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생명공학이 세계 경제를 어떻게 재편할 것인가?
- 등록일2009-07-21
- 조회수6514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09-07-15
-
출처
바이오안전성포탈
- 원문링크
-
키워드
#경제#세계 경제#유전체
- 첨부파일
생명공학이 세계 경제를 어떻게 재편할 것인가?
* 이 자료는 바이오안전성포탈(http://www.biosafety.or.kr)에서 제공하는 자료입니다.
만약 흔들리고 있는 시장과 연약한 경제의 일선에 서있는 경영인이라면 유전체라는 말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을 것임. 하지만 유전체라는 이 심오한 언어를 얼마나 잘 이해하느냐에 따라 장기적인 생존과 번영이 달려있다 해도 과언은 아닐 것임.
물론 생물학이 혼자서 세계의 경제를 이끌 수는 없음. 하지만 다가올 변화는 바로 2차산업혁명 즉 녹색혁명과 유기적 시대가 도래할 것이라는 점임. 유기적 시대라 함은 우리가 만드는 것과 그들을 만드는 방식이 바로 생명현상과 직결되어 있다는 점과 특정한 목적으로 생명현상을 재조정할 수 있다는 점을 의미하는 것임. 식품과 섬유의 생산이 그러한 예임.
또한 이 강력한 언어는 널리 그리고 빠르게 확산되고 있음. 현재 디지털에 의해 많은 부가 창조되듯이 미래에는 생명과학에 의해 부의 창조가 이루어 질 것임.
이러한 주장이 억지처럼 들릴 수 있지만 1970년대 초반을 살았던 사람들에게 과연 인도, 아일랜드, 한국, 실리콘벨리, 대만 등이 세계 기술과 부의 중심이 되리라는 사실을 예상할 수 있었는지 물어본다면 이를 예상하는 사람은 그다지 많지 않았을 것임. 컴퓨터를 전문으로 하는 사람들에게 물어보면 누구나 디지털이 단순한 정보의 교환방식뿐만 아니라 전 세계를 바꾸어 놓았다고 말할 것임. 지난 수 십년 동안 새로 창출된 직업, 부, 성장이 바로 디지털과 관련된 것임. 벤처기업이 미국의 GDP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고작 0.2%정도이지만 경제활동의 17%에 해당함.
모든 산업을 바꾸어 놓았던 인터넷과 디지털 혁명에 이어 이제 생명의 코드를 변화시킬 수 있는 생명산업은 그 이상으로 발전하게 될 것임.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지식
동향