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신성장동력 스마트 프로젝트
- 등록일2009-04-02
- 조회수6156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09-04-02
-
출처
과학기술혁신정책정보시스템
- 원문링크
-
키워드
#신성장동력 스마트 프로젝트#신성장동력#스마트 프로젝트
- 첨부파일
신성장동력 스마트 프로젝트
1. 추진배경
○ 최근 축소 움직임이 있는 민간기업의 R&D·설비투자를 확대 유인하기 위해 단기 상용화가 가능한
신성장동력에 R&D 집중 지원필요
- 민간기업 R&D 투자 축소로 야기되는 전문 기술인력의 고용불안 및 성장잠재력 약화를 공공주도
R&D 투자 확대로 보완
※ R&D 투자전망 지수: (‘08 2/4) 121 → (’08 3/4) 119 → (‘08 4/4) 109 → (’09 1/4) 95
※ 녹색뉴딜사업(96%가 건설/단순생산직 고용)으로는 기술인력 고용안정이 한계 → 고급 과학
※ R&D 투자전망 지수: (‘08 2/4) 121 → (’08 3/4) 119 → (‘08 4/4) 109 → (’09 1/4) 95
※ 녹색뉴딜사업(96%가 건설/단순생산직 고용)으로는 기술인력 고용안정이 한계 → 고급 과학
기술인력의 고용 창출을 위한 별도 대책이 필요
- 실행을 유보하고 있는 민간기업의 설비투자 계획중 일부는 상용화 기술개발과 연계되어 있어
- 실행을 유보하고 있는 민간기업의 설비투자 계획중 일부는 상용화 기술개발과 연계되어 있어
정부의 R&D 지원시 투자착수 가능
※ 설비투자 추이(%): (‘08.9) 7.1 → (’08.10) △7.7 → (‘08.11) △17.5 → (’08.12) △24.1
※ 정부 R&D 1,900억원 투입시, 민간 R&D 매칭 6,600억원 이외에, ‘12년까지 민간 2.6조원 투자
※ 설비투자 추이(%): (‘08.9) 7.1 → (’08.10) △7.7 → (‘08.11) △17.5 → (’08.12) △24.1
※ 정부 R&D 1,900억원 투입시, 민간 R&D 매칭 6,600억원 이외에, ‘12년까지 민간 2.6조원 투자
유발이 예상
○ 경기침체 장기화에 따른 국민정서 위축에 대응하여 국민들에게 미래 희망을 줄 수 있는 미래과학
○ 경기침체 장기화에 따른 국민정서 위축에 대응하여 국민들에게 미래 희망을 줄 수 있는 미래과학
기술 R&D 프로젝트 추진
- KAIST 등 연구기관으로부터 발굴한 신성장동력의 기반이 되는 거대과학 분야 R&D 및 인프라
- KAIST 등 연구기관으로부터 발굴한 신성장동력의 기반이 되는 거대과학 분야 R&D 및 인프라
구축 지원
※ 글로벌 경제위기에도 불구, 선진 각국은 과학기술개발에 대한 지원 강화(미국은 금년 초 경기
※ 글로벌 경제위기에도 불구, 선진 각국은 과학기술개발에 대한 지원 강화(미국은 금년 초 경기
부양을 위해 약 7,900억불을 투입할 계획, 그중 과학기술분야는 490억달러)
⇒ 경제위기 이후에 대비한 성장잠재력 확보를 위해서는, 추경을 통한 신성장동력 R&D지원 확대가
⇒ 경제위기 이후에 대비한 성장잠재력 확보를 위해서는, 추경을 통한 신성장동력 R&D지원 확대가
필요
2. 추진현황
○ 교과부 및 지경부에서 각기 추경 R&D수요 발굴(’09.1-3월)
- ’09년 초 ‘신성장동력’ 국과위/미래위 합동보고(’09.1.13) 이후 추경지원이 필요한 R&D 수요조사
- [교과부] 연구기관을 통해 ‘과학기술인력 일자리창출’ 및 ‘원천기술’ R&D 위주로 13개 수요 발굴
*참조 - [제안과제] 표
- [지경부] 업종별 단체 등을 통해 ‘단기 상용화’ 및 ‘후속 설비투자 연계’ R&D 위주로 34개 수요 발굴
*참조 - [34개 과제명] 표
○ 교과부·지경부에서 발굴한 R&D수요를 토대로 추경 편성(’09.3)
- 관계부처 협의(기재부/교과부/지경부) 등을 통해 양부처 발굴수요를 통합 조정하여 ‘신성장동력
스마트 프로젝트’ 추진(추경 3,000억원)
- 추경은 단기실용화(지경부, 1,900억원), 중장기 녹색융합원천기술(교과부, 1,100억원) 과제로
- 추경은 단기실용화(지경부, 1,900억원), 중장기 녹색융합원천기술(교과부, 1,100억원) 과제로
구분하여 지원
- [단기실용화 : 지경부 주관] 산업원천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추진하며, 공모를 거쳐 지원과제
- [단기실용화 : 지경부 주관] 산업원천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추진하며, 공모를 거쳐 지원과제
및 지원대상 선정
※ 민간기업이 旣제안한 34개 과제는 예시이며, 실제 지원과제는 공모를 통해 경쟁 선정
- [중장기 녹색융합원천기술 : 교과부 주관] 5개 과제중 출연과제 4개(KAIST: 온라인전기자동차,
※ 민간기업이 旣제안한 34개 과제는 예시이며, 실제 지원과제는 공모를 통해 경쟁 선정
- [중장기 녹색융합원천기술 : 교과부 주관] 5개 과제중 출연과제 4개(KAIST: 온라인전기자동차,
모바일하버, KAERI: 원자력폐기물 재활용, SMART) 및 공모과제 1개(글로벌 u-R&ED 통합플랫폼)
3. 향후 추진계획
기본 방향
◆ ‘신성장동력 스마트 프로젝트’는 교과부 지경부 공동사업이나, 과제선정 평가관리 등 세부지원
시스템은 각기 운용
◆ 사업기간은 1년으로 하되, 중간 평가를 통해 1년 연장 추진
※ 국회 심의과정에서 예산규모 변경시는 지원대상 및 지원규모를 재조정
◆ 사업기간은 1년으로 하되, 중간 평가를 통해 1년 연장 추진
※ 국회 심의과정에서 예산규모 변경시는 지원대상 및 지원규모를 재조정
1) 교과부
○ 추경예산 1,100억원중 기관 출연을 제외한 200억원은 ‘글로벌 u-R&ED 통합플랫폼’ 사업에 공모
○ 추경예산 1,100억원중 기관 출연을 제외한 200억원은 ‘글로벌 u-R&ED 통합플랫폼’ 사업에 공모
방식으로 지원(국회 확정후 추진)
- 기관출연은 ‘SMART 기술검증/표준설계’ 300억원(KAERI), ’원자력폐기물재활용시스템‘ 100억원
- 기관출연은 ‘SMART 기술검증/표준설계’ 300억원(KAERI), ’원자력폐기물재활용시스템‘ 100억원
(KAERI), ‘온라인전기자동차 원천기술개발’ 250억원(KAIST), ‘모바일하버 원천기술개발’ 250억원
(KAIST)
2) 지경부
○ 추경 1,900억원 전부 국회 확정후 공모방식을 통해 지원
- 지원과제는 신성장동력 사업과의 일관성 및 단기 상품화 가능성, R&D이후 설비투자 계획, 생산
○ 추경 1,900억원 전부 국회 확정후 공모방식을 통해 지원
- 지원과제는 신성장동력 사업과의 일관성 및 단기 상품화 가능성, R&D이후 설비투자 계획, 생산
및 고용창출 효과 등을 종합 고려하여 선정
○ 추경 R&D지원과 병행, 민간기업에 대한 투·융자 지원방안도 모색
- 유망 R&D과제의 사업화 지원을 위해 ‘신성장동력 펀드’(민관합동으로 7,500억원) 조성을 추진
○ 추경 R&D지원과 병행, 민간기업에 대한 투·융자 지원방안도 모색
- 유망 R&D과제의 사업화 지원을 위해 ‘신성장동력 펀드’(민관합동으로 7,500억원) 조성을 추진
하고, 산은의 설비금융 우대 지원에 필요한 신성장동력 설비 분류체계 마련 추진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