024-10-29
- 산업동향 바이오경제 시대에 대비하는 우리의 자세 2024-08-19
- 기술동향 바이오경제 이끌어 갈 합성생물학, 韓·美동맹으로 날개 단다 2023-05-10
- 정책동향 [2024년 1호] (정책동향) 미국 바이오경제를 위한 데이터 인프라 구축 필요성 (美 OSTP, 12.20) 2024-02-06
- 제도동향 [글로벌 산업정책·기술·시장동향] 워싱턴DC Weekly Brief 1월 - 美 NSTC의 바이오경제 이니셔티브를 위한 데이터 비전, 필요성 및 액션 보고서 2024-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